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할 때 거래 대금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무역거래 시 거래 당사자간에 거래한 통화단위로도 무역거래 및 수입신고가 가능합니다. 또한 , 수입신고 시 관세법에 따라 관세청장이 58개국의 통화단위에 대하여 관세 부과를 위한 과세가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외국통화로 표시된 가격을 내국통화로 환산하기 위하여 외국환거래법에 따른 기준환율 또는 재정환율을 기초로 매주 고시하고 있습니다.과세환율 확인 사이트 : https://unipass.customs.go.kr/csp/index.do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외국에서 식품을 들여올 때 통관과 관련해서 유의해야 할 점은?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실제 현업에서 식품수입통관을 하면서 사전에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사항과에 대하여 먼저 설명드리고, 글로서 설명드리기 한계가 있는 부분은 참고하실 수 있는 사이트로 갈음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일반적으로 최초 수입시 식품 수입신고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1. 수입식품판매업 등록 → 2. 해외제조업소등록 → 3. 한글표시사항 검토 → 4. 식품 수입신고 → 5. 세관 수입통관1. 수입식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수입식품판매업을 등록하여야 합니다. 판매업 등록전 일정의 교육 이수를 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절차와 영상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식품의약품 안전처 영업등록관련 공지 : https://www.mfds.go.kr/brd/m_75/view.do?seq=41606&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2. 해외제조업소등록 : 수입식품등을 국내로 수입하려는 자 또는 해외제조업소의 설치·운영자는 실제 제품을 제조·가공하는 해외제조업소를 수입신고 전까지 등록하여야 합니다. 이부분은 식품대행업체와 업무 진행 시 대행해서 진행 가능한 부분이므로 아래 링크를 통해 구비서류를 파악해주시기 바랍니다.수입식품정보마루 해외제조업소 등록 : https://impfood.mfds.go.kr/CFAAA01F01/?cvaaClsNo=14710009991013. 한글표시사항 : 이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수입하는 현품에 한글표시사항을 제대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국내에서 내용 보완하기 위해 스티커 보수작업을 하거나 보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반송이나 폐기를 할 수 있으므로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정확히 작성하여야 합니다. 현행법령 기준으로 아래 링크에서 다운 가능하며, 해외제조자로부터 수취한 성분표를 토대로 해당 규정을 숙지하여 한글표시사항을 기재하여야 합니다. 다만,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처음에는 한글표시사항 작성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식품대행업체(관세사)를 통해 한글표시사항 작성을 권고 드립니다.식품등의 표시기준 : https://www.mfds.go.kr/brd/m_211/view.do?seq=14737&srchFr=&srchTo=&srchWord=%ED%91%9C%EC%8B%9C%EA%B8%B0%EC%A4%80&srchTp=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Data_stts_gubun=C9999&page=14. 식품 수입신고 : 식품수입절차는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되며, 앞서 1~3의 절차가 구비된 경우 실제 수입 시 식약처에 따른 검사를 진행한 후 합격되면 세관 수입신고를 하고 관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해당 절차에 대하여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는 링크 공유드리오니 확인 부탁드립니다.수입식품 정보마루 : https://impfood.mfds.go.kr/ebook/e-book.html식품수입시에 가장 주의해야할 사항은 용도에 따라 수입 시 식품공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검사 시 합격이 되어야 한다는 점과, 정확하게 한글표시사항을 기재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식품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법령(식물, 축산물)의 구비사항을 이행해야 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철저히 검토 한 후 수입하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식품 수입과 관련된 절차가 방대한 관계로 핵심적인 부분만 축약해서 설명드렸으며, 유투브에서 수입식품수입이라고 치시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영상들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될 듯 싶습니다. 