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집주인들은 전세를 놓으면 어떻게 돈을 벌죠? 전세금은 돌려줘야 하는데..
전세 계약의 계약 기간은 보통 2년이고, 전세보증금은 아무리 못해도 수천만 원입니다.당장 목돈을 마련할 수 있고, 소유권을 잃지도 않으니 전세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지요.계약 기간 동안 시세가 오른다면 이로 인한 이익까지 누릴 수 있고요.전세보증금으로 예금에 가입해도 만기에 이자를 꽤 받을 수 있으니 집주인 입장에서 손해볼 건 없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1
0
0
아파트 거래시 잔금은 주말에 처리해도 되나요?
주말보다는 평일이 좋아요.주말에도 폰뱅킹으로 잔금을 치르는 건 가능하지만 주말에 영업을 안 하는 법무사사무소가 많고주말엔 등기소가 열지 않습니다. 잔금일 당일에 등기 접수하는 게 좋은데 그럴 수가 없으니 주말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지요.특히, 대출을 끼고 매매하는 경우 주말에 은행 영업을 하지 않아 잔금을 치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경제 /
부동산
23.02.21
0
0
구축 집 매매시 계약금은 몇프로로하나요?
구축이든 신축이든 부동산 거래의 계약금은 10%가 적당합니다.협의에 의해 계약금을 조절할 수 있지만 거래 관행상 계약금은 10%로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별도의 협의가 없다면 계약금은 10%로 하는 게 암묵적인 규칙이에요. 물론 법적으로 정해진 건 아니지만요.따라서, 중개소에서 제시한 10%의 계약금은 많은 게 아니고 딱 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1
0
0
전세2억일경우 부동산 수수료 88만원 맞나요?
전세보증금 2억이면 중개수수료 상한은 60만원(부가세 포함 66만원)입니다.88만원은 한도액을 초과한 것이니 공인중개사가 이렇게 받으면 불법입니다.참고로 보증금이 1억원 ~ 6억원 미만인 경우 중개수수료는 보증금에 0.3%을 곱한 금액이 한도액으로 결정됩니다.따라서 한도액은 2억 * 0.03% = 60만원이 되고, 공인중개사가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일반과세자인 경우 부가가치세는 중개수수료의 10%이므로 총 66만원이 청구됩니다.이보다 적게 받는 건 상관이 없지만 이보다 많이 받으면 불법입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1
0
0
예금자 보호법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각 은행마다 적용되는 금액입니다.만약 A은행에 5,000만원, B은행에 5,000만원을 넣었다면 A은행과 B은행 각각 5,000만원씩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하지만 A은행에 9,000만원, B 은행에 1,000만원을 넣었다면 A은행에서 5,000만원, B은행에서 1,000만원을 보호 받을 수 있으니 나머지 4,000만원은 보호받을 수가 없습니다.예금자보호 한도액은 법적으로 정해진 것이라서 예금자보호가 적용되는 금융상품은 5,000만원까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20
0
0
단리와 복리 이자의 차이점은 뭔가요?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는 것이고복리는 원금에도 이자가 붙고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것입니다.원금이 100원이고 이자율이 10%라고 했을 때단리는 원금 100원에 10%의 이자가 붙기 때문에 1년 후에는 원리금(원금+이자)이 110원이 됩니다.마찬가지로 복리도 1년 후에는 원리금이 110원이 됩니다.1년 후에는 단리와 복리가 동일하지만 2년 후부터 달라집니다.2년 후단리는 원금 100원에 이자 10원이 붙기 때문에 1년 전 이자 10원을 더해 원리금 합계가 총 120원이 됩니다.복리는 원금 100원과 1년 전 이자 10원을 더한 110원에 대해서 10%의 이자가 붙기 때문에 2년차에는 10원이 아니라 11원의 이자가 붙어서 원리금 합계는 총 121원이 됩니다.기간이 늘어날수록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커지며, 복리가 항상 단리보다 이자를 많이 받을 수 있어 유리합니다.단리는 복리와 비교하면 계산이 쉽다는 것 빼곤 장점이 없으니 사실상 단리는 단점 밖에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20
0
0
부동산 경매공부를 시작해보고 싶어요
경매 공부는 공인중개사 자격증 없어도 가능합니다.공인중개사 공부를 하다보면 경매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경매만 공부하고 싶다면 굳이 공인중개사 공부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경매 공부하려면 우선 부동산의 개념과 성격에 대해 알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부동산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떠한 성격을 갖는지 먼저 알아야 투자를 할 수 있겠지요.그리고 부동산에 관련된 물권과 채권을 공부하셔야 하고 이러한 권리가 부동산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파악하셔야 합니다.그 다음 권리분석을 깊게 공부하셔야 하는데, 권리분석이 부동산 경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제대로 된 부동산을 낙찰받아야 하는데, 권리 관계에 문제가 있는 부동산을 낙찰받는다면 오히려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또한 부동산에 부과되는 세금에 대해서도 공부해야 하고요.공부할 것이 정말 많은데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차례대로 하시는 걸 권장합니다.서점이나 도서관에도 부동산 경매에 관한 책이 많이 나와있으니 시간 나실 때 둘러보세요.
경제 /
부동산
23.02.20
0
0
전세금 못빼주면 어떻게되나요?
처음부터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을 생각으로 계약을 한 것이라면 경우에 따라 사기죄 성립이 될 수도 있지만그럴 의도가 아니었다면 형사 처벌은 되지 않습니다.그러나 민사 책임은 존재하므로 전세금을 반환할 의무가 발생하게 됩니다.만약 전세금을 세입자에게 돌려주지 못한다면 세입자가 소송을 걸 수 있고, 세입자가 승소할 경우 주택이 경매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세입자 앞으로 전세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소송이 없어도 전세권에 근거하여 경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주택이 낙찰되면 소유권이 경락자에게 이전되며 세입자는 경락 대금을 통해 보증금을 돌려받게 됩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0
0
0
부동산 수수료 언제 지불하는거 맞나요?
별도 협의가 없다면 잔금일에 지불합니다.계약금과 중도금을 지급하고 나서 마지막으로 잔금을 치르는 날, 잔금을 주고받은 뒤 중개수수료를 지불하시면 됩니다.만약 별도로 중개수수료 지급 시기를 정했다면 그 날에 지불하셔야 합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0
0
0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어떻게 책정하나요?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 30만원이라면최대 중개보수는 115,000원이며 부가가치세는 별도입니다.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금액은 126,500원입니다.이것은 공인중개사가 세입자 혹은 집주인 1인에게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며, 협의를 통해 중개보수를 더 낮게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그런데 보통은 원룸 중개보수는 최대 금액을 받기 때문에 최대 중개보수인 126,600원(부가가치세 포함)만큼 공인중개사에게 지불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참고로 공인중개사의 중개보수는 (보증금+월세액x100)을 계산한 금액에 일정 비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따라서 보증금이 클수록, 월세액이 클수록 중개보수 역시 더 커집니다.
경제 /
부동산
23.02.20
0
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