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경유가 더 비싸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과학분야 질문은 아닌 것 같습니다. 현재 경유가 더 비싸진 이유 중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유류세 인하, 미국의 셰일 오일 생산 증가, 선박의 경유 사용이 있습니다. 첫째, 전세계 석유 생산량의 11% 정도가 러시아에서 나오고 았고 수출 또한 많이 하는데 원유뿐 아니라 원유를 정제해 경유를 따로 팔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전쟁으로 인해 금수조치가 내려졌고, 원유는 물론이고 경유 또한 판매가 금지되었습니다.둘째, 정부가 기름값 안정울 위해서 유류세 인하를 했습니다. 그런데 경유는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다 보니 기본적으로 휘발유 보다 세금을 낮게 매겨졌있습니다. 유류세 인하는 유종 관계없이 같은 할인율로 적용되었는데 기존 세금의 차이가 있다보니 휘발유가 경유 보다 100원 가량 더 인하되게 되었습니다.셋째, 미국에서 셰일오일 생산을 증량했는데 셰일오일은 경질유로 휘발유가 많이 나오는 기름입니다. 그리고 미국의 원유 정제 시스템이 중동산 기름에 맞춰져 있어서 셰일오일을 정제하기 힘듭니다. 그렇다보니 남아도는 셰일오일은 우리나라가 수입해 국내 정유회사가 정제하게 되고, 휘발유가 많이 생산되면서 상대적으로 휘발유 가격방어가 되는 겁니다.넷째, 선박의 경유 사용인데 그게 왜 문제인가 생각될 수도 있습니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탄소배출 문제로 황 배출량이 많은 선박의 속도 제한 조치를 내렸습니다. 그에 대한 대책으로 디젤선박은 LNG선으로, 스트럽 부착, 중유에 경유 섞기가 있는데 현실적으로 가장 빠른 방법이 중유에 경유를 섞어서 황 함유량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렇다보니 경유 가격도 오르고 공급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해운사들이 경유를 대량 매집해버리는 것입니다. 위 네가지 상황들이 경유가격이 오르게 만든 원인입니다.이런 사태가 얼마나 이어질지 알 수 없으나 유동적인 원인이라 언젠가 경유가 안정세가 올 수 있고, 디젤차량이 휘발유 차량에 비해 연비가 대략 1.5배 정도 높은 편이라 연비로만 따졌을 때 경제성은 디젤 차량이 좋습니다. 하지만 정비비용까지 생각한다면 디젤차량이 정비해야 할 요소들이 많아 연비로 얻어지는 경제적 차이를 없어거나 역전시킬 수도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어느 것이 경제적인지 알 수 없습니다.
학문 /
화학
22.12.28
0
0
자동차 연비는 경유가 좋나요? 아님 휘발유가 좋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뭐가 더 경제적인지 알 수 없습니다. 현재 휘발유와 경유 가격을 보면 휘발유가 싸지만 계속 바뀔 수 있는 유동적인 부분입니다. 디젤은 요소수를 넣는 차량도 많고, 현재 휘발유와 경유 가격 차이가 200원 차이 나는데도 연비 차이가 있어서 같은 주행거리를 가는데 드는 기름값은 경유가 더 저렴합니다. 연비를 보자면 디젤은 리터당 10km중반대, 가솔린은 리터당 10km 정도입니다. 차종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략 그 정도의 차이가 납니다. 그러면 디젤 차량 유지비가 더 쌀까요? 아닙니다. 디젤이 가솔린에 비해서 정비를 받을 횟수가 많은 편이기 때문에 기름값 차이와 정비비 차이를 합산하면 비슷하다는 얘기가 많이 나옵니다.실제 저도 가솔린, 디젤 차량을 다 소유하고 있는데 디젤 차량의 정비 횟수가 훨씬 많습니다. 저희 부부만 운전하기 때문에 운전습관의 차이라고 보기 힘들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디젤이 정비해야 할 것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디젤과 가솔린 차량 선택은 유지비 보다는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차량 구매비용, 필요한 이유(용도) 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을 남기자면 가솔린 차량이 연비가 낮은 편이고, 기름값은 비싸지만 정비비용을 생각하면 더 경제적이었습니다. 그리고 디젤엔진은 몇 년 운행하다보면 소음이 심해지는데 가솔린차량은 비교적 소음이 심해지지 않아 더 정숙합니다. 그래서 가솔린차량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화학
