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서민들의 장바구니경제는 고공인데 정부에서 발표하는 물가 상승지표는 낮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지표 계산 방식은 일반적인 방식과 다릅니다. 각 섹터별로 비중 이 있기 떄문입니다. 말씀하신 장바구니 물가는 식료품 지수 입니다. 물가비중은 에너지, 식료품, 주거비, 자동차 등 여러가지 요소가 각각의 비중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식료품 가격이 급등하더라도 비중이 낮으면 전체 물가지수에 영향은 적겠죠. 물가지수는 그래서 체감물가와 상당히 상이한 점이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2.12.15
0
0
전세계경제가 너무 힘들어지고 있는데특히 나라부채가1400조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는데 도대체이유가 무엇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이미 코로나때 시민들한테 돈을 많이 뿌렸습니다. 재난지원금이 다 그렇게 만들어진 겁니다. 그리고 자영업자 지원금 등 코로나로 인해 유동성 파티를 했기떄문에 국가부채가 천문한적으로 늘어난겁니다. 하지만 OECD 국가 대비해서 한국의 국가부채는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닙니다. 미국, 일본에 비하면 상당히 안정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그렇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 문제는 바로 가계부채입니다. 가계부채는 OECD 국가중 단연 1위입니다. 왜이렇게 많냐면 한국은 특히나 부동산 투기가 문제입니다. 전국민 대부분이 부동산 구매시 영끌로 대출로 부동산을 매입하다 보니 부채가 매년 200조 이상씩 쌓이고 있습니다. 이는 곧 시한폭탄이 될거라 확신합니다.
경제 /
대출
22.12.15
0
0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날 가능성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두나라의 입장 차이가 확고하기 떄문입니다. 우크라이나는 영토를 잃은 상태여서 회복할려고 전쟁을 유지할것이고 러시아도 지금 휴전하기에는 피해가 많아 더 많은 영토를 차지할려고 하는겁니다. 쉽지 않은 전쟁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우리나라 주식시장 새해에는 희망을 가져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내년에는 경기침체 본격 진입하므로 올해만큼 어려운 시장일거라 예상됩니다. 침체가 풀리는 하반기쯤엔 괜찮을것 같네요.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점도표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연준 의원 12명이 향후 금리 방향에 대해 어느정도 위치에 있을건지 점을 찍는다고 점도표 입니다. 예를들어 23년 1분기 점도표가 4.9~5.2로 형성되어 있다면 그 중간값을 시장에는 예상 금리로 인식합니다. 이번에 왜 시장에 충격인 이유는 내년에 금리 인하 계획이 전혀 없어서 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리튬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데 리튬이 가격이 왜 이리 변동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리튬이 없으면 2차전지 배터리를 못만듭니다. 그만큼 가장 중요한 원자재 입니다. 리튬의 대부분이 중국에서 만들어지는데 최근 중국 정부에서 리튬 가격 개입이 있었습니다. 이에 리튬 가격이 큰 상승이 꺽이고 하락추세로 전환된 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최근 금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데 그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은 비트코인 이전에 최고의 안전자산이었습니다. 비트코인이 몇년간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각광 받았지만, 최근 신뢰가 무너지는 안좋은 사건의 연속으로 그 지위는 바닥으로 떨어졌죠. 다시 금이 안전자산으로 부각받게 되었습니다. 달러가 약세로 전환되자 금이 최고의 안전자산으로 여겨지기 떄문에 오르는 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오늘 미국 금리 50bp 인상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인플레이션 엄청 심합니다. 지금 떨어져도 7% 수준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2%정도가 정상입니다. 그보다 아직도 3배 이상으로 높으니 금리 인상을 해야한다는 입장입니다. 내년에 5.25% 정도로 예상되며 대출금리 두자릿수까지 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장기간 저금리 기조의 저성장 시대는 이제 종말 했다고도 볼수 있겠네요. 한동안 고금리 저성장 시대로 진입할거라 생각합니다.
경제 /
대출
22.12.15
0
0
2022년12월14일 금리인상과 함께 파월의 발언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엄청 특별한건 없었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에도 큰 변동성을 안줬습니다. 연설 중에 특이사항은 22년에는 금리 인하가 없을 거란 겁니다. 원래는 하반기에 금리 인하가 어느정도 있을거라 예상했지만, 지속 고금리로 유지 될거라 발언하였습니다. 물론 이건 다음 회의에 변경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GDP 성장율이 23년 0.5%로 급감할거라고 예상하였습니다. 이는 연준에서도 23년 경기침체 진입을 인정한거라 볼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5
0
0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차이와 혜택을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OECD 선진국에 가입되면 선진국으로 인정받는다고 보면 될것 같네요. OECD 가입조건은 무역수지나 수출규모, GDP 순위 등을 보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혜택이라 보면 특별히 없겠으나, 투자금이 늘어나겠죠. 주식 시장 규모도 커질거고, 외국인 투자도 늘어납니다. 반면 개발도상국의 혜택이라고 하면 선진국들의 원조 정도로 보면 될것 같네요.
경제 /
경제정책
22.12.15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