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유전자 중복으로 새로운 유전형질을 얻을수있나요?
유전자 중복이란 염색체 복제 오류 등으로 같은 유전자가 여러 개 생기는 현상인데, 실제 분자 진화의 핵심 동력입니다.먼저 중복으로 생긴 유전자 사본 중 하나는 원래 기능을 유지하여 살아남는데 어려움은 없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본은 자유롭게 돌연변이가 축적되어 새로운 기능을 획득할 수 있게 됩니다.대표적인 성공 사례는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삼색형 색각 진화입니다.본래 이색형 색각에 관여하던 옵신 유전자가 중복된 후, 한 사본이 변형되어 적색을 감지하는 새로운 기능을 얻은 것이죠. 이 덕분에 영장류는 정확하게 익은 과일을 구별하는 등 생존에 유리한 새로운 형질을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또 다른 사례로, 포유류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군의 확장이 있습니다.수많은 중복을 통해 새로운 냄새 분자를 인지하는 수용체들이 탄생하여, 종의 환경 적응력을 높인 것이죠.그 외에도 많은 뱀의 독 성분 역시 본래 소화 효소 등을 만들던 유전자가 중복된 후 독성 기능을 획득한 결과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1.02
0
0
건강하게 장수하려면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움직여야 하나요?
네, 건강하게 장수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말씀하신 와카야마 씨의 사례처럼, 나이가 들어서도 바쁘고 적극적으로 새로운 활동에 도전하는 삶의 태도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또 전문가들은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한 비결로 운동, 영양, 관계, 배움, 참여를 꼽는데 말씀하신 모든 활동이 이런 비결에 해당합니다. 즉, 프로그래밍이나 독서, 자격증 도전 등의 배움을 통한 지속적인 두뇌 자극, 장작 패기, 체조,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 등의 규칙적인 신체활동, 그리고 활발한 활동을 통한 관계 유지 등이 그렇죠.이처럼 신체적, 지적, 사회적으로 활발하고 적극적인 생활 태도는 나이가 들어도 울적한 기분이 아닌 씩씩하고 활기찬 노년을 보낼 수 있게 하는 장수의 비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1.02
5.0
1명 평가
0
0
한 사람이 여러가지 분야를 최고 수준으로 잘한다는 건 과학적으로 가능한 일인가요?
과학적으로만 본다면 매우 어렵거나 현실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인간의 뇌는 한정된 영역에 한해 주의 집중이 가능합니다.하지만, 여러 복잡한 분야에 주의 집중을 하려면 실제로는 주의가 분산하면 인지적 과부하가 발생해 각 분야의 효율성이 떨어집니다.특정 분야의 최고 전문가가 되려면 심리학에서 말하는 '1만 시간의 의도적 연습' 정도가 필요하기에 말씀하신 네 가지 분야(코딩, 주식, 사업, 외국어) 모두에 1만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시간적으로도 비현실적입니다.또한 전문성은 해당 분야에 특화된 신경 회로를 강력하게 구축하는 것인데, 뇌 용량과 가소성에도 한계가 있습니다.그래서 말씀하신 슈퍼맨처럼 보이는 사람들은 보통 한두 분야가 최고 수준이고, 나머지는 매우 뛰어난 수준인 경우가 많습니다.물론, 뛰어난 재능과 한 지식을 다른 분야에 응용하는 전이 능력이 높으면 학습 속도를 단축할 수 있긴 하지만 이러한 효율성도 절대적인 시간과 뇌의 생물학적 한계를 뛰어넘는 것은 매우 어렵죠.
학문 /
생물·생명
25.11.02
5.0
1명 평가
0
0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은 무엇인가요 (실존하는)
현재 세상에 실존하는 동물 중 포유류를 제외하고 가장 큰 동물이라면 '대왕오징어', 또는 '콜로살 오징어'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 오징어는 기록상으로는 13m 이상이 발견된 경우도 있죠.그리고 거북이를 제외하고 현재 세상에 실존하는 동물 중 가장 오래 사는 동물은 '그린란드 상어'를 꼽을 수 있습니다.그린란드 상어는 최소 272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고 있고, 최대 500년까지도 살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1.02
0
0
이 벌레 이름과 특징이 궁금합니다..
