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일용직기간+정규직기간 퇴직금 산정방법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금은 기본적으로 1주 15시간 이상 근로를하며 1년이상의 근속기간을 가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여야 합니다.말씀하신 사항처럼 일용직의 근무하다가 정규직의 근무를 하는 경우 근속기간을 합산해서 계산을 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5
0
0
회사가 중간에 사업자가 바뀌었는데 실업급여나 퇴직금 정산시 어떻게 증명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고용보험에 가입된 경우라면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이력확인서 및 건강보험득실확인서 국민연금공단을 통해 제증명서 발급을 하시면됩니다. 간단하게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확인서를 발급하면 고용보험에 가입된 기간이 나와 있기 때문에 이 서류를 통해 경력을 증명받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5
0
0
연차갯수를 알려주지 않아요ㅠㅠ26개 맞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그렇습니다. 연차는 기본적으로 입사일을 기준으로하며 1년 미만의 경우는 매달 하루씩 발생하여 1년 미만은 총11개가 발생합니다.1년이상이 지난 경우는 15개가 생기므로 여기에 이미 사용한 연차 10개를 제외하시면 계산하신 연차가 맞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05
0
0
아웃소싱 파견직후 실업급여 가능여부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회사에서 재계약을 하는 경우에 근로자 본인이 거절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2. 딱 6개월 근무하여 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이 약간 부족하더라도 마지막사업장에서 비자발적퇴사(계약기간 만료 포함)이 라면1개월 근무가 합산하여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5
0
0
공휴일 일용직 근로자 가산 관련질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회사에서 유급 무급을 어떻게 정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공휴일이라 하더라도 30인 미만의 규모는 관공서에서 정한 휴일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급이 아닌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56조(5인 이상 전제)에 따라 1.5배만 지급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05
0
0
실업급여 수급중 주말알바 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실업급여 중 주말알바를 하여 고용보험에 가입한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중지됩니다. 실업급여 중에는 조기 취업하는 경우에는 조기 재취업 수당을 받을 수 는 있지만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알바를 하시면 안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5
0
0
발목인대파열로 수술한 산재환자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산재후 완치까지 보장한다는 의미가 추상적이지만 산재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일하던중에 다쳐서 그 기간동안의 취업상태가 불가능하다면 휴업급여를 지급받습니다. 휴업급여를 지급 받는 기간이 종결되는 경우에추후 장해가 남아 있는 경우라면 장해 연금 또는 장해 일시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1.03.05
0
0
소기업 연,월차수당은 지급하지 않아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소기업이하 하더라도 연차는 반드시 지급되어야 합니다. 1년 미만이라면 11개의 연차가 지급되고 1년이상이라면 15개의 연차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관공서에서 정한 휴일이 적용되지 않는 기업이라 하더라도, 모두 대체되지 않는 경우라면 연차는 반드시 지급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05
0
0
감단직이 무엇 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감시 단속적 근로자라함은 용어 그대로 감시 및 단속적 근로를 주로 업무를 하는자에 해당됩니다. 근로기준법 제63조는 감시단속적 근로자에게 특례 조항을 두어 휴게시간 조항을 제외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 /
구조조정
21.03.05
0
0
실업급여 기준 추가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피보험단위 기간이 180일 이상이고 비자발적 퇴사여야 합니다. 그러나 자발적 퇴사라 하더라도 실업급여를 받는 예외적 사유가 있습니다. 여기서 예외적 사유 중 하나인 2개월 이상 임금체불의 경우는 반드시 연속적인 임금체불에 해당하지는 않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05
0
0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