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초콜릿 및 과자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 및 역사적 기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조선시대 말기 처음으로 초콜릿이 등장했습니다.개화기에 초콜릿을 저고령당이라는 이름으로 궁중에서 먹었는데 규방외교를 했던 칼 웨베르 러시아공사 부인이 양화장품과 더불어 저고령당을 왕비인 명성황후에게 바친것이 한국인으로는 가장 처음 초콜릿을 맛보았다고 전해집니다.또, 최초의 과자로는 공장에서 생산하여 유통된 것으로 따지면 1945년 해태 연양갱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조선시대 이시애의 난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시애의 난은 1467년 함경도의 호족 이시애가 일으킨 반란입니다.세조는 즉위하면서 중앙집권의 강화를 위해 북도 출신 수령의 임명을 제한하고 경관으로 대체하며 수령들에게 지방유지들의 자치기구인 유향소의 감독을 강화하게 하여 출신인 수령들과 유향소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회령부사를 지내다가 상을 당하여 관직을 사퇴한 이시애는 유향소의 불만, 불평과 백성의 지역감정에 편승해서 아우 시합, 매부 이명효와 반역을 음모하고 1467년 5월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조선시대의 대동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동법은 조선시대에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제도를 말합니다.조선전기 조세 슈취의 원칙인 조용조로 삼분화되어있던 수취기준을 전제와 군역으로 나누어 작미와 작포로 거두는 형태로 정리하고 조선 전기에 고려되지 않아 자체적으로 해결해야만 했던 지방 관아의 운영비를 포함한 각종 잡세에 대해 조세 정책안에 포함시켜 일원화한 조선 중후기의 조세개혁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2
0
0
인상주의 학파의 대표적인 작가는 누군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상주의는 당대 실생활을 그렸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삼으며, 풍경 자체가 아니라 풍경이 낳은 감각을 묘사했습니다.이에 실물과 일치하는 외양을 창조하면서 그 안에 개인의 자유를 드러냈습니다.인상주의 화가로는 에두아르 마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에드가 드가, 폴 세잔, 클로드 모네, 빈센트 반 고흐 등이 있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2
0
0
조선시대의 외거노비, 솔거노비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외거노비는 고려와 조선시대 재산과 가족을 거느릴수 있는 자유로운 노비로 노비는 재산으로 인정될 정도로 인격이 무시된 신분이나 외거노비는 가족과 재산을 소유할수 있고 독립적인 생활을 할수 있었으며 부모 가운데 한 사람이 노비이면 자식은 노비가 되었고, 노비의 소유권은 종모법에 따랐습니다.솔거노비는 주인이 노비를 직접 거주지에 함께 데리고 산다는 뜻에서 나왔습니다.간혹은 주인집 가까운 근처에 거주하면서 주인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대가로 경제적 지원을 받은 노비입니다.
학문 /
역사
23.02.12
0
0
호미곶에 있는 상생의 손의 탄생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생의 손은 바다에는 오른손, 땅에는 왼손이 있습니다.21세기에는 온 인류가 화합하고 화해하며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자는 의미로 조각된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2.12
0
0
성악의 역사가 언제부터였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악의 역사는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단편적인 선율로 시작되었고 중세시대의 그레고리안 성가는 순수한 성악의 형태를 유지하였으며 그 시대에는 사람의 몸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성악이 가장 고귀한 소리로 여겼습니다.그레고리안 성가에서 발전한 단선율의 성악 음악은 미사, 칸타타, 오페라 등의 다양한 장르로 발전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2.12
0
0
미술에서 데셍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데생은 소묘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 채색을 쓰지 않고 주로 연필이나 콩테, 목탄, 파스텔 등을 사용하여 선으로 그린 그림 또는 그 회화표현을 말합니다.화가에게 있어 가장 기본적인 기술 중 하나이며, 이전에는 회화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예비적 밑그림을 그리는 과정으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하나의 독립된 작품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학문 /
미술
23.02.12
0
0
건빵을 보면 구멍이 뚫려 있는데 기능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스트로 발효된 건빵 반죽을 구울 때 탄산가스로 인해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이 가스를 뺴려고 반죽에 구멍을 냅니다.구멍이 한개일 경우 쉽게 볼록해지거나 터지고 반대로 구멍이 많으면 가스가 모두 빠져 납작해지므로 두개만 만든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2.11
0
0
투우는 어느 나라에서 시작된 문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투우는 에스파냐에 투우를 전한 것은 무어인이라고 하며 17세기 말경까지에는 전적으로 궁정의 오락거리로 귀족들 사이에서 성행했습니다. 18세기 초 부르봉 왕조시대에 이르러 현재와 같이 일반 군중들 앞에서 구경거리로 행해졌으며 투우사의 개조는 에스파냐 남부 출신인 프란시스코 로메로라고 하며 지금도 에스파냐의 투우사 중에는 에스파냐 남부 출신이 많습니다투우는 스페인, 포르투갈 등 이베리아 반도 국가들이나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전통적으로 행해져왔고, 스페인에서 큰 인기를 끌어 국기로 되어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2.11
0
0
1792
1793
1794
1795
1796
1797
1798
1799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