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의원과 병원의 차이는 뭐죠???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의원과 병원의 차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에 따른 것으로 입원실 병상 갯수의 차이입니다. 입원실 침대가 30개 이상인 의료기관은 병원이라는 명칭을 29개 이하인 의료기관은 의원으로 개설합니다. 따라서 의원이었다가 입원실을 30개 이상 확보하면 병원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01.07
0
0
듀오덤(duoderm) 떼는 시기??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듀오덤은 감염이 없는 깨끗한 상처에 사용할 수 있는 드레싱 제제로 상처에서 나오는 진물을 흡수하고 습윤한 환경을 제공하여 상처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너무 오래 붙이고 계시면 흡수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하얀색으로 변하고 부풀어오른 듀오덤은 교체해주셔야 됩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7
0
0
헤르페스 치료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헤르페스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초발감염 후 신경절에 숨어있다가 면역이 약화될 때 재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고용량으로 약을 사용해도 신경절의 바이러스를 완전히 박멸할 수는 없습니다.따라서 평소 건강관리를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나 재발이 잦은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낮은 용량으로 꾸준히 드시는 방법이 있습니다.질문자분의 경우 미리 약을 처방받아 두고 헤르페스가 올라올 때 약을 드시면 비교적 가볍게 지나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7
0
0
아나필락시스쇼크로 인한 병력많은데 백신맞아도될까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아나필락시스 쇼크 병력이 있는 분들은 백신 접종을 안하시는 게 더 안전하겠습니다.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접종을 받지 않고 COVID-19에 걸리는 것보다 더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01.07
0
0
손가락관절염, 어떤 원인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노인분들 특히 손을 많이 쓰시는 분들은 퇴행성 골관절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양쪽 손을 대칭적으로 침범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은 퇴행성 괄절염보다는 더 젊은 나이에 발생합니다.건선 환자들에서는 건선관절염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2.01.07
0
0
아토피가 있는데 매일 샤워하는게 안 좋나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아토피 환자분들이 많이들 걱정하시는 부분입니다. 샤워를 자주하면 각질의 보습성분이 씻겨나가서 건조해질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외부 물질이 피부에 흡착되어 여러 자극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질문자분의 경우 매일 샤워하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샤워 후에는 건조증을 막기 위해 물기를 제거한 후 바로 보습제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샤워시에는 너무 뜨거운 물로 씻는 것이나 때를 불려서 미는 것도 피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7
0
0
탈모에 도움이 되는 약재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머리숱이 많이 빠지는 경우와 머리숱이 가늘어지는 경우 등 여러 증상을 다 탈모라고 부르기 때문에 다 같은 탈모가 아닐 수 있습니다. 피부과 진료를 받고 정확한 치료를 하시는 게 좋습니다.
의료상담 /
안과
22.01.07
0
0
입술터진데 바세린 발라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바세린은 석유에서 추출되는 여러 탄화수소 화합물의 혼합물로 기름막을 형성하는 능력이 매우 좋은 보습제입니다. 소량 먹는 것으로는 큰 문제가 없으니 입술이나피부의 깨끗한 상처에 바르셔도 안전합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7
0
0
발톱 검은세로선이 안없어지는데..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발톱을 만드는 부위에 피부색을 나타내는 멜라닌 세포가 활성화되는 경우 색소를 많이 만들어 발톱에 세로선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꽉끼는 신발을 신고다니시는 분들에서 더 자주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나이가 드시면 발톱이 자라는 속도가 느려지면서 발톱이 노랗게 보일 수 있습니다. 무좀으로 인한 변화일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01.07
0
0
간경화 증상과 치료,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간경화는 간의 기능이 거의 남지 않고 간이 딱딱해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래는 간을 통과하고 걸러져야하는 혈액이 딱딱해진 간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원래는 혈액량이 많지 않은 다른 혈관으로 우회해서 다니게 됩니다. 간경화 환자분들의 몸통을 보면 혈관들이 도드라지는데 이를 '메두사의 머리'라고 합니다. 또한 거미줄 모양의 혈관이 몸 여기저기에서 보일 수 있는데 이를 거미혈관종이라고 합니다. 간경화가 심한 분들은 복수가 차기도 합니다. 복수가 많이 차면 전신순환 혈액량이 줄어들고 호흡이 어려워져 이것만으로 사망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간에서 걸러져야할 대사산물들이 쌓이고 이로 인해 간성혼수(간성뇌증)가 발생하기도 합니다.여러 약을 쓰지만 이는 증상을 조절하는 것뿐 근본적인 치료는 간이식을 받는 것입니다. 그러나 알콜성 간경화 환자들은 술을 끊지 못해서 면역억제제도 잘 안먹고 다시 간경화를 만드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까운 간만 버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기간 금주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이식을 하지 않는게 맞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01.07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