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대류권 공기의 양 분포의 자세한 원리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중력의 크기에 어떤 인자가 영향을 주는지를 아셔야 할 것 같습니다.상수를 제외한 변동가능 미지수는1. 물체의 무게2. 지구 중심에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입니다.무게가 무거울수록 거리가 가까울수록 중력을 더 세게 받습니다.그럼 고도가 높은 곳에 있는 공기들은 지구 중심에서부터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지표면의 공기보다 중력을 영향을 덜 받겠죠?따라서 공기가 희박합니다.지표면에서 중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공기가 붙잡혀있어요.무게가 무거운 공기들은 어떨까요?만약 방안에 드라이아이스를 갖다두고 승화되는 걸 기다리면공기보다 무거운 이산화탄소 기체들은 아래에 깔립니다.이 경우는 물체의 무게, 즉 이산화탄소 분자의 질량이 크기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더 받아 아래로 깔리는거죠.기름에 물을 부으면 아래에 깔리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그럼 지표면에는 무거운 분자기체만 있느냐? 그건 또 아닙니다.확산법칙이나, 공기의 대류 등으로 인해 잘 섞여 있는 상태로 기체 조성은 거의 비슷합니다.고도가 올라갈수록 공기 기체의 절대량이 줄어들 뿐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9
0
0
빛의 속도와 전류의 속도는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우주에는 총 4가지의 힘이 있습니다.강한 핵력, 약한 핵력, 중력, 전자기력이 중 전자기력이 전기 입니다.이 4가지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매개입자가 각각 존재하는데전자기력의 매개입자가 바로 광자(빛) 입니다.따라서 전기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9
0
0
제주도의 도깨비 도로에서는 중력이 다르나요?
안녕하세요.도깨비 도로는 우리 눈의 착시를 이용해 오르막 경사로 보이게 만들어졌지만실제로는 내리막길입니다.중력이 다르게 작용할리가 없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9
0
0
블랙홀 구멍은 우주의 어느 방향에서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맞습니다.까만 공이 우주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다만 흔히 말하는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까만 공 모양이 맞지만사건의 지평선을 넘기 전 블랙홀 주변을 공전하며 빨려들어가고 있는 가스(잔해)들은서로 부딪히며 마찰로 인한 빛과 열을 뿜어냅니다.이 빨려들어가고 있는 잔해들은 사건의 지평선 바깥이기 때문에 우리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원반 형태이기 때문에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따라서, 질문자께서 질문하신 구멍을 기준으로 본다면, 어디에서나 구멍으로 보이고그 주위를 도는 강착원반은 보는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빛이 하나도 없는 곳에서도 눈이 적응하면 보이나요?
안녕하세요.빛이 없다면 아무것도 볼 수 없습니다.우리가 시각정보를 얻는 방법은빛이 눈으로 들어온다 -> 눈 안쪽(동공의 반대편)에 빛이 닿는다 -> 시신경이 빛에너지로 인해 자극받는다-> 뇌로 신호를 전달한다 -> 신호를 뇌에서 분석해 해석한다의 순서로 이뤄집니다.따라서, 시신경을 자극할 빛이 없다면 우리 눈은 아무것도 볼 수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달리는 차안에서 창문을 살짝만 열고 담배를 피우면 담배연기가 차 안에 있지않고 창문 밖으로 다 빠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픽의 확산 법칙입니다.확산의 법칙은 기체를 이루는 입자가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는 법칙으로담배 연기가 아닌 모든 물질에 적용됩니다.
학문 /
물리
23.02.08
0
0
압력이 낮아지면 쉽게 끓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일단 끓는다는 정의부터 짚어보겠습니다.물 분자가 열(에너지)를 받습니다.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 지죠. 그럼 물 분자사이의 인력보다 공기중으로 튀어나가려고 하는 힘이 더 강해지는 시기가옵니다.그 온도를 끓는점이라고 하기로 했어요.자 그럼 공기의 압력이 높으면 어떻게 될까요?공기가 세게 누르고 있으니 물 분자 사이에서 튕겨나가려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그래서 끓는점이 올라갑니다.반대로 기압이 낮으면 공기로 더 쉽게 나갈 수 있으니 끓는 점이 내려가겠죠.진공상태로 가게 되면 에너지 공급이 없어도 끓어올라 기화됩니다.다른 용매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학문 /
화학
23.02.08
0
0
원소들의 성질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뤄져있습니다.원자핵은 양성자+중성자로 이뤄져있는데 수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가 같습니다.이 중 양성자의 개수로 원자번호를 매깁니다.수소는 양성자 하나로 원자핵이 구성됩니다.원자의 질량은 양성자 1개를 1g/mol이라고 정의했습니다.산소와 탄소를 예로들면산소는 원자번호 8번으로 양성자가 8개 중성자가 8개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 원자 질량은 16g/mol입니다.탄소는 원자번호 6번이죠. 그래서 12g/mol입니다.수소를 제외하면 대부분 원자의 질량은 원자번호에 2를 곱한 값이 됩니다.참고로 무조건 정확하게 떨어지는 값은 아니지만 대부분이 맞으니 그냥 이렇게 계산하셔도 문제없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8
0
0
왜 판과 판이 서로 이동하는 곳인가요?
안녕하세요.지각판 아래에는 맨틀이라는 고온의 유동성 지대가 있습니다.아주 점도가 높은 용암 비슷하게 아시면 되는데 이게 대류를 하게되고위에 붙은 지각판이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판이 벌어지거나 부딪히거나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8
0
0
구리가 전자장비에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구리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 중 하나입니다.가장 좋은 건 아니지만 값싸고 많은 양을 얻을 수 있는 구하기 쉬운 금속 중 전도성이 좋기 때문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2.08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