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보내면 기저귀도 갈아주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3살은 배변훈련 또한 활동에 들어가므로 기저귀영역이 따로 되어있어 교사가 도와줍니다.아이에 발달에 따라 배변훈련이 빨리 이루어지거나 늦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요아이에 발달에 맞춰 교사와 함께 상담하신다면 배변훈련이 원활하게 이뤄질 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3.02.26
0
0
아기들에게 왜 촉감놀이가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촉감놀이는 자연스럽게 인지능력이 발달하고, 손을 뻗고, 담고 쏟고, 쥐는 등 다양한 동작을 하며 활발한 신체발달도 이룰 뿐만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자극으로 인해 아이의 심박수를 낮춰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수면의 질을 높이는 효과도 있습니다.아이의 성향에 따라 적절한 촉감놀이는 두뇌발달에 더할나위없이 좋습니다. 엄마표 촉감놀이를 통해 아이에게 여러 경험들을 제공해주는 것도 좋겠지만 아이에게 특별한 촉감놀이가 아닌 자연스러운 환경에서부터 시작이 되어도 좋습니다.굳이 촉감놀이를 안해준다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는 보고 만지는 것에서 부터 촉감놀이는 시작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육아 /
놀이
23.02.26
0
0
아이에게 과자를 먹이 듯이 밥 먹이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식사에 대한 원칙을 세우고 지키시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아이가 강한 배고픔을 느낄 수 있도록 4시간 간격으로 식사 간격을 유지하고 다른 간식이나 우유 주스 등은 일체 주지 않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아이에게 음식을 조금만 주고 더 먹을 것인지 물어보고 아이욕심에 음식량에 미리 질리지 않도록 도와줍니다.부모 욕심에 식사 시간을 길게 잡으면 힘듭니다. 길어도 20분에서 30분이 넘지 않도록 지켜주시고 길게 먹이면 조금 더 먹일 수 있지만 다음 식사 때 먹는 양이 줄게 됩니다. 그리고 다 먹은 후에는 다 먹었다 라는 말보다는 배부르다 라는 말을 해서 아이가 배부름에 대해 관심을 갖게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식사시간에는 티비를 보지 않기, 음식을 상이나 애정표현으로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탕 쿠키 등 단 음식을 단순히 음식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 친구의 관심이나 사랑으로 받아들이게 되면 더욱 단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이러한 원칙을 정하셔서 적용하시고 반찬 또한 아이 입맛에 맞게 조리하여 주신다면아이가 군것질 먹을 때 행복한 마음이 밥을 먹을 때 나타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육아 /
놀이
23.02.09
0
0
형제에게 질투심이 많은 유치원생 어떻게 육아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감정과 행동을 분리해서 훈육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예를 들어 동생이 너무 싫고 미워라고 이야기를 하고 때린 상황이라면 일단은 동생을 미워하는 마음이 생긴것에 대해 이해를 해주세요 그리고 동생을 때린 행동에 대해서는 제한하고 때리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다음에 화가 나면 때리지 말고 엄마에게 말해줄래? 라고 이야기해주세요아이를 비난하고 질책하시게 되면 아이의 감정을 차단하고 무시하게 되버립니다.아이가 속마음을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형제가 싸웠다면 그 자리에서 같이 훈육하시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한 명씩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분리시킨 후 감정을 이해하고 충분히 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질투가 유독 심할 경우에는 각각 1대1 관계를 잘 유지해주시고 형제간의 우애를 강요하지 않습니다. 본인들끼리 자연스럽게 관계를 맺게 되니 믿고 기다려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형제가 같은 편이 될 수 있는 놀이를 제공해주세요 예를 들어 형제둘이 힘을 합쳐서 아빠 간지럼태우기 등 아빠 팔씨름 이겨보기 형제가 둘이 같은 팀이 되어 협동하는 마음에서 우애가 싹 틀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육아 /
양육·훈육
23.02.09
0
0
