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경남 김해 금관가야는 어떤 나라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금관가야는 서기 전후부터 서기 532년까지 존속하던 전기 가야의 대표적인 나라인 김해의 가락국을 일반적으로 부르던 호칭으로 원래 9촌의 장이 있어 각촌을 다스리다가 수로왕이 나와 9촌을 통일하였고 후대로 내려와 본가야 중심의 6가야 연맹체를 결성했습니다.수로왕 이래 491년 계속되다가 532년 신라에게 멸망하였습니다.그 지리적 위치가 낙동강 하류의 해안지대이므로 왜인, 한인 무역선의 왕래가 있었으며 경제, 문화적으로 상당히 발달한 나라로 짐작됩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인생에 도움이 되는 책이나 어절 추천부탁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데일 카네기 인간 관계론, 미움받을 용기, 감정 어휘, 불편한 편의점, 평범한 인생, 기분을 관리하면 인생이 관리된다, 나로서 충분히 괜찮은 사람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진시황은 정말 수은을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시황은 수은 중독으로 유명합니다.수은을 불사의 영약으로 여겨 바르거나 먹었다고 합니다.또, 수은으로 연고를 만들어 상처에 발랐다고 합니다.진시황의 말년의 기행과 폭정, 폭군, 암군의 행태는 그가 중장년부터 꾸준히 복용한 수은 중독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3
0
0
조선시대의 경제육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제육전은 1397년 편찬, 반포된 조선시대 최고의 공적인 법제서 입니다.조선 초기 태조의 법치주의 이념이 담긴 것으로 절대적인 가치가 부여되어 성종 때 경국대전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법전의 초석이 되었으며 경국대전의 편찬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조선왕조 법치국가의 기틀을 제공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테헤란로가 이란과 어떤 관계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테헤란로는 1977년 서울특별시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이란의 수도 테헤란시의 자매결연을 맺은 것을 기념하여 대한민국과 이란 두 나라의 도시에 있는 도로에 서로의 도시 이름을 붙인데서 유래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리차드 커티스 감독의 작품 중 꼭 봐야 할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위 어 스틸 히어, 예스터데이, 맘마미아!2, 트래쉬, 브리짓 존스의 일기, 노팅힐, 러브액츄얼리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3
0
0
노다지라는 말이 우리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다지는 쉽게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됩니다.또, 필요한 물건이나 이익이 한 군데서 많이 쏟아져 나오는 일을 뜻하는 것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노다지는 한자어라는 것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고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교육기관인 서원의 시초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은 소수서원 입니다.최초의 주자학으로 알려진 문성공 안향 선생이 유배시절 머물렀던 자리에 세워진 서원은 마을의 이름을 딴 백운동 서원으로 불리다가 퇴계 이황 선생이 명종에게 현판을 하사받아 지금의 소수서원으로 바뀌었습니다.즉, 백운동 서원 (소수서원)은 조선 중종 38년 주세붕이 경상북도 영주시의 백운동에 세웠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기생과 기녀의 차이점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녀는 두가지 의미로 나뉩니다.-궁중연회에서 노래와 춤으로 여흥을 돋우는 가기, 무기 개념으로 이들은 여악, 예기, 성기 등으로 불렸습니다.가기와 무기는 음악, 무용, 문학, 서예 등 다방면으로 교양을 갖춘 예능 종사자였습니다.- 매음을 업으로 삼는 창기 뜻으로 기녀 개념에는 기생도 포함됩니다.기생은 의녀, 여악, 침선비 등과 더불어 기녀 가운데 맨 상부층에 속하는 여인들로, 일패, 이패, 삼패 의 등급이 있었습니다.일패는 기예가 뛰어난 궁중 여악으로 국가적인 행사 대 가무를 하는 기생을 지칭하며 기녀 중 최고의 대우를 받았습니다.이패는 관청이나 재상집에 출입하는 기생으로 은군자 라고 했습니다.삼패는 탑앙모리로 불리고 술좌석에서 품위있는 가무는 못하고 잡가나 부르며 매음도 하는 창기를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고려장은 왜 한국 풍습으로 알게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장은 고려시대 나이 든 부모를 다른 곳에 버려두고 오던 풍습이 있었다는 설화입니다.이는 설화로 존재하던 이야기들이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제국에서 조선 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제작한 조선의 동화를 다룬 동화집에도 실렸고, 학생들을 잘못된 풍습으로 인하여 나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방도 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1783
1784
1785
1786
1787
1788
1789
1790
1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