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사별 해상 운임 비교 확인방법
해운사에따라 노선별 운임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해상운임을 특정 사이트에서 한번에 비교분석할 수있는 비교분석 사이트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현재 아래 사이트에서 해상 운임견적이 가능하오나 가급적이면 해운사 및 포워더 컨택을 통해 운임견적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와 별개로, 한국무역협회 협력 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장 평균 해상/항공운임을 조회할 수 있는 링크 첨부드리며, 수출입 물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공유드리오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한국무역협회 : https://www.kita.net/supTrade/radisCharge/main/radisSeaCharge.do
포워더케이알 : https://www.forwarder.kr/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구글링을 통해 검색한 바로는 한번에 비교분석이 가능한 사이트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으며, 일부 컨테이너 해상운임을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 및 물류비 견적을 받아볼 수 있는 사이트 공유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한국무역협회: https://www.kita.net/supTrade/requestEstimate/main/requestEstimateV2List.do
인천항만공사: https://www.icpa.or.kr/hfManager/step1.do?menuKey=3886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운해상운임에 대하여 견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 소개드립니다.
트레이드링스 와 밸류링크유 활용 이 가능합니다.
https://www.tradlinx.com/freight-quotes
https://www.valuelinku.com/UPG10021ML
우리나라해양수산부에서는 우리나라의 운임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한국발 운임지수를 제공 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래 내용도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https://www.mof.go.kr/article/view.do?articleKey=47822&searchSelect=title&boardKey=10&menuKey=971¤tPageNo=1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운임지수는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이다. 하지만,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상해발 운임지수로서 한-일, 한-동남아 등 아시아 역내항로의 운임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한국발 운임지수가 필요하게 되었다.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해상운임은 수출입 담당자라면 정해진 포워딩 업체를 통하여 견적을 받기 마련입니다. 물론 인터넷을 통하여 여러 포워딩 업체에 전화나 이메일로 운임 견적을 문의하실 수 있지만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은 알고 계실 겁니다.
아쉽게도 공식적인 정부나 협회 사이트에서 운영하고 있는 해상운임 견적 비교 사이트는 없습니다.
다만, 여기저기 검색해보니 해상운임 견적을 비교해주는 사설 업체를 하나 찾기는 하였습니다.
수출입 기업에서 물류 견적을 등록하면 특정 믈류주선기업에서 다양한 포워딩 업체들의 물류비 견적을 받아서 비교하여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게 하는 무역 솔루션 플랫폼 업체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시어 기업용 회원가입을 하신 뒤 물류비 정보를 등록하여 견적 요청하면 해상운임에 대한 여러 포워딩 업체의 견적서를 받아서 비교하여 선택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물류비 견적까지는 무료 이용 가능한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단, 일부 기능에 대해서는 유료화) 한번 이용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 것으로 판단됩니다.
★ 물류비 견적 무료 비교 업체 URL : (주)씨에어허브 (seairhub.com)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추천'과 '좋아요'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안녕하세요. 이재상 관세사입니다.
해운사별 해상 운임의 경우 해운사별, 노선별, 업체 담당자별, 수입업체의 역량별 등으로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쉽사리 비교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트레이드링스 ( https://www.tradlinx.com/service-freight-quotes )를 통해 비교가 가능합니다만, 어디까지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대기업 및 수입물량이 많지 않은 이상 선사와 직접적으로 계약해서 진행하긴 어렵기 떄문에, 현재까지는 여러 포워더를 통해 가격을 비교해볼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