17개월 아기한테 잣을 먹여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기가견과류를 먹을 수 있는 시기는 알레르기가 없다면 돌 이후 섭취 가능합니다.그러나 질식 사고 위험이 높으므로 통째로 주는 것은 세돌 이후부터이고요또한 지방 함량이 높으므로 소량 섭취를 권장합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3.02.09
0
0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 억지로 시키는데 도움이 될가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시면 조금 더 공감이 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내가 만약 아이라면 엄마가 날 억지로 책상에 앉혀서 공부를 시킨다면어떤 마음이 드실까요? 그 마음이 아이와 같지 않을까 싶습니다.억지로 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아이가 흥미롭게 공부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 좋을듯합니다. 남아라면 시각적으로 즐겁게 할 수 있는 태블릿 관련 학습들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고요 여아라면 아이가 좋아하는 아기자기 캐릭터 학용품을 이용한 공부방 분위기를 조성해주시면 마음가짐 자체가 달라질 것입니다. 아이가 공부를 해야하는 동기가 부여가 된다면 좀 더 자연스럽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육아 /
유아교육
23.02.09
0
0
아이들 얼굴에 폼클랜징없이 세수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썬크림의 경우 기능성 화장품이기에 사용후에는 클렌징으로 깨끗하게 잔여물을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그렇다고 클렌징 세안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목욕할 때 사용하는 제품샴푸엔바스 등 순한제품으로 얼굴에 꼼꼼하게 닦아주신다면 좋을 듯 합니다.오히려 강한 세정제 세안제를 사용하시거나 박박 씻어내려는 것이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가볍게 닦아내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3.02.09
0
0
자기전에 물이나 음료를 마시려는 아이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양치를 한 후에 음료를 마시는 것은 충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자제하는 것이 좋은데요 소변 실수를 하지 않는다면 물을 소량것 마시는 것은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이가 물을 먹는 것이 습관적인 것인지 안정감을 느끼기 위해 하는 절차인것인지 아니면 목이 정말 마른 것인지 살펴봐주세요 많이 먹으면 소변실수를 할 수 있으니 한모금씩만 마시고 자볼까? 하며 물의 양을 줄이고 자연스럽게 물을 먹지 않고 잠을 청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양치질 하기 전에 음료와 물을 마시고 양치질 한 후에는 먹지 않기로 미리 약속을 한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3.02.09
0
0
아이가 울 때 바로 달래주면 안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어떻게 우는 상황이냐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아이는 자랄수록 충격을 덜 받지만 배가 고프거나 춥거나 피곤하거나 아플때는여전히 울음을 터뜨리지요 말을 배우기 전까지는 아이가 우는 이유는 "싫다"라는 표현이 많을 것입니다.그러나 아이가 혼자 오랫동안 울게 내버려 두는 일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몇 시간 동안 높은 농도로 뇌에 머물고 아이가 오랫동안 울다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르몬 연쇄반응으로 인해 뇌의 스트레스 반응시스템이 과민해지고 아이는 불안감이 더 커지게 됩니다. 부모는 아이가 울 때 해결책을 지시해주려고 합니다. 그러나 아이는 그 해결책이 먼저가 아닌 자신의 감정을 알아달라는 공감을 더 중요시 여깁니다. 아이가 위안이 필요해 우는데 부모가 반응하지 않고 우는 아이를 달래주지 않으면 아이는 더욱 과민해질 수 있습니다.아이가 눈물을 흘릴 때 곁에 있고 아이의 울음에 귀를 기울여준다면 아이는 감정을 폭발시킨 후에 긴장이 풀리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3.02.09
0
0
4개월아기 수면교육 언제부터 시켜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수면교육 시기는 신생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주셔도 됩니다.수면교육 시기 적기인 수유텀이 일정해 졌을 때가 가장 좋고 부모와 아이가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선택해서 낮잠 수면교육과 밤잠을 규칙적으로 잘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23.02.09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