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수입 과세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관세 부과 대상인 과세물건은 관세법 제16조에 따라 수입신고하는 때의 물품의 성질과 그 수량에 따라 부과하므로, 수입신고 시점으로 과세대상은 4마리가 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1
0
0
금리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 큰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기축통화국(미국)의 금리가 오르는 경우 그 외의 국가들도 자본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며, 금리가 인상되는 경우에는 기업대출 금리가 상승되고 자금 유동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이러한 금리상승은 원화가치를 낮게하여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며, 원자재를 수입 비용이 증가하여 완제품 제조 시 원가상승요인에 따라 수출물품 가격경쟁력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또한, 환율 상승으로 인하여 수입을 하는 국가의 수요가 줄어들게되어 수출이 제한되는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1
0
0
수출입 품목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2022년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금액기준으로 수출입 주요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수출 : 반도체, 전자기기,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철강, 화학제품, 선박수입 : 석유, 가스, 전자기기, 정밀기기, 광물, 차량, 화학제품, 철강, 유기화학품주요 수출입 교역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수출 :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홍콩, 대만수입 : 중국, 미국, 일본,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베트남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1
0
0
대만의 주요 수출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한국무역협회 2022년 통계에 따르면, 대만의 주요 수출품은 1위 반도체(8542.39), 2위 메모리(8542.32), 3위 기계부분품, 4위 반도체 프로세서(8542.20) 5위 석유화학제품(2710.19)으로 반도체 수출에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주요 교역국가는 중국, 미국, 홍콩, 일본, 싱가포르, 한국순으로 교역을 하고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1
0
0
철강업에 종사하고 있는 회사원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먼저 EU 탄소배출권 시세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 공유드리며, 12월 기준 톤당 84유로로 확인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유럽배출권 시세 : https://www.barchart.com/future/quotes/CKZ22/performance배출권시장 정보 플랫폼 : https://ets.krx.co.kr/main/main.jsp한국무역협회 기사에 따르면, EU의 경우 온실가스배출 감축목표 상향으로 탄소배출 규제를 강화한다고 했으며,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1990년 배출량의 45%가 되도록 55%를 감축한다고 하여, 탄소배출권 가격은 상향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한국무역협회 기사 :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72186&sSiteid=2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1
0
0
관세와 일반 협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일반적으로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은 WTO 협정의 전신인 "1947년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1947 GATT)"을 의미하며, 1994년 회원국간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에 따라 출범한 세계무역기구(WTO)의 협정 중 "1994년 관세 및 무역에 관현 일반협정(GATT 1994)"으로 개정되어 상품에 관한 다자간 협정 일부로서 규정되어 있습니다.문의하신 제네바 관세 협정은 WTO 협정체결 시 8차례 진행한 라운드 중 1차, 4차때 이루어진 제네바 라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제네바 라운드는 아래와 같은 주요 협상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1차 제네바 라운드(1차) : GATT 설립을 위한 최초의 관세인하 협상, 45,000개 공산품을 관세양허2차 제네바 라운드(4차) : 3,000개 공산품을 관세양허이러한 WTO 협정은 2020년 기준 164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WTO 창립시 가입하였고, 이러한 164개국 회원국 내에서 동일한 효력을 발휘합니다. 