22.12.28
0
0
전기차 화재 진압장면보고 궁금했어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리튬은 물과 만나면 폭발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하지만 리튬이온배터리는 그런 위험을 최대한 줄어들게 개발했습니다. 그럼에도 전기사 사고시 물로 진압하기 어렵습니다. 어중간 한 양의 물로는 리튬과 물이 반응하는 촉매효과와 빠르게 고온의 화재가 발생하는 속도를 못 따라가기 때문입니다. 그것 보다 빠르게 온도를 낮춰 주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물을 지속적으로 급수하거나 물 속에 잠기게 하는 것입니다. 현재로써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이 사고차 주변을 차수판으로 감싸고 많은 물을 급수하거나 사고차량을 수조에 넣어서 배터리 부분이 물에 잠기게 하는 것입니다. 위 방식이 쉽고 빠르게 집압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그렇기에 다른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차를 개발하는 제조사에서도 예방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7
0
0
목소리에 관해서 질문있는데요 녹음된목소리랑 내가지금 말하는 목소리?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목소리가 어떻게 전달이 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내 목소리가 다른 사람에게 전달될 때는 폐에서 나온 공기가 설대를 울려서 소리를 발생시킵니다. 그 소리는 입 밖으로 나와서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써 다른 사람의 귀로 전달됩니다. 그런데 본인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때는 다릅니다. 목소리가 입 밖으로 나감과 동시에 신체 내부를 통해서도 듣게 됩니다. 입 안에서 소리는 목, 입 근육, 턱뼈 등을 거쳐 달팽이관으로 직접 전달됩니다. 그 과정에서 저음이 많이 포함됩니다.녹음이된 소리는 다른 사람이 듣는 목소리와 거의 같습니다. 그렇기에 저음이 많이 포함되지 않아 평소 자신이 듣던 목소리와 달리 고음으로 들리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듣는 목소리는 녹음된 목소리와 매우 비슷합니다. 녹음 환경이나 방식에 따라 차이는 생길 수는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27
0
0
무게와 질량의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은 어떤 물체가 가진 고유의 물리량입니다. g, kg, ton 등이 질량의 단위입니다. 질량은 고유 물리량이라고 했듯이 지구에서나 달에서나 질량은 동일합니다.무게는 질량이 있는 물체가 받는 중력의 크기입니다. 지구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질량이 있는 물체가 지표면을 향해서 끌어당겨지는 힘입니다. 지구에서 중력 가속도는 약 9.8m/s로 공기저항을 무시하고 본다면 무게=질량x중력가속도로 단위는 N(뉴턴, kgf으로도 사용됨)입니다. 하지만 지표면에 붙어있다면 중력가속도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체중이나 물체의 무게를 표시할 때 질량의 단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식으로는 10kg의 물체의 무게는 10*9.8=98N(kgf)입니다. 이미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정착된 개념이라 바꾸기 어려운 상황입니다.질량은 중력이 다른 곳에서도 같은 크기를 가지는 고유의 양이고, 무게는 그 물체가 받는 중력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게는 중력의 크기라고도 얘기됩니다.