이 외에 식품안전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 유투브 채널 및 수입식품정보마루 홈페이지에서 수입식품관련 절차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무역수지가 최근에 계속 적자네요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최근 무역수지 적자의 주요 원인으로는 에너지 수입 급증이 있는데요 이러한 에너지 중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은 1908억달러에 이른 것으로 집계 되어 전년 대비 증가 폭이 784억달러로 지난해 연간 전체 무역적자 규모를 뛰어넘었다고 합니다. 지난해 전체 수입 7312억달러는 전년보다 18.9% 늘어난 규모라고 합니다.이러한 에너지 수입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가파른 수입물가 상승과 고수준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주요 예시로는 1. 국재 원자재 가격 의 상승 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에 따른 LNG 및 에너지자원의 단가 인상을 들 수 있으며, 3. 코로나 이후로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주요국 경제 성장세 약화로 수출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다만, 수출 부분에서 시스템반도체·전기차 품목에서 최고실적 경신이 이뤄지고 상위품목(반도체·자동차·디스플레이) 내 비중이 확대된 점을 대표 사례로서 연간 수출 실적에 대해 양적으로 역대 최대인 것과 함께 품목별로 다변화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아마존 직구 관세에 대해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먼저 AMAZON에서 Estimated Import Fees Deposit을 미리 청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예상수수료 보증금을 수취관•부가세 미리 수취 : 미국발송 목록통관 물품 200달러, 일반물품의 경우 150 달러 이상으로 관부가세가 발생되는 물품다만, no Import Fees Deposit으로 기재된 물품은 관•부가세가 부과되지 않는 물품이기 때문에 별도의 Deposit을 설정하지 않고, Deposit 금액 없이 구매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무역 용어중 ATA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ATA까르네는 ATA협약 가입국 간에 일시적으로 물품을 수입/수출 또는 보세운송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복잡한 통관 서류나 담보금을 대신하는 증서로서 통관절차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ATA 협약가입국간 통관 시에 ATA까르네를 이용하면, 부가적인 통관서류의 작성이 필요 없음은 물론 관세 및 부가세, 담보금 등을 수입국 세관에 납부할 필요 없이 신속하고 원활한 통관을 할 수가 있습니다.상품견본(Commercial Samples), 직업용구(Professional Equipments), 전시회(Fairs/Exhibitions)의 용도로 물품을 해외에서 사용 후, 우리나라로 다시 가져올 물건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농산물, 식료품, 위험물품, 소모품 등 부패의 우려가 있거나 1회용품 또는 수입국이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물품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유효기간▪ ATA까르네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최장 1년으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효기간이내라도 수입국 세관이 ATA까르네 증서에 재수출기간을 명시적으로 지정한 경우에는 동 기간 내에 재수출되어야 합니다.보다 자세한 내용은 외교부 홈페이지의 ATA 까르네 정보를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https://www.mofa.go.kr/www/brd/m_4075/view.do?seq=349877&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일본에 플스나 컴퓨터 보내려면 어떻게하는게 제일 좋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소량 택배물을 보내는데 있어 우체국 EMS 또는 특송사(DHL, FEDEX, UPS등)를 통해 송부하실 수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제 개인적인 경험이나 절차상으로 신속하고 안전했던 우체국 EMS를 추천드립니다. 다만,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컴퓨터에 니켈류 배터리나 리튬이온, 메탈배터리가 있는 경우에는 발송이 불가할수 있으므로 아래 링크를 통해 가능여부를 판단해주시기 바랍니다.보낼 수 있는 물품 / 없는 물품 : https://ems.epost.go.kr/front.Introduction04pop.postal우체국 EMS는 통관이 필요하지 않는 서류(우편물 접수번호가 EE로 시작됨)의 경우에 한해서만 서울지역에서(일부지역 제외) 오전 12시까지 접수하면 직항편이 있는 도시지역(LA, 도쿄, 파리, 프랑크푸르트, 홍콩 등)에는 다음날 또는 2일내에 배달되며 기타지역과 국가에는 2~4일 이내에 배달됩니다.