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경제 용어 '닥터둠'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닥터둠이란 단어의 유래는 미국의 투자전략가 마크 파버가 1987년 뉴욕 증시 대폭락과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를 예견하면서 붙은 별칭입니다. 마크 파버는 이머징마켓과 상품 투자 분야에선 세계 최고 수준으로 꼽히며, 1990년 자신의 이름을 딴 '마크파버리미티드'란 펀드 운용 및 투자자문회사를 차렸습니다. 2001년부터 금에 투자하라고 권해 주목을 끌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인 2007년부터 전 세계 증시의 거품이 꺼질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후 국제금융계에서 비관론을 펴는 경제학자를 부르는 용어로 쓰인다. 가장 최근에는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로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해 주목받았으며 비관적인 경제 예측으로 '닥터 둠(Dr.Doom)'으로 불리고 있다.최근에 서강대 김영익 교수님이 닥터둠이라고 기사가 나기도 했었지요.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2
0
0
통화 스와프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통화스와프란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양국 화폐의 교환 비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돈을 상대국과 교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를 말합니다.그리고 국가 간 통화스와프 협정은 두 나라가 자국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하는 방식으로,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자국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외국통화를 단기 차입하는 중앙은행 간 신용계약이다. 한미통화스와프는 한국-미국간에 양국 화폐를 약속한 금액만큼 필요할 때 빌려오고 차후 빌려온 금액을 갚게 되는데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과 미국이 1월 1일 총 2억달러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였다- 한국은 달러자금이 부족하여 2월 1일 미국으로부터 1,000원의 환율로 5천만불을 빌리게 되었다.(현재환율 1,000원)- 한국은 달러자금이 확보되어 5월 1일 미국의 중앙은행에 1,000원의 환율로 5천만불을 상환하였다.(현재환율 1,300원)즉 차입한 자금을 환율이 변동되더라도 차입한 시점의 환율로 갚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통화스와프는 현재 실제로 한국이 보유한 외환보유고 외에 돈을 빌려올수 있는 한도(쉽게 생각하시면 마이너스통장의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편할것 같아요. 언제든지 빌리고 갚는)가 생겨서 차 후 외환위기 발생시 여유를 가질수 있게 됩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경제용어
22.08.12
0
0
금값과 달러가격의 상관관계 있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금값과 달러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집니다.금은 안전자산으로 보통은 달러의 대체재로 많이 인식되고 있어서 경제가 불안하거나 전시상황 같이 화폐의 가치가 불안정하다고 느끼게 되면 차후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게 되는 수단 중의 하나이기 때문입니다.이런 상황이 발생하지는 않겠지만, 미국 혹은 강대국가가 전쟁이나 내분으로 인하여 분열 혹은 국가가 사라지게 된다면 그 나라의 화폐또한 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이지만 금은 그 어떤 국가가 사라지더라도 자산으로 인정받아왔기에, 시기가 불안정할 때에는 금값이 오르게 되는 원리입니다. 지금은 둘중 하나를 하시기 보다는 분산하셔서 투자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2
0
0
디지털 화폐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디지탈화폐는 CBDC 즉, 중앙은행을 뜻하는 'Central Bank'와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를 합친 용어로 실물로 사용하고 있는 명목화폐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해서 각국의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화폐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디지털화폐는 내장된 칩 속에 돈의 액수가 기록되고 보존되고 있어 이 칩속의 돈으로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면 그 사용금액만큼 차감되게 됩니다.CBDC는 블록체인을 이용해 전자적 형태로 저장한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암호화폐와 비슷하지만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보증한다는 점에서는 비트코인과는 안정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가의 보증으로 인해서 디지털화폐는 비트코인이나 다른 코인들과는 달리 가치 변동이 없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2
0
0
주식배당금 잘 받을 수 있는방법이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배당금을 잘받는 방법이 있는것은 아닙니다.다만, 배당률이 높은 회사를 찾아서 투자를 하는것이 맞습니다.일반적으로 배당률이 높은 회사들의 기본 조건은1.수익성이 높은 회사2.외국인 지분율이 높은회사3.과거부터 꾸준한 배당을 해오던 회사네이버에서 검색조건에 배당률로 검색해보시면 배당이 높은 회사들이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그 중에서 회사가 재무가 안정적인 회사로 투자를 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2
0
0
향후 금리인하가 될수있는 조건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연준입니다. 연준이 현재까지 주장하고 있는 것은 인플레이션의 2%대 안착입니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경기침체가 온다면 일시적인 금리인상을 멈추거나 혹은 약간의 인하가 있을수는 있지만결국은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게 된다면 연준은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연중의 지상최대 목표는 2가지 1.물가안정2.고용안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기침체로 인해 시장에 떠밀려서 일시적인 금리인하는 있을수 있을지도 모르나결국에는 인플레이션율의 2%대 (연준이 연초에 말했던 것은 연착륙이나, 현재는 경착륙쪽에 무게를 두고있습니다)가 될때까지 금리인하는 없다고 얘기했습니다.결국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잡힐때까지는 최대한 기다리는것이 답일것 같습니다.