학문 /
물리
22.12.27
0
0
소금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 속에 염분이 있다는 것은 잘 아실겁니다. 흔히 알고 있는 형태의 염전이 천일염전으로 바닷물을 가둔 다음에 햇볕과 자연바람으로 물을 증발시켜서 그 속에 녹아있던 소금을 채취하는 형태입니다. 염전에서 만들어지는 소금은 물이 증발되면서 서서히 결정이 만들어짐으로써 정육면체의 크고 뚜렷한 형태로 생성이 됩니다.염전에서 소금을 생성하기까지 과정을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바닷물을 증발지로 모아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염도를 5배 정도 높입니다. 증발지에서 수로를 통해 해주로 이동하는데 해주는 바닷물을 저장하는 곳입니다. TV 등에 나오는 염전 영상을 보면 물레방아처럼 생긴 수차라는 것이 보이는데 사람이 발로 돌려서 물을 위로 퍼올리는 것입니다. 수차로 해주에 있는 물을 결정지로 끌어 올린 다음 물을 더 증발시켜 소금 결정을 채취합니다. 결정지에서 얻어진 소금은 간수가 빠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 수레에 하루 정도 뒀다가 창고로 이동합니다. 창고에서 유통을 위해 포대로 담겨진 뒤 전국으로 배달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2.26
0
0
봉지과자에 질소는 왜 들어가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물이 변질되는 여러가지 이유 중에 가장 흔한 것이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성분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산패 되는 경우와 음식물에 미생물이 번식하여 부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과자에 포함된 기름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패되면 맛과 신선도가 급격히 변합니다. 그것을 막기 위해서 봉지 속을 진공상태로 만들거나 산소가 아닌 불활성 기체를 채우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 중 진공포장은 과자가 부셔지기 쉬워집니다. 과자가 부셔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산패와 부패를 막아줄 수 있는 것이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는 것입니다.질문에서 처럼 질소가 아닌 다른 기체로 아르곤을 쓸 수도 있고, 네온이나 헬륨 등을 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기체들은 비용이 매우 비쌉니다. 그 반면 질소는 공기에서 쉽데 얻을 수 있고, 무색•무취의 기체라 과자의 맛이나 색 등에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기름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상당 기간 처음과도 같은 맛을 유지해 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과자 봉지에는 질소를 채운 뒤 밀봉하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2.25
0
0
사금의 성분은 일반 금과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같은 금입니다. 하지만 금의 함량 차이는 있습니다. 금도 원래 자연에서는 광물상태인 것을 가공을 거쳐서 우리가 아는 귀금속이 되는 겁니다. 자연에서 금을 포함한 광물이 풍화작용에 의해서 미세한 입자 상태로 강가나 해변 등에 퇴적된 것이 사금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4
0
0
옴의 법칙은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1826년에 발견되었으며, 독일의 물리학자 게르오그 시몬 옴(Georg Simon Ohm)에 의해서 발견된 것입니다.전기 회로 내 전류, 전압, 저항 사이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3
0
0
내년 새 아파트 입주때 TV를 바꿀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4K, 8K가 해상도를 나타낸다는 것은 아실 겁니다.일단 화면이 나타낼 수 있는 가장작은 단위가 픽셀입니다. 해상도는 가로와 세로에 그 픽셀수를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을 크게 해도 좋은 화질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예전에 주류였던 2K FHD(풀HD)의 해상도가 1920*1080이었습니다. 그때도 화질이 좋다고 얘기했었죠? 중간에 QHD와 WQHD가 있지만 뛰어넘고 4K의 해상도를 보면 3840*1600으로 가로기준으로 보면 FHD의 두배입니다. 8K는 7680*4320으로 FHD의 4배입니다. (K는 킬로Kilo 단위로 1000을 의미합니다. 가로 픽셀수를 기분으로 보면 대충 비슷한 값을 볼 수 있습니다)어쨋든 수치상으로 본다면 1K,2K,4K,8K의 숫자가 높아질수록 해상도가 좋아진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문제는 굳이 높은 등급으로 구매해야 할까라는 의문이 드는 것인데, 그것은 필요나 욕구에 따라 정하시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큰 화면을 원한다면 4K나 8K를 선택하는게 선명한 화면으로 볼 수 있는데 질문에도 있듯이 그 값은 어디까지나 지원이 가능한 값이지 모든 영상이 그 해상도로 나온다는 것은 아닙니다. 제작부터 그 해상도를 지원해줄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를 촬영한 카메라의 사양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편집도 그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게 이루어져야 하고, 송출되어야 합니다. 아직은 그렇게까지 지원하지 않는 것이 많죠. 그 외에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의 성능, 인터넷의 속도 등 여러가지가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사람의 눈이 느낄 수 있는 화질은 제한되어 있는데 비해 8K와 같은 높은 품질을 재현하기 위해서 들어가는 비요은 너무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자금적 여유가 있고, 그만큼의 욕구가 충촉되어야 되는 것 같다면 8K를 선택해도 되겠지만 아직은 필요 이상의 것이라 생각합니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4K와 8K 제품 간 차이나는 비용으로 음향장비나 다른 유용한 것을 구매할 것 같습니다.개인적인 견해도 있지만 결정하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립니다.
학문 /
화학
22.12.23
0
0
118
119
120
1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