초파리 또는 벼룩파리로 추정됩니다.다만, 벼룩파리는 그 이름처럼 뒷다리가 메뚜기다리처럼 생겼는데, 사진상으로는 정확히 판단이 어렵네요.이러한 작은 파리류는 주로 먹이원과 번식지 때문에 실내에서 발생하게 됩니다.초파리는 주로 과일이라 채소, 음식물 쓰레기, 음료 등에 의해 발생하고, 벼룩파리는 배수구나 하수구, 싱크대 배수관, 음식물 쓰레기가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그래서 이러한 작은 파리류를 제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벌레가 알을 낳고 유충이 자랄 수 있는 서식지와 먹이원을 제거하는 것입니다.즉 음식물 쓰레기는 빠르게 버리고, 주기적인 배수구 등의 청소가 필요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1.02
0
0
자고 일어나니 팔에 물린 자국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먼저 집유령거미가 사람을 무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있다해도 적극적인 방어과정에서 발생하고 물린 경우에도 미약한 국소 반응으로 끝나며, 심각한 결과는 거의 없어 보통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물린 자국으로 특정 거미를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말씀하신 것 중 가장 의심되는 것은 빈대인데, 빈대는 혈관을 잘 찾지 못해 혈관을 찾아 조금씩 이동하며 여러 번 물기 때문에, 때때로 일렬, 원형 또는 삼각형 모양의 물린 자국을 남깁니다.다만, 염증반응이 크게 보이지 않아 정확한 판단은 어렵습니다.혹시 가려움증이 심하다면 병원을 찾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1.02
0
0
전이인자는 생물에게 큰 영향을 미치나요?
네, 전이인자(TE)도 생물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보통 점핑 유전자라고도 불리는데, 유전체 내에서 위치를 옮기거나 복제하여 유전체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기 때문입니다.특히 TE는 유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며, 유전자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유전자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TE의 삽입은 염색체 재배열을 촉진하여 게놈의 구조적 변화와 종의 진화를 일으키기도 하고 또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인핸서나 프로모터와 같은 조절 서열로 작용하여 유전자 발현 패턴을 바꾸기도 하죠.
학문 /
생물·생명
25.11.02
0
0
시력, 청력이 가장 좋은 동물은 어떤 동물일까요?
알려져 있기로 시력이 가장 좋은 동물은 타조입니다.다조는 인간의 시력 기준으로 25.0에 달하는 시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맑은 날에는 20km 밖의 움직이는 물체도 식별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독수리는 시력이 5.0 정도로, 약 10km까지 볼 수 있으며 인간보다 5배 많은 시세포를 가지고 있습니다.청력의 경우는 좀 판단이 어려운데, 듣는 특정 범위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래도 보통 박쥐나 고래, 나방, 고양이 등이 청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1.02
0
0
곤충 사육통에 물 대신 피톤치드를 뿌려도 되나요??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먼저 피톤치드(Phyton-Cide)라는 이름 자체가 식물(phyto'과 죽인다(cide)의 합성어로 피톤치드는 곤충이나 미생물의 번식이나 생장에 영향을 주거나, 곤충을 못 오게 하거나 유인하여 살충/살균하는 작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게다가 원액은 물에 희석된 제품보다 훨씬 농도가 높기 때문에 딱정벌레에게는 강한 독성이나 스트레스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현재 외관상 괜찮아 보인다고 하더라도, 원액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딱정벌레의 생식기능이나 성장, 수명, 활동성 등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곤충 사육통에 물 대신 피톤치드 원액을 사용하는 것은 딱정벌레에게는 상당히 않좋응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1.02
0
0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DNA 절단 후 어떻게 원하는 유전정보를 넣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DNA 복구 메커니즘 중 하나인 상동 재조합 복구(Homology-Directed Repair, HDR)를 이용하는 것입니다.크리스퍼-Cas9 시스템은 가이드 RNA(sgRNA)의 안내에 따라 표적 DNA 부위를 정확히 인식하고 Cas9 효소가 해당 위치에서 DNA 이중 가닥을 절단합니다. 그리고 절단된 부위에 삽입하고자 하는 원하는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고, 그 서열의 양쪽 끝에는 절단 부위 주변과 동일한 염기 서열(상동성 팔, Homology Arms)을 가진 주형 DNA(Donor DNA)를 세포에 전달합니다.그리고 세포는 DNA 손상을 인식하고 복구 메커니즘을 활성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동 재조합 복구(HDR) 기전이 작동합니다.세포의 복구 시스템은 주형 DNA의 상동성 팔을 절단 부위 주변의 염기 서열과 일치하는 템플릿으로 인식하여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주형 DNA에 포함된 원하는 새로운 유전 정보가 절단된 DNA 부위에 정확하게 삽입되거나 교체되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10.31
5.0
1명 평가
1
0
지식 레벨업
10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