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약·영양제
위장약으로 겔포스? 카베진? 어떤 것이 나은가요? (구의역 30대중반/남 위장약)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카베진코와 정은 양배추추출물 뿐만 아니라 제산제, 항콜린제 등의 약 성분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단순히 양배추추출물만 들어가 있다면 장기간 복용하셔도 괜찮겠지만, 다른 위장약 성분이 같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장복하시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으며, 지금처럼 속이 미식거리고 토할 것 같은 구역, 구토 증상이 있을 때에는 병원에서 처방받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 또는 위산 분비 억제제 등의 위장약들이 더 나은 효과를 나타냅니다.점심에 카베진코와를 드셨다 하더라도 저녁에 처방받으신 위장약을 드시는 것은 크게 문제 없을 듯 합니다. 대신 같이 복용하지는 말아주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눈이 붓는데 어떤 성분약일까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약국에서 액상캡슐 성분의 약을 드시고 나서 눈이 부은 경험이 있고, 이번 감기약에서도 눈이 붓는 것 봐서는 아마 소염진통제 성분 때문에 눈이 붓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NSAIDs 라는 소염해열진통제 들이 혈관 부종 등의 부작용으로 붓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복용하시는 약물 중에서 록소원정이 이에 해당되는데, 흰색 동그란 약 중 XO 라고 적힌 약입니다. 이 약을 일단 빼고 복용을 해보시고, 빼고 복용을 하였더니 눈 붓는게 없다면은 이 약이 원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다음부터는 병원 또는 약국에서 약을 처방 또는 구매하실 일이 있다면 반드시 사전에 NSAIDs 계열의 소염진통제에 알러지 증상이 있음을 알리시고,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성분의 해열 진통제를 주로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물집 터트린후 어떤 연고를 발라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화상 후 물집이 생기고 물집을 터뜨리셨다면 반드시 항생제 계열의 연고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다음에는 집에서 무리하게 물집을 터뜨리지 않는 것이 낫습니다.) 항생제 연고를 하시면서 드레싱을 하셔야 하는데, 드레싱의 경우 거즈, 밴드 종류는 상처부위를 너무 건조하게 하기도 하고, 드레싱 교체시에 새 조직이 같이 떨어져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메디폼과 같으 습윤 드레싱을 하는 것을 추천드리는데, 메디폼 중에서도 하이드로콜로이드 성분의 얇은, 접착력이 있는 제품 말고 스폰지 같이 폭신폭신한 "폼" 타입의 제품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폼 타입의 경우에도 두께가 1, 2, 5mm 로 다양하게 나오는데 화상의 정도, 진물이 나오는 정도에 따라 약사님에게 문의하시어 선택을 하시면 되겠습니다.정리하자면, 화상 후에 찬물 등으로 냉각->물집이 터졌다면 항생제 연고를 얇게 바르고->"폼" 타입의 드레싱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하지만, 혹시라도 화상이 부위가 크고 심한 정도의 화상이라면은 집에서 무리하게 처치하지 마시고 꼭 병원에 방문하시어 드레싱 처치 및 경구용 약을 같이 처방받으시어 화상 부위가 덧나거나 염증이 심해지지 않도록 해주셔야 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유산균은 아침 공복에 먹는 것이 가장 좋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사실 유산균의 복용 시간에 대해서는 현재 전문가들 마다도 의견이 다릅니다. 유산균은 섭취하여 장까지 무사히 도달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식후에 분비되는 위산, 담즙 등에 의해서 장에 도달하는 유산균의 수가 감소하므로 아침 식전에 먹으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요즘 출시되는 제품들은 회사마다 각각의 코팅법을 이용하여 식후에 먹더라도 어느 정도 장에 잘 도달하게끔 설계를 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식전에 다량의 물과 함께 복용하도록 노력하되, 혹시라도 식전에 드시는 것을 깜빡하거나 놓치셨다면 식후라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복용법에 너무 큰 고민하지 마시고 꾸준히 매일 복용하시는 습관을 들이시는게 가장 중요하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안녕하세요.약사님 조아제약 면역칸 이라는 약이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면역칸은 아연과 베타글루칸이 함유되어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을 절대 대신 할 수 없습니다. 백신 접종 후에 몸살, 두통, 발열 등의 증상이 있을 때에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을 복용하셔야지, 면역칸과 같은 건강기능식품은 열을 내려주거나 통증을 제거 해주는 성분이 아니므로 면역칸만 드시는 것은 피하셔야 합니다.