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투자에서 레버리지, 좋은 선택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시장 상황이 좋을때는 레버리지는 큰 역활을 합니다. 반대로 시장이 악재(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레버리지는 엄청난 도박 수준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레버리지는 비추합니다. 현금 보유가 최고 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유상증자는 세부적으로 3가지로 나눠집니다. 주주배정유증과 3자배정 유증으로 나눠집니다. 주주배정은 현재 주주들한테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투자금을 확보하는 겁니다. 3자배정 유증은 미리 협의된 타 기관에 주식을 발행하고 이에 투자금을 확보하는 겁니다. 둘다 주식수가 증가하는 거라 주주가치가 희석되는 악재입니다. 하지만 3자배정은 회사를 우호적으로 보는 타 기업의 지분 참여로 간혹 호재로 인식하곤 합니다. 무상증자는 기존 주주들에게 주식을 공짜로 나눠주는 겁니다. 이에 신규 주식은 자본잉여금을 통해 배분하기 때문에 재무재표가 좋은 기업들이 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보통 무증은 큰 호재로 시장에서 평가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뉴스에서 나오는 미국연준은 어떤 역활을 하는 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미국 금리를 결정하는 기관입니다. 연방준비의원회, 쉽게 말해 미국 중앙은행으로 보시면 됩니다. 연준의장 외에 미국 12명의 연준 인사로 구성되어 6주마다 한번 FOMC 회의를 개최하여 향후 금리를 결정합니다. 미국이 전세계 1위 국가다 보니 금리 결정은 달러의 강세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엄청난 이벤트라 볼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주식시장은 언제쯤 회복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주식은 보통 6개월 선행입니다. 지금의 시장 급락은 내년 상반기 시장까지 반영된거라 보시면 됩니다. 내년 상반기에는 본격적으로 미국 및 선진국들 침체로 진입되며, 한국도 피할수 없이 침체 본격화 예상됩니다. 주식 시장이 선행된다는 의미하에 상반기말 정도에는 턴어라운드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반기에 금리 인하가 전환되고, 한번의 큰 하락장을 겪은 이후 반등 할거라 예상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코인은 거래소별로 거래 중지가 다른데 주식도 그런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가능을 합니다. 예를들어 TSMC라는 대만 파운드리 1위 기업이, 대만에도 상장되어 있고, 미국에도 상장되어 있습니다. 문제가 생겨서 미국에서 거래정지를 당하고, 대만에는 거래가 지속 될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가능은 합니다. 다만, 거의 발생하지 않은 이벤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경제 뉴스의 비둘기파 매파의 뜻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FOMC 회의에서 금리를 결정하는 연준 인사들의 성향이라 보시면 됩니다. 비둘기파는 정책적으로 금리를 완화시켜 유동성을 확대할려는 성향이고, 매파는 반대로 유동성을 축소하는 성향을 가진 인사입니다. 작년에는 반반 정도 나눠졌는데, 최근에는 12명 인사 모두 매파 성향 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3
0
0
미국 cpi와 미국금리가 0.5bp올리더라도 경기침체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CPI 상회하고 FOMC 50bp 이상으로 형성된다면 산타랠리는 없을겁니다. 내년초에 경기침체는 거의 확실시하고, 1분기는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높을수도 있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2
0
0
코스닥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단은 수출지표가 좋아야 하고요, 한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므로 수출 지표가 안좋으면 외국인 투자가 줄어듭니다. 그리고 원화 약세인 환경에서 강세로 전환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성장섹터가 대부분인 코스닥 환경에서 정책 금리가 낮아져야 합니다. 금리는 PER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금리가 낮아져야 PER이 높아집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2
0
0
우리나라가 국민연금을 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직장인이면 의무입니다. 개인사업자는 선택입니다. 내는 이유는 노년 생활을 위해 정부가 관리한다는 개념인데 나중에 고갈된다는 말이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상 고갈되는건 맞겠지만, 조만간에 엄청난 개혁이 있을거라 예상됩니다. 그렇지 않고서야 말씀하신대로 나중에 못받을 확율이 높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2
0
0
주요 건설사 부도 위험이 높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대형건설사는 괜찮고, 부채 비율이 높은 중소형 건설사는 내년에 부도날 확율이 높습니다. 내년에도 금리는 고금리 유지 예상으로 부동산 경기 침체는 지속 유지 예상되므로 부도 위험은 높다고 봅니다.
경제 /
대출
22.12.12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