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서해는 썰물이 심하고 동해는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조차가 지역/해안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조석이 파동(조석파)의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인데, 쓰나미 등에서도 나타나는 현상과 기본적으로 비슷한 부분이 있다. 즉 해저 및 해안 지형에 따라 조차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수심이 깊으면 면적당 에너지 전달이 작아져 조차가 작게 나타나는 반면, 수심이 얕아질수록 조차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파장이라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 조석파가 서로 상쇄되어 조차가 0인 지점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무조점(Amphidromic point, 또는 tidal nodes)라 부른다. 세계적으로 조차가 작은 바다로는 지중해, 카리브해, 동해 등이 꼽히며, 반대로 조차가 큰 바다로는 황해, 서유럽 대서양 연안, 호주 북서부, 파나마만 등이 꼽힌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인간의 몸에서 가장 단단한 뼈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뼈는 뇌를 보호하고 있는 두개골이라 할 수 있습니다.두개골 보다 더 단단한 것이 치아인데, 치아는 엄밀히 말해서 뼈라고 할 순 없기 때문에 두개골이 맞다고 해야 할 것 같네요.
학문 /
기계공학
22.12.08
0
0
얼음처럼 차가운 물체에 손을 대면 쩍쩍 달라붙는데...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너무나 간단합니다. 손가락 끝에서 분비되는 땀에 의한 수분이얼음면과 맞닿아 일시적으로 얼면서 얼음표면에 붙어버리기 때문에손이 얼음에 쩍 달라붙는 것입니다. 즉, 손에 있는 땀(수분)이 차가운 얼음에 닿으면서 순간적으로 얼어얼음과 붙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혀나 살갖에도 수분이 있기 때문에손뿐만 아니라 혀나 살갖에 있는 수분이 얼음면과 맞닿는 경우도혀나 살갖이 얼음면에 척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남극과 북극의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과 북극은 모두 1년 내내 얼음으로 덮여있는 추운 곳이에요.남극은 거대한 대륙으로 남극해라는 광활한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북극은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에 둘러 싸인 바다가 대부분이에요.남극의 커다란 땅덩이 위에는 2,000미터가 넘는 두꺼운 얼음이 덮여 있어요.세계 얼음의 75%가 모여 있는 곳, 차가운 바람이 무섭게 몰아치는 곳이 남극이지요.만약 남극의 얼음이 모두 녹는다면 뉴욕, 도쿄, 런던 등 대도시가 물에 잠기고 말거예요.이 곳은 너무 추워서 사람이 살기에 적당하지 않아요.각 나라에서 남극을 연구하러 온 대원들과 가족들이 잠시 머무르다 갈 뿐이지요.북극은 무척 춥지만 남극보다는 따뜻해서 북극 근처 땅에는 사람이 살고 있어요.알래스카에 살고 있는 이누이트(에스키모)는 북극의 원주민이에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태양은 한곳에 있고 지구가 도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내 태양은 자전과 공전을 하지 않습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의 다른 면을 보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사람이 느끼는 오감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의 5가지 감각으로 감각을 신체에 있는 감각수용기의 종류로 분류한 것이다. 시각은 눈의 망막, 청각은 귀의 달팽이관, 후각은 코의 비점막, 미각은 혀의 미뢰, 촉각은 피부가 수용기이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8
0
0
점은 왜 피부에 나는거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일반적으로 점이라고 부르는 색소질환은 주로 나이가 들게 되면서 표피나 진피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세포가 외부자극이나 내인성 자극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과다증식되면서 튀어나온 흑갈색의 양성종양이라 할 수 있는데요.나이가 들수록 피분의 탄력이 점차적으로 소멸하면서 작은 자극에도 피부속 멜라닌 세포가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되기 때문에 중년의 나이가 될수록 점은 더 빨리 늘어나게 되는 것이랍니다. 그래서 보통 40대 중반이 넘어서게 되면 얼굴에만 수십개 이상의 점이 생기는 분들이 많아지는 이유가 바로 노화로 인한 점이 크다는 것이지요.
학문 /
생물·생명
22.12.08
0
0
차가운 얼음에 불을 붙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얼음으로 불을 만들어 냘 수는 있지만, 얼음에 불을 붙잉 수는 없습니다. 안되죠~!!!!
학문 /
화학
22.12.08
0
0
이글루 안은 왜 따뜻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글루와 같이 눈으로 집을 지으면 그 안이 도리어 따뜻한 이유는,이글루 안의 눈 벽은 열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기 때문입니다.즉, 사람으로부터 나온 열이 눈 벽에 반사되어 자신에게 되돌아 오기 때문이죠.그리고, 이글루 안에서 불을 피우면, 천장이 둥근 모양이라 눈 벽돌이 녹은 눈은바닥으로 바로 떨어지지 않고 벽을 타고 서서히 흘러내리는데,이때, 문을 열어 집안에 찬바람이 들어오게 하면, 실내 온도가 갑자기 떨어져서흘러내리던 물이 눈 벽돌 사이에 얼어 붙어 이글루가 더욱 단단해진다고 합니다.그리고, 이 물이 얼음으로 변하면서 가지고 있던 융해열을 다시 방출하기 때문에,주변은 도리어 따뜻해지게 된다고 하죠.그래서, 이누이트족들은 날씨가 추워질수록 이글루 안의 벽에 물을 계속 뿌려서,이렇게 열에너지를 만들어낸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인간이 지구에서 사용하는 땅의 면적은 몇퍼센트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평면으로 된 세계 지도에서 오스트레일리아와 그린란드를 비교해 보면 그린란드가 더 크게 보인다. 이것은 종이 지도에서는 고위도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 보이는 투영법상의 표현 때문이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메르카토르 투영법에 의해 그려진 종이지도상에 나타난 두 지역의 실제 모습을 보면 그린란드가 3배나 크게 보인다. 실제로 그린란드의 면적은 2,175,600km2이고, 오스트레일리아의 면적은 7,713,000km2로서 오스트레일리아가 3.5배나 크다.지구는 바다 70%, 대륙 30%로 구성되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