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미국은 핵무기를 언제 처음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은 맨하튼 프로젝트라는 걸로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진행해 핵무기를 만들었습니다. 영국 캐나다도 같이 협력했고 13만명이 투입된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독일보다 먼저 핵무기를 만들어서 독일 나치에게 이기는게 목적이었습니다. 로버트 오펜하이머라는 사람이 맨하튼 브포젯트 과핵 책임자였는데 작성한 보고가 자세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심청전과 같은 공양 행위는 실제로 있었던 일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심청전 자체가 고전소설로서 당시에는 이렇게 몸을 함부로 하는 것도 금기시 됐으며 항해에 앞서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행위를 했다는 기록물이 없습니다. 그래서 지어낸 부분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NFT 작품도 예술품으로 인정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직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쪽에 가깝습니다. NFT보다는 더 먼저 앞선 개념이 가상화폐인데 이 가상화폐도 이제 슬슬 상품자산으로 조금씩 인정하는 극초기단계입니다. NFT가 붐이 일어났을 때는 거래도 높게 많은 사람들이 가치있게 보는거 같았지만 지금은 거의 쳐보다지도 않게 된거 같습니다.지금 사실 현대미술도 이게 예술이냐며 말들이 많습니다. 결국 예술은 다수의 사람들이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고 그게 돈많은 사람들이 사서 보유하고 거래하면서, 이걸 비싸서 못사는 사람들보다 좀 더 우위에 있다는 걸 느낄 수 있다면 시장이 형성되고 계속 유지될것 같습니다. 그러니 NFT도 가치, 즉 현재 정부화폐로 이걸 사서 보유하는게 자랑거리가 되고 본인이 돋보일 수 있는 수단이 된다고 믿는 사람이 많아야 될거 같습니다. 아직은 그러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21
0
0
한국, 일본, 중국의 정원 문화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한국은 자연스러움, 일본은 균형 밸런스, 중국은 다양함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우리나라는 인이적인 것보다 자연 그대로 경관을 살리고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활엽수로 자연 섭리를 따랐습니다. 일본은 완벽하게 비례해서 배치하고 구도를 잘 살렸습니다. 침엽수나 돌 등을 활용해서 단순화 했씁니다. 중국은 대체로 이것저것 감상용 물거을 많이 전시하고 그림도 많이 활용했습니다.한국전통정권, 바로알고즐기 라는 기사나 각국 정원비교의 글들을 참고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순우리말은 어떻게 정하여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순우리말은 우리나라 고유의 말로 정말 예전으로 올라가면 문자는 없었는데 소리내어 의사소통할때는 있었던 말입니다. 원래 대구는 달구벌이었는데, 한자가 들어오고 이거를 대구(大邱)로 쓰게 되고 한글이 생기고 달구벌이라고 쓸수 잇게 됐지만 한자어를 더 많이 쓰면서 밀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용도 지금은 용(龍)이라고 하지만 순우리말은 미르입니다. 미르라고 소리내에서 쓰다가 용 한자가 들어와서 용이라고 읽고 쓰게 되면서 이제는 용이 더 익숙해져버린 것이죠. 그래서 순우리말은 예전부터 자연스럽게 소리내어 의사통하면서 자연스럽게 정해진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그리고 요즘은 굳이 따지면 국립국어연구원이 표준어를 정하니까 이때 순우리말도 정하면 그게 순우리말이 될수 있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조선시대에 내린 사약은 무엇으로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약의 제조방법은 알려진게 없습니다. 당시에도 철저히 비밀이었고 현재까지 사약제조에 관한 기록이 나온게 없습니다 ㅠ 다만 당시에 구할수 있는 한약재와 동물성 식물성 광물(금과 은) 등을 섞어서 만들엇지 않았나 추측할 뿐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옛날에는 범죄를 저지른 범인들을 어떻게 수사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런 과학기술 들을 빼고는 지금하고 비슷했습니다. <조선시대 범죄와 처벌>과 <조선시대 사법제도와 비판>과 같은 책을 보면 범인의 신체적 특징과 행동, 증거물 들을 파악하고 목격자의 증언과 현장을 조사해서 찾습니다. 추리와 다소 직관같은 측면이 있었지만, 자백을 통해 범죄자를 확정 짓고 했습니다. 대신 그만큼 자백이 큰 것이었기에 고문해서 자백을 받아 낼수도 있었겠네요ㅠ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과거 조선시대에서 미인의 조건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왕조실록에 왕비를 뽑는 조건과 그림 <미인도>를 참고하면 "복스러운 얼굴에 동그랗고 큰 턱, 갸름한 눈매, 단정한 눈썹을 가진 처녀"였습니다. 그리고 박세당의 '산림경제'에 따르면 가슴이 크거나 입술이 좁으면 감점을 받았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더운 여름철 주변에서 얼음을 쉽게 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날에는 석빙고 같은 빙고라는 얼음 창고가 있었는데 이걸 만들어, 겨울에 얼음을 얻어 이걸 빙고에 보관해서 사용 했습니다. 얼음은 주로 높은 사람들한테 쓰였고 더위를 식히고 음식을 보관하는데 사용됐습니다. <삼국사기>에도 지증왕 때 얼음을 넣어 두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조선시대까지 갑니다. <경국대전>에는 빙고 사용 규정도 적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21
0
0
90년대부터 북한을 주적으로 표기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90년대에 들어서 소련과 중국이 북한하고 동맹을 해제 했습니다. 그래서 북한은 살아남기 위해 더 핵무기개발을 가속화했고 우리는 위협으로 부터 대비하는 차원에서 주적을 삼았습니다. 그리고 같은 맥락으로 1994년에 김일성이 죽었는데 김정일로 승계되면서 북한내부적으로도 일이 많았습니다. 이렇다보니 북한도 어떻게 나올지 모르니 주적으로 삼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21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