우체국 EMS 접수는 아래링크에서 가능하며, 금액이 클 경우 EMS 프리미엄을 통해 발송하는 경우 통관 대행이 가능합니다(연락처 : 1588-5027).https://ems.epost.go.kr/comm.RetrievePostagEMSSrvcCenter.postal조금 더 자세한 절차는 아래 블로그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http://www.postnews.kr/cpost_news/sub_read.asp?cate=30&BoardID=7272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미국산 올리브오일 수입하고 싶은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실제 현업에서 식품수입통관을 하면서 사전에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사항과 올리브오일 수입 시 주의해야하는 사항에 대하여 먼저 설명드리고, 글로서 설명드리기 한계가 있는 부분은 참고하실 수 있는 사이트로 갈음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아울러, 최초 수입하시는 경우에는 수입식품대행업체 또는 수입식품대행업을 보유한 관세사와 충분한 사전 협의 후에 진행하시는 것을 권고 드립니다.1. 수입식품판매업 등록수입식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수입식품안전관리특별법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수입식품판매업을 등록하여야 합니다. 판매업 등록전 일정의 교육 이수를 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절차와 영상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식품의약품 안전처 영업등록관련 공지 : https://www.mfds.go.kr/brd/m_75/view.do?seq=41606&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식품안전나라 동영상 매뉴얼 : https://www.youtube.com/watch?v=qzSAk7SjHeI2. 해외제조업소등록수입식품등을 국내로 수입하려는 자 또는 해외제조업소의 설치·운영자는 실제 제품을 제조·가공하는 해외제조업소를 수입신고 전까지 등록하여야 합니다. 이부분은 식품대행업체와 업무 진행 시 대행해서 진행 가능한 부분이므로 아래 링크를 통해 구비서류를 파악해주시기 바랍니다.수입식품정보마루 해외제조업소 등록 : https://impfood.mfds.go.kr/CFAAA01F01/?cvaaClsNo=14710009991013. 한글표시사항이부분이 가장 중요합니다. 수입하는 현품에 한글표시사항을 제대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국내에서 내용 보완하기 위해 스티커 보수작업을 하거나 보완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반송이나 폐기를 할 수 있으므로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정확히 작성하여야 합니다. 현행법령 기준으로 아래 링크에서 다운 가능하며, 올리브유는 첨부파일 40페이지 식용유지류에 해당하므로 해외제조자로부터 수취한 성분표를 토대로 해당 규정을 숙지하여 한글표시사항을 기재하여야 합니다. 다만,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처음에는 한글표시사항 작성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식품대행업체(관세사)를 통해 한글표시사항 작성을 권고 드립니다.식품등의 표시기준 : https://www.mfds.go.kr/brd/m_211/view.do?seq=14737&srchFr=&srchTo=&srchWord=%ED%91%9C%EC%8B%9C%EA%B8%B0%EC%A4%80&srchTp=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Data_stts_gubun=C9999&page=14. 식품 수입절차식품수입절차는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되며, 절차를 확인하실 수 있는 링크 공유드리오니 확인 부탁드립니다.수입식품 정보마루 : https://impfood.mfds.go.kr/ebook/e-book.html5. 주의사항올리브유 같은 경우에는 한글표시사항을 위해 압착올리브유, 정제올리브유, 혼합올리브유인지 여부의 확인이 필요하며, 유기농(Organic)인증없이 유기농이라는 표현을 현품에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실제로 올리브유를 수입하는 화주가 해당부분을 놓쳐 현품에 대한 보수작업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 사례들이 많습니다.식품 수입과 관련된 절차가 방대한 관계로 핵심적인 부분만 축약해서 설명드렸으며, 유투브에서 수입식품수입이라고 치시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영상들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될 듯 싶습니다. 이 외에 식품안전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 유투브 채널 및 수입식품정보마루 홈페이지에서 수입식품관련 절차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가스는 전량 수입해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일반적으로 난방에 사용되는 도시가스는 LNG(액화천연가스)에 해당합니다.이러한 LNG는 우리나라에서도 생산되었습니다. LNG 가스전은 울산광역시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동해가스전으로 한국석유공사가 1988년 처음 발견된 한국 최초의 가스유전입니다. 이러한 동해 가스전의 LNG 채굴량은 하루 약 1,000톤이었으며 1,000톤은 우리나라 LNG 소비량의 약 2%에 해당되는 양이라고 합니다. 동해가스전은 2004년 7월부터 가스를 생산하였고 2021년 12월 31일 가스공급이 최종 종료되었습니다.