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ㄹ뛸 때 정강이가 아픈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뛰실 때 정강이가 아픈게 혹시 다리를 들 때 아픈건지, 다리를 바닥에 붙일 때 아픈건지, 정강이의 어느부위가 아픈건지 알면 더 자세히 말씀을 드릴 수 있을것같습니다.일단, 만약 다리를 들 때 아프시다면 정강이 앞쪽근육인 전경골근이 뻣뻣해지거나, 비복근도 뻣뻣해져 근육이 제대로 쓰이지 못해서 그럴 가능성이 있으며, 다리를 바닥에 붙일 때 정강이가 아프다면, 발목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아래사진처럼 체크한 부위를 마사지 해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5.0
1명 평가
0
0
허리가 많이 아플 때 잠을 자는 자세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종종 환자분들이 잠을 잘 때 허리에 힘이 들어오는 느낌을 받고 그때마다 통증도 같이 있다고합니다.저는 허리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큰베개를 무릎뒤에 두고 자라고 말씀드립니다.(만약 큰베개가 없다면 베개를 두개로 쌓으셔도 되고 그냥 무릎을 구부리셔도 됩니다.)만약 옆으로 누워서 주무신다면 다리사이에 꼭 베개를 끼고 옆으로 누워주세요.엎드려주무시는건 허리에 너무 좋지 않으므로, 피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계속 표면기립근(허리)에 힘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0
0
11살 된 아이가 무릎이 아프다고 하는데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개인적인 견해로는 11살 여성 성장기에 증상이 나타나면 성장통 아니면 오스굿씨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오스굿씨병은 성장기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나며, 고관절과 다리주변을 많이 사용해서 무릎 주변에 통증이 발생합니다.(특히 안짱다리 또는 오다리가 있는 아이들에게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최대한 과격한 운동 또는 오랜시간 걷는것 등을 하지 않는것이 좋고 붓기와 열감이 있으면 3~4일정도는 냉찜질을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그 후에 하체운동을 조금씩 하면 오스굿씨병은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5.0
1명 평가
0
0
오른쪽 발 복사뼈 아래 부분이 아픕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혹시 평소에 발목이 많이 접지르거나 불안정성이 있지는 않으신가요?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평발로 인해서 화살표 체크한 부위가 계속된 압박으로 시큼한 느낌과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렇게 통증이 나타나는 분들에게는 전경골근을 마사지하고 후경골근 운동을 하는 편입니다.아래에 블로그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https://blog.naver.com/brain-theraphy/223502578414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0
0
무릎을 접히는 상태로 있으면 왜 관절이 좋지 않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이 구부려지면 관절 표면에 하중으로 인해 슬개골과 대퇴골 사이의 압력이 증가해 잠재적으로 무릎에 스트레스를 주고 신경도 압박할 수 있습니다.다른 원인으로는 무릎관절이 움직일 때마다 기름칠을 해주는 윤활액이 있는데 오랫동안 구부리게 된다면 윤활액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근육에 문제로는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 또는 오금근 무릎 주변근육들이 영향을 받아 근육의 불균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0
0
압박골절 보조기는 언제까지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여기서는 환자분에 회복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예를들어 지금 9주 동안 보조기를 착용하셨는데, 움직일 때 불편함과 통증이 없으시다면 더 이상 보조기를 안하셔도 되고 만약 통증이 계속 있다면, 보조기를 10~11주까지는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만약 몸을 좀 써야하는 일상생활을 하신다면, 일상생활 동안만은 보조기를 착용하시고 움직임이 많이 없는 일상생활 할 땐 보조기 착용을 안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아마 지금 근육의 힘이 빠지고 관절도 뻣뻣해져 있을 가능성이 높아 움직일 때 천천히 움직이시고 후유증을 위해서라도 재활운동은 꼭 해주세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0
0
무릎밖에.혹같이뭐가 생겼에요....눌르면아프고 서있어요 아퍼요...어떡게해야할깨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평소 무릎을 많이 쓴다면 관절막이 약한 곳에 무릎관절을 부드럽게 해주는 활액이 과하게 분비되어 "베이커 낭종"이라는 혹이 생길 수 있습니다.또 다른 원인으로는 부딪혀서 외상으로 인해 혈종같은것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만약 통증이 없다면 결절종을 의심해볼 텐데, 통증이 있으셔서 결절종이 가능성은 적고 말씀하신 토대로는 "베이커 낭종" 일 가능성이 높을것 같습니다.근처 정형외과를 가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0
0
갈비뼈에 금이 가면 치료 방법이 없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갈비뼈가 금이간다면, 말씀하신것과 같이 진통제 또는 수액, 복대를 제외하고는 치료방법이 없습니다.그 이유는 갈비뼈 주변은 부목처럼 근육과 근막으로 둘러쌓여 있어 외과적 개입이 없어도 저절로 치료가 되기 때문입니다.심하다면, 테이핑을 붙여서 치료하는 방법이 있는데 대부분은 기침과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푹 쉬는것이 좋습니다.40대 남성이시라면 치유기간은 3~4주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2
0
0
요즘 자고 일어나면 목이 뻐근하고 담이 걸린 것처럼 통증이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목을 뒤로 젖힐 때 손저림이 있거나, 감각이 무뎌지거나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말씀하신것처럼 목에 담이 왔거나 일하실 때 너무 오랜시간 한자세를 유지해 목 주변 근육들이 피로해 통증이 나타났을 수 있습니다.그 외에도 최근에 베개를 바꾸셨거나 베개가 너무 높아도 아침에 자고일어나면 뻐근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틈틈히 한시간마다 한번씩 움직여주는 것이 목 근육에 많은 부하를 줄여줍니다.시간이 되신다면 아래 사진처럼 스트레칭도 해주세요.(등을 펴는 느낌이 들어야합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4.08.01
5.0
1명 평가
0
0
발톱이 들렸는데 그냥 밴드 붙이고 냅두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염증으로 인해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독을 꼭 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가만히 두시면 새로운 발톱이 자라 기존에 발톱을 밀어내서 자동으로 떨어져 나갑니다.만약 붓거나 밤에 통증이 너무 심하다면, 근처 정형외과 또는 신경외과를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8.01
5.0
1명 평가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