이러한 WTO의 기능으로는 회원국간 최헤국 대우 제공, 다자간 무역협상의 틀 제공,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 결과의 이행 감독 및 DDA 등 신규 협상 주관, 무역 분쟁 해결이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간접 수출 / 직접 수출의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먼저, 직접수출, 간접수출 용어는 법적인규 용어가 아니라, 실무 편의상 구분해서 부르는 용어임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수출을 하게되면 받는 혜택으로는 ① 부가세 영세율 적용 ② 수출실적 인정 ③ 수출용원재료 관세환급이 가능하며, 원칙적으로 이러한 혜택은 직접 수출할 경우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간접적으로 수출한 공급자에 대해서도 직접 수출한 자에게 물품을 공급한 것을 입증하는 경우 수출 실적으로 인정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실무상으로 직접수출과 간접수출의 개념을 구분하고 있습니다.1. 직접수출(1) 정의 : 해외 기업으로 상품이나 제품을 직접 수출한 경우로, 일반적인 기업들이 수출을 한 경우를 의미합니다.예 : 수출자 → 수입자(해외 기업)(2) 수출실적 인정 : 수출입실적 증명서나 수출확인서를 통해 입증 가능2. 간접수출(1) 정의 : 수출용 완제품에 투입되는 원/부자재를 최종수출기업에 공급하는 것(1. 2차 공급자가 간접수출에 해당)예 : 2차 공급자 → 1차 공급자 → 최종수출자 → 수입자(2) 대상 : 회사 규모가 작고 매출 규모가 영세한 완제품 제작업체의 협력사인 경우로 직접수출할 수 없거나 완제품 공급사에 부품을 제조하는 공급사(3) 수출실적 인정 : 내국신용장 및 구매확인서(Local L/C)에 의해 거래하여야 인정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관세동맹이란 단어의 뜻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관세 동맹은 두 나라 이상의 결합으로 역내관세의 철폐나 또는 경감, 역외공통관세를 설정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즉, 회원국간 역내무역 자유화 외에도 역외국에 대해 공동관세율을 적용하여 대외적인 관세까지도 역내국들이 공동보조를 하는 자유무역형태로 남미공동시장(MERCOSUR)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동맹은 자유무역협정보다 높은단계의 경제통합단위이며, 경제통합단계는 심화 정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4단계로 구분됩니다.1. 자유무역협정 → 2. 관세동맹 → 3. 공동시장 → 4. 완전경제통합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한국으로 들어오는 제품 중 비과세 품목은?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수입신고 시 물품의 관세는 아래의 사유 등에 따라 비과세 될 수 있습니다.1. 물품 자체가 무세이거나 0%인 경우 수입되는 품목이 무세이거나 0%인 경우 비과세 됩니다. 이러한 품목은 국회에서 정하며, 관세법 또는 FTA 특례법에 반영됩니다.2. 관세가 감면되는 품목 특정한 국가정책 목적 달성을 위한 지원제도로서 수입자나 수입물품이 일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 무조건 또는 일정 조건하에 관세의 일부 또는 전부를 면제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한국과 일본간의 무역 분쟁이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한·일 무역분쟁은 무역흑자국인 일본이 먼저 촉발했다는 점과 상대국의 핵심 산업의 공급망을 붕괴시키려는 분쟁이라는 점에서 과거 무역분쟁과는 다른 특성을 보였고 일본이 산업 필수 중간재에 대한 수출을 통제함으로서 우리나라의 반도체 공급망에 대한 경제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현재 시점으로 보았을 때는 부정적 효과는 제한적이었으며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1. 부정적 영향한·일 무역 분쟁은 상대국 핵심 산업의 필수 중간재화(폴리아미드, 레지스트, 불화수소)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여 상대국의 공급망을 붕괴시키려는 분쟁으로 통상 관계가 심각해질 가능성이 높음일본의 수출규제로 우리나라 반도체 생산이 10% 감소할 경우 한국의 GDP는 0.320~0.384% 감소하고 수출도 약 0.347~0.579% 감소할 것으로 추정일본의 수출규제로 화학, 전자, 기계산업에서 일본의 대한국 수출이 5% 감소할 경우, 한국의 GDP는 0.015~0.020% 감소하고 수출도 약 0.026~0.036% 감소할 것으로 추정2. 긍정적 영향대기업 위주의 산업군은 중소·중견기업과 핵심기술의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R&D) 및 설비투자부터 양산과정에 이르기까지 상생정책 도모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과 규제완화, 그리고 정보 공유를 통한 전방위적 협력체계를 갖춰 혼연일체로 대응하면서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소부장 100대 핵심품목의 대일의존도는 31.4%에서 24.9%로 감소했으며, 시가총액 1조원 이상의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은 지난 2년 사이 13개에서 31개로 2.4배가 증가기업의 국산화 및 글로벌가치사슬(GVC) 수입공급선의 다변화를 추진하는 전략적인 행동 추구를 하는 계기가 됨.한국의 불매운동 등으로 인하여 일본의 의류, 식품, 자동차, 관광 등 소비재 소비가 급감하면서 일본 의 관련 업종에는 매우 큰 타격이 발생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802
803
804
805
806
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