이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는 LNG를 전량 수입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3위 LNG 수입국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해운사별 해상 운임 비교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현재 아래 사이트에서 해상 운임견적이 가능하오나 가급적이면 해운사 및 포워더 컨택을 통해 운임견적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쉽다 : https://www.ship-da.com/트레드링스 : https://www.tradlinx.com/container-freight-rate-tariff이와 별개로, 한국무역협회 협력 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장 평균 해상/항공운임을 조회할 수 있는 링크 첨부드리며, 수출입 물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공유드리오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한국무역협회 : https://www.kita.net/supTrade/radisCharge/main/radisSeaCharge.do포워더케이알 : https://www.forwarder.kr/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국제무역에서 동남아시아 국가연합이 가지는 영향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ASEAN은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Nation: ASEAN)의 약어로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10개국을 회원국으로 하며, 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협력체계를구축하고 있는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기구 (총인구 약 6억명, 총면적 약 450km²)로 현재 한·중·일 등과 함께 ASEAN+1 혹은 ASEAN+3 등과 같은 형태로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주도하고 있는 국가입니다.ASEAN은 총 10개 회원국에 5억의 인구를 지닌 거대시장으로 우리나라에는 미국, 중극, 일본, EU와 더부러 5대 교역시장 중에 하나에 해당합니다. ASEAN은 주로 저임금을 기반으로 한 우회생산기지이거나 원자재 구매를 위한 시장으로 인식되었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는 고도 경제성장으로 인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구매력상승으로 현지 내수시장을 겨냥한 현지투자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KOTRA 보고서 아세안 시장 인구 트렌드와 기회 요인에 따르면, 최근 ASEAN 국가의 경우 다음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참고링크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indReport/actionIndReportDetail.do?pRptNo=13497&pHotClipTyName=DEEP&MENU_ID=280&CONTENTS_NO=1#;아세안은 중국, 인도와 더불어 소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신흥시장 으로 세계경제포럼•베인앤컴퍼니 리서치(’20.6월)에 따르면 2030년 아세안 중산층* 인구는전체의 67%를 차지할 전망, 최근 공급망 다변화 전략의 중심지로 아세안이 떠오르면서 주요 기업의 투자‧이전확대로 아세안의 경제 성장 모멘텀은 더욱 가속화 예상아세안은 디지털에 친숙한 지역이며 팬데믹 이후로 이커머스(식료품및뷰티 제품, 의류), 음식 배달 등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사용 빈도 및 지출이 증가 추세아세안은 세계 쌀 생산의 26%, 수출의 40%를 차지 (유엔식량농업기구) ◦ 생산한 쌀의 상당량을 자체 소비하며 중동 및 아프리카에도 수출, 인구 대국인인도네시아•필리핀은 자국 수요를 채우기 위해 수입에 의존 중2억 6천만 무슬림 인구와 할랄 수요가 있는 국가로 ’24년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판매되는 식•음료 상품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공인할랄 인증 여부 표기 의무화 조치 확대 예정중국 내 생산비용(임금, 토지, 용수 등) 급속 상승과 미-중 관계 긴장으로 인해 글로벌기업들의 아세안으로 선택적 전략적 투자 및 재배치 동향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동남아시아 국가연합의 경제•통상분야에 대한 영향력은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는 동남아시아국가를 중심으로한 REC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체결하여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추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RECP 협정의 효과는 체결 후 10년 경과 시 최대 1.76%의 실질 GDP 증가 및 194.56억불의 후생 증대 효과가 예상됩니다.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제 /
무역
23.01.30
0
0
802
803
804
805
806
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