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증류수는 어는 점, 끓는 점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은 증류수로 온도계 보정을 통해 얻습니다. 따라서 순수한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이 0도와 100도인것입니다. 다른 물질이 들어간 생수나 그외 물들은 순수한 물에 비해 어는점과 끓는점이 조금씩 다릅니다. 순수한 물의 성분은 H2O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1.04
0
0
사해의 염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사해의 염도가 높은 이유는 주변 요르단 강을 비롯한 작은 하천들이나 샘물으르 통해 주로 마그네슘이나, 나트륨등으로 이루어진 소금이 사해로유입됩니다. 그러나 사해는 고도가 낮아 증발되는 물외엔 빠져나갈 방법이 없습니다. 물이 매년 증발되지만 새롭게 채워지진 않아 염도가 바다보다 몇배나 높은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상시 켜 둘 필요가 없는 곳은 센서등을 다는데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센서등안에 회로에 전해 콘덴서 라는 부품이 있습니다. 이 부품에 의해 점등 시간이 결정됩니다. 이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시간이 결정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용량이 클수록 점등시간이 길어지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4
0
0
전자파 차단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파는 정확하게 말해 전기장과 자기장을 뜻합니다. 차단하는 소재도 있고 흡수하는 소재도 있지만 실생활엔 차단하는 소재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기장의 경우 비교적 차단, 흡수가 용이하나 자기장의 경우는 그 효율등이 한겹의 소재로는 많이 떨어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4
0
0
물은 99도에서 끓지 않는다는 말은?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끓는 점이 100도 인건 임계점이 100도 라는 것입니다. 임계점은 쉽게 말해 무언가 물질의 성질이 변화하는 지점입니다. 물이 99도에서 끓지 않는다는 말은 99도에서는 기체가 되지 않지만 100도에선 기체가 된다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음식등을 할때 끓어 오르는 현상을 빗대어 이야기한것은 아닙니다.
학문 /
화학
23.01.03
0
0
영화처럼 소행성이 지구랑 충돌할 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물론입니다. 소행성과 충돌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예측하기 위해 많은 돈과 시간을 들여서 관찰하고 있는것이지요.소행성 낙하시 속도가 엄청나기 때문에 적당한 무게의 운석, 소행성이 떨어진다면 영화와 같은일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그런일이 없길 바래야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3
0
0
세상의 대부분의 금속이 모두 산화를 하는데..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산화라는 작용은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만나 생기게 되는 현상입니다. 금속마다 산화되는 속도와 친화도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도 다른것입니다. 또한 코팅을 통해 산화 방지를 하기도해 사용되는 목적이나 형태에 따라 산화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1.03
0
0
운석은 과학적으로 어떤 가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운석은 과학자들이 직접 우수의 물질을 만져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샘플이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가치가 높습니다. 특히 낙하한지 얼마 안되는 운석의 경우 많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치가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3
0
0
라이터가 성냥보다 빨리 발명된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라이터가 성냥보다 먼저 발명되었습니다. 독일에서 발명되었지만 초기 라이터는 무겁고 위험한 물질을 사용해서 대중화 되지 못했습니다. 그후 라이터가 대중화 되면서 성냥이 쇠퇴하게 된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3
0
0
스톤헨지가 만들어진 목적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도 미스테리중에 하나입니다. 다만 기존에 두개의 큰돌이 원래 먼저 있었고 그 돌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곳에서 돌을 가져와서 스톤헨지를 만들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졌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3
0
0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