면역칸에 함유되어 있는 아연과 베타글루칸 성분은 면역력 증진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이고, 단기간 복용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면역력 증가와 같은 건강관리 목적으로써 장기간 복용하시는 것이 맞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만 10세 여아 타이레놀정 500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타이레놀 성분은 12세 이하인 경우 몸무게 kg 당 10~15mg을 주로 투여하게 되는데, 현재 몸무게가 48kg 정도이기 때문에 500mg을 투여했다고 해서 크게 문제되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미열인 경우에는 정용량 보다는 조금 적은 용량을 투여하는 경우가 많고, 미열이라 하더라도 아이의 컨디션도 좋고 하다면 투여를 조금 미루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다음에 약국에 방문하실 일이 있다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 중 325mg 이 함유된 제품들이 있는데 만 10세 라면 325mg 정도 함유된 제품이 사용하시기에는 더 편하실 듯 합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약의 효능이 일어나는 시간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약은 보통 복용 후에 위에서 약물이 잘게 부서지고, 위액에 녹은 후, 장으로 이동하여 흡수가 되고, 흡수된 약이 혈액을 통하여 몸 전체로 퍼지면서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서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데, 사람들마다 그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다르겠지만 30분~2시간 정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영양제나 일반의약품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골다공증은 병원에서 골밀도를 검사하면 T-score 라는 것이 나와 이 수치를 확인하시어 본인이 골다공증 인지 아닌지를 보시고, 골다공증이 아니라면 그때 영양제를 예방목적으로 복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골다공증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칼슘 성분인데, 칼슘 단독으로 고함량으로 드실 경우에는 칼슘 패러독스라고 하여 오히려 혈관 석회화, 결석 등의 칼슘 과잉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칼슘의 이용 효율을 높이고, 칼슘이 뼈로 잘 이동하는데 도울을 줄 수 있는 마그네슘, 비타민D, 비타민K2 등의 성분을 같이 복용하시는 것이 좋은데, 각각 따로 드시기 보다는 말씀드린 성분이 함께 들어있는 제품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칼슘은 종류에 따라 가스참, 속쓰림, 변비 등의 부작용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약사님과 상의하시어 적절한 제품을 고르시는게 좋습니다.칼슘은 위산의 분비가 잘 되는 상황에서 흡수율이 좋기 때문에 공복에 드시기 보다는 식후에 드신느 것이 좋으며, 제품에 따라 하루 2회 또는 하루 1회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루 1회일 경우에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신경 안정 효과 등을 기대하여 저녁에 드시는 것이 좋겠습니다.이 외에도 콜라겐 같은 성분들도 뼈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같이 복용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영양제
21.11.22
0
0
감기약의 주 성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감기약이라고 하는 것은 감기 각각의 증상을 잡아주기 위한 대증요법입니다.감기에 따른 발열, 몸살,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각각의 증상에 맞는 약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주 성분이라고 말씀드리기에는 각각의 증상에 사용되는 약들이 너무 많아 다 말씀드리기는 힘들고, 일반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약들의 종류를 말씀드리겠습니다.발열이나 몸살 증상에서는 해열, 진통제를 사용하는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등을 사용합니다.콧물의 증상에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는데 클로르페니라민, 트리플로리딘 등을 사용합니다.가래 증상에는 묽은 가래일 경우에는 콧물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가 효과가 있으며, 끈적거리는 점도가 높은 가래의 경우에는 아세틸시스테인, 암브록솔, 브롬헥신 등의 성분을 사용합니다.기침은 덱스트로메토르판, 메틸에페드린, 노스카핀 등의 성분이 사용되며, 코막힘 증상에는 슈도에페드린, 페닐레프린 성분이 사용됩니다.이외에도 감기에 도움을 주는 한방 성분의 약도 있습니다. 액체류, 가루, 알약이든지 들어가 있는 성분은 거의 다 비슷하지만, 액체류가 알약이나 가루약에 비하여 효과가 조금 더 빠르게 나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효능상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본인이 편한 타입을 선택하시면 되시겠습니다.감기약은 제품마다 위에서 언급한 성분들이 서로 다른 종류로, 다른 함량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약사님께 본인의 증상을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그 증상에 보다 효과적인 약을 추천해주실 겁니다. 그리고 일반의약품으로 효과가 있지 않을 때에는 꼭 병원에 방문하시어 처방의약품으로 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처방받은 약도 유통기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처방받으신 약 중 비닐로 포장된 같은 경우는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1년까지도 보관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보통 6개월 정도까지만 보관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PTP 포장으로 조제받으신 경우에는 유효기간 이내로 사용하시는 것은 문제 없겠습니다.간혹 약을 냉장고에 보관하겠다는 분들이 있으신데, 인슐린 주사나 일부 냉장이 꼭 필요한 약들을 제외하고는 실온에, 햇볕이 직접적으로 들지 않는 곳에 보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약·영양제 /
약 복용
21.11.22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