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알바 하던 곳이 폐업을 했는데 월급을 2주 가까이 못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먼저 임금체불과 근로계약서 미작성으로 노동청에 신고하신 뒤, 간이대지급금 신청 위한 임금체불등 사업주 확인서를 발급받으시고근로복지공단 토탈서비스에서 간이대지급금을 청구 신청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체불
21.12.08
0
0
5인이상 법인회사 근로자 연차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1주 15시간 이상 근로하셨다면현재 연차유급 휴가는 1개월 개근 시 1일이 발생합니다.이와 별도로 입사일로부터 1년 간 80%이상 출근하셨다면 2022년 입사일 이후, 15일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주휴수당도 요청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12.08
0
0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먼저,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피보험 단위기간이 합산하여 180일 이상인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또한 통근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 그 사유가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여야 합니다.1. 사업장의 이전2. 지역을 달리하는 사업장으로의 전근3. 배우자나 부양하여야 할 친족과의 동거를 위한 거소 이전4. 그 밖에 피할 수 없는 사유로 통근이 곤란한 경우 실업급여 신청시 고용센터에서 위와 같은 사유의 증명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08
0
0
산재와 관련하여 문의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산재가 발생한 시점이 근무 중이라면 회사를 그만 둔 후에 근무 중에 발생한 산재를 신청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유의하셔야 할 점은 근로기준법 제23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의 요양을 위하여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 동안 또는 산전(産前)ㆍ산후(産後)의 여성이 이 법에 따라 휴업한 기간과 그 후 30일 동안은 해고하지 못한다고 하여 8월 중순으로 상실신고 해 달라는 것(-> 퇴사)이 해고가 아닌점을 사직서를 받는 등 명확히 해 두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만, 상실 등의 신고는 실제 상실 등의 사유가 발생한 날로 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1.12.08
0
0
1년이상 근무자입니다. 연차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상 연차휴가는 5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ㅜㅜ회사에서 호의적으로 주는 것은 상관없지만, 근로기준법상 5인 미만 사업주의 연차휴가 지급 의무는 없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08
0
0
실업급여 신청후 일일알바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아르바이트는 할 수 있으나사랑새님 실업급여 담당자분께 아르바이트 한 내용을 말씀드려야 하고말씀드리면 담당자분께서 본인의 경우에 어떻게 되는지 자세하게 말씀해주실 겁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08
0
0
회사에서일하다가무릎을다쳤는데..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회사에 어떤식으로 처리하셨는지 여쭤보시길 바랍니다.2주 정도 일을 못하셔서 회사에서 그 부분만큼 임금을 제하고 주신다고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산재신청을 하셨다면 치료기간동안 요양급여(치료비), 휴업급여(생활비) 등 요건에 맞는 급여를 지급받으시게 됩니다. 자세한 산재관련 문의는 공단 해당 지사에 여쭤보시면 자세히 설명해주실겁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08
0
0
알바생이 일하다 다쳤는데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 미작성의 부담은 사용자가 오롯이 지므로 지금이라도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시고 4대보험을 신고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일이 있을 때만 불러 일을 하셨다는 점은 일용직 근로자로 보입니다. )특히 산재보험은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의 의무입니다! 산재보험에 가입하여 재해자(다치신 분)가 산업재해를 신청하게 되면 재해자는 요양급여(치료비), 휴업급여(생활비)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물론, 산재보험 미 가입상태에서 벌어진 재해(업무상 사고)에 관하여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고, (그간 내야 하는 산재보험료+과태료+연체가산금) 재해자가 산업재해를 신청하여 받게 되는 금액의 50% (미납보험료의 5배를 최대로)를 공단이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다만, 향후 분쟁을 생각하면 적법하게 처리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07
0
0
주말알바 주휴수당 및 임금을 얼마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시급제 근로자의 급여는 시급x일한 시간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4주간 평균 1주 15시간이 되지 않으므로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12.07
0
0
직장내 갑질과 폭언등은 어디에 신고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이헤라 노무사입니다.질문남겨주신 직장 내 갑질과 폭언등은 근로기준법상 직장 내 괴롭힘으로 접근해볼 수 있습니다.직장 내 괴롭힘이 의심된다면 근로기준법에 따라 누구든지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만약 사용자가 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사업장 주소지의 관할 노동청에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신고시 직접 가능하지만 직장 내 괴롭힘 인정은 민감한 사안으로 일반적으로 노무사를 선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좀더 철저한 준비와 조언이 필요하시다면 가까운 노무법인의 상담을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신고한 사람에 대해서 사용자가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직장내괴롭힘
21.12.07
0
0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