경제 /
대출
22.08.12
0
0
미국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 시총이 삼성전자보다 높은 기업들이 많은데?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는 국가의 안전성 및 위험성이 그 국가의 주식시장에 대한 선호도와 가치가 달라지게 됩니다.한국 주식시장은 지정학적으로 항상 전쟁의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시장보다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같은 회사를 상장하게 되더라도 가치평가가 낮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하지만 미국시장은 전쟁리스크에서 언제나 자유롭기 때문에 다른 시장들보다 항상 안전성 측면에서 시장소비자들에게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이는 곧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그래서 같은 회사를 어느 곳에서 상장할지를 항상 고민하고 준비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한국의 쿠팡이 미국에서 상장하였으며 중국의 알리바바도 미국시장에서 상장을 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12
0
0
금리뜻과 물가의 뜻 , 그리고 둘간의 영향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뉴스에서 이야기하는 금리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기준금리'를 이야기합니다.그리고 물가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이야기합니다.금리와 물가는 일반적으론 상반관계에 있습니다.금리가 올라가면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가 줄어들어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게 되고 이는 즉 물가의 하락으로 이어집니다.그리고 금리가 낮아지면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가 증가하고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즉 물가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예금·적금
22.08.12
0
0
물가가 오르고 나서 물가가 다시 내릴 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는 소비자가 체감하고 구입하게 되는 생산품 및 서비스의 가격수준을 의미하는데요실제로 물가가 오르더라도 금리가 오르고 이러한 생산품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가격은 떨어지게 됩니다. 전체의 물가의 예보다는 가볍게 물가지수를 구성하는 몇가지 상품들을 예를 들면1.상추가격 폭등-상추를 생산하는데 날씨가 좋지 않아서 상추가격이 금상추라고 불린적이 있었지요. 하지만 상추가격이 비싸짐에 따라 상추를 재배하는 농가들이 많이 생기고 공급이 증가하여 결국 상추 가격은 원래대로 내려가게 되었습니다. (물가의 상승 하지만 공급 증가로 인한 물가 하락)2.휘발유 가격 상승-최근 휘발유 가격이 2200원까지 간적이 있었지요. 하지만 지금 휘발유 가격은 1900원대로 낮아졌습니다. 그 이유는 공급물량에 대비 소비 물량이 점차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물가의 상승 하지만 수요 감소로 인한 물가 하락)이렇게 물가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급과 수요에 따라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하기 때문에 결국 물가도 오르고 있지만 힘든 시기를 지내고 나면 다시 안정이 될거에요.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경제동향
22.08.12
0
0
나라에서 청년들한테 주는 지원금같은 거 뭐뭐 있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나라에서 청년들에게 주는 가장 큰 지원금은 '청년내일공제'를 들수 있을 것 같습니다.이 상품은 5인 이상 중소기업에 취업 한 후에 2년간 꾸준히 적금식으로 매월 납입하게 되면 만기 시 1000만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지원 요건은 만 15세부터 34세 사이의 중소기업 취업 청년으로 월 급여 총액이 3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만일 군필자라면 군복무기간에비례해 참여제한 연령의 상한선이 높아질 수 있어 최고 만 39세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 시 매달 12만5천원씩 2년간 총 300만원의 금액을 적립하게 되면 정부는 600만원, 기업이 300만원을 공동으로 적립하여 주게 됩니다. 이렇게되면 만기시 원금 1,200만원(개인 300만원 , 정부 600만원, 기업 300만원)과 이자금액을 받을 수 있게 됩ㄴ다. 초기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에게는 큰 지원금이 될 수 있을것이라 생각되네요좋은하루 되세요!^^
경제 /
예금·적금
22.08.12
0
0
1945
1946
1947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