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프리다 칼로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리다칼로가 큰 사고를 당하면서 침대에 누워서만 생활하게 되고 이에 두 손만 자유로웠던 프리다칼로가 할수있는건 그림을 그리는것이었습니다프리다칼로 부모는 그녀를 위해 침대지붕 밑면에 전신거울을 설치한 캐노피침대와 누워서도 그림을 그릴수 있도록 이젤을 설치해줍니다프리다칼로는 거울에 비친 자신을 관찰하며 자화상을 그리기 시작합니다칼로는 자화상에 대하여 '나는 너무나 자주 혼자이기에 또 내가 가장 잘 아는 주제이기에 나를 그린다'라고 말하였습니다
학문 /
미술
22.10.16
0
0
화장은 언제부터 하기 시작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장이 최초로 도입된건 확실히 밝혀지진 않았습니다다만, 가장 오래된 증거로 추측할 뿐이죠그 증거는 스페인 남부 무르시아 지방에서 발견된 조개껍데기인데, 여기서 화장품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찾아냅니다파운데이션처럼 사용한 것으로 노란색의 색소와 검은색 광물이 섞인 붉은색 파우더를 발굴합니다네안데르탈인들은 조개껍데기에 화장용색소를 담거나 화장도구로 쓰기로 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미술
22.10.15
0
0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는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프랑수아 클루에작품: 피에르구테 목욕하는 귀부인2. 산드로보티첼리작품: 비너스의 탄생 봄3. 레오나르도 다빈치작품: 모나리자 최후의 만찬4.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작품: 시스티나성당 아담의 창조(천지창조) 원죄
학문 /
미술
22.10.13
0
0
음악업계 은어로 쓰는 '야마'의 어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야마는 음악계에서 자주 사용하는 은어로 잘못된 표현이긴 합니다 :)일본말로 야마는 산을 말하는데 밋밋하고 평이한 진행가운데 산처럼 특출나게 귀에 잘 들어오고 기억에 오래남는 부분을 뚯하는 것입니다영어로는 훅(HOOK)으로 표현됩니다
학문 /
음악
22.10.13
0
0
사자가 동물의왕이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물의 왕 사자는, 그 힘을 따지는 의미가 아닙니다유럽에서부터 전해오는건데, 유럽에서는 곰숭배가 퍼져있었습니다그런데 교회가 이를 싫어합니다 예수님을 두고 곰을 숭배하는게 이해가 되지 않았기때문입니다이에 로마의 교회가 검을 왕좌에서 끌어내리고 비어진 왕좌에 어느 동물이 들어가는가에대해 고심합니다사자는 카롤로스대제시절부터 동물계의 신예로 떠올라있었고 외관도 만족할만한 동물이었죠세비야의 이시도루스는 어원학에서 사자에게 모든야수의 우두머리 라 칭하며 왕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합니다즉 동물의 왕 사자는 유럽에서부터 전해오며 힘 보다는 그의 외관으로부터 시작되어 사람들이 의미를 부여하며 만들어진 문구입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부활절은 어떤 맥락에서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활절은 십자가에 매달려 죽은 예수가 다시 살아남을 찬양하는 날입니다이스라엘 백성은 애굽 군대의 추격을 받으며 긴장과 공포의 순간을 맞이하지만 하나님의 보호하심 아래 무사히 홍대바다릉 건널수 있었다고 합니다그러나 뒤따라오던 애굽군대는 갈라져있던 바다가 다시 합쳐지며 모두 수장되고 하나님께서 놀라우신 권능의 날을 잊지않고 기억하게 하기 위해 홍해바다를 건너 상륙했던 날을 해마다 기념하게 하신것이니 이것이 곧 부활절의 유래가 됩니다부활절에 달걀을 나눠주는 풍습은 십자군 전쟁 당시 로자린드 부인이 산골마을에 피해 살면서 그 곳 주민들의 친절에 감동하여 부활절마다 달걀을 나눠주는 것에서부터 유래하게 되었습니다로자린드 부인이 나눠준 달걀에는 하나님의 사랑을 믿자 라고 씌여있었고 이는 로자린드의 가훈이였습니다일화는 어느 해 부활절날 로자린드 부인이 길에서 병든 어머니를 찾아다니는 소년을 만나 달걀을 나눠줍니다부인과 헤어진 소년은 어머니를 찾는 중에 병든 군인을 만나고 소년은 군인을 보살피며 로자린드 부인에게 받은 달걀을 건넵니다그 달걀을 받은 군인은 씌여있는 가훈을 보고 소년에게 달걀을 준 사람을 물었고 두사람은 만나게 되는데 이 군인이 십자군 전쟁으로 인해 헤어졌던 남편이었습니다이에 부인은 부활절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달걀을 나눠주게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조선시대 내시는 하는일이 어떤거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내시는 궐내의 잡무를 맡아보단 내시부의 관직을 뜻합니다조선시대 내시의 구실은 품계의 고하 상관없이 궐내의 음식물감독, 왕명 전달, 궐문 수직, 청소 등의 잡무에 국한되어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0.13
0
0
새참 밥을 한숟갈 떠서 버리는 '고시례'의 유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시례는 민간신앙행위입니다그 사람의 주변에 화목을 주는 신을 존경하고 신이 안전하게 지켜줄 것을 기원하는 것입니다음식을 만들어주는 조상을 잊지않고 존경한다는 말로 고수레와 일맥상통합니다
학문 /
역사
22.10.11
0
0
셰퍼드 페어리가 어떤 인물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계에서 가장 영향적인 그라피티 아티스트입니다전쟁, 평화, 정치, 환경에 관한 관심을 촉구하는 작품들로 유명하죠작품은 버락오바마를 담은 'HOPE' 가 가장유명합니다1989년 셰퍼드 페어리는 신문지면제 개재된 거인레슬러 '앙드레 더 자이언트' 의 얼굴을 복사한 뒤 흑백스텐실 기법으로 종이와 스티커, 포스터를 만들었습니다이것이 일부커뮤니티에서 퍼지면서 이름을 알리게 됩니다
학문 /
문학
22.10.11
0
0
국선도란 무엇이며 유래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선도는 민족고유의 산중 수행법으로 1967년 청산선사가 공개하였습니다종교와는 무관하고 과학적이며 생명적인 수련입니다국선도는 수천 수만년전 상고시대부터 전래되어 직접 몸으로 실행, 체득되어 전래되어 왔습니다경천사상을 바탕으로 우주를 하나의 나라로 보고 사람과 하늘이 통하는 대자연의 길을찾는 것으로부터 유래합니다
학문 /
역사
22.10.11
0
0
2035
2036
2037
2038
2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