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퀴벌레는 어떻게 그 오랜시간동안 멸종이 안됐나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가 멸종되지 않고 수백만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으로 몇 가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먼저 바퀴벌레는 환경 변화에 매우 회복력이 뛰어나고 가뭄, 홍수, 심지어 핵 낙진과 같은 극한 조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바퀴벌레는 빠르게 번식할 수 있고, 이는 종의 생존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또한 우테카이라고 불리는 보호 케이스에 알을 낳는데, 이것은 포식자와 다른 위협으로부터 발육 중인 어린 것들을 보호합니다. 또한 바퀴벌레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신진대사율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에너지를 보존하고 그들이 오랜 시간 동안 음식 없이 살아남는 것을 더 쉽게 만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과거에 공룡이 있었다는걸 어떻게 아나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공룡 화석은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었고 뼈, 이빨, 발자국, 그리고 심지어 부드러운 조직 자국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암석 형성과 고대 기후 패턴과 같은 다른 증거들과 함께 이 화석들에 대한 연구가 과학자들이 공룡이 살았던 세계의 상세한 그림을 종합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실제 모습이랑 정확히 같다고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다만 여러가지 증거자료와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대한 실제 모습에 최대한 가까이 복원했다고 보여집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11
0
0
해발 고도가 높은 수록 왜 추워질까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대기의 온도가 1000m 올라갈 때마다 약 6.5°C씩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에서 기압의 역할은 공기를 압축하고 열을 가두는 것입니다. 대기권이 높아질수록 기압이 떨어지고 압축력이 떨어져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고도에 따른 냉각에 기여하는 또 다른 요인은 대기 밀도의 감소입니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더 적은 열을 흡수하고 유지하게 되면서 더 낮은 온도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이 두 요인(압력과 밀도 감소)의 조합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온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지구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원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대기에서 가장 많은 원소는 질문자님 말씀처럼 질소가 맞습니다. 그리고 지구 지각에서 가장 많은 원소는 산소입니다. 무게로는 지각의 약 46.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구전체에서 가장 많은 원소는 지구의 핵의 거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1
0
0
부메랑은 어떻게 원래 자리로 돌아오나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부메랑이 돌아오는 원리를 이해하려면 공기의 양력과 세차 운동을 이해해야 합니다. 보통 부메랑은 윗면이 약간 둥글고 아랫면이 편평하기 때문에 던졌을 때 윗면이 아랫면보다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면서 압력의 차이에 의하여 공기를 위로 밀치는 양력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부메랑이 날아갈 때 윗면과 아랫면이 받는 힘이 서로 반대가 되어 윗면은 회전 방향과 이동방향이 같으나 아랫면은 서로 달라서 이로 인해 서로 받는 힘이 달라져서 균형이 깨지고 진행 방향을 바꾸는 세차 운동 (물체가 회전시 이리저리 흔들리는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진행방향은 왼쪽으로 휘어지려고 하는 힘 때문에 좌회전을 하기 시작하고 결과적으로 추진력이 제로인 속도가 될 때까지 긴 궤적을 그리며 던진 곳의 근처까지 와서 부드럽게 떨어지게 됩니다.
학문 /
물리
23.02.10
0
0
불의 고리가 의미하는 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그림이 보시는 것처럼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이 고리 모양의 지진대는 환태평양 조산대나 환태평양 화산대와 거의 일치하고 있습니다. 현재 일어나고 있는 지진들의 90%와 화산 활동의 70%가 이 고리 모양의 지진대에서 발생했습니다. 모양이 불모양처럼 생겼다고 해서 불의 고리라고 명명하고 있습니다. 지진을 설명하기 위해 나온 판 구조론으로 보면 태평양판이 유라시아 판, 북아메리카 판, 인도-호주 판 등의 다른 판들과 이 지역에서 만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지진이 잘 생기는 지역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전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90% 이상은 불의 고리라고도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진을 설명하기 위해 판구조론이 나왔습니다. 판구조론이란 지각이 움직이면서 오랜시간에 걸쳐 스트레스가 축적이 되고 그것으로 인해 지각이 균형을 잃으면서 지각이 튕겨나거나 서로 어긋나면서 균열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균열로 인해 지진이 발생하게 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환태평양 조산대는 지각판들이 만나서 충돌을 일으키는 지점들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터키 지진을 보면서 느낀건데 일본은 왜 지진이 자주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을 설명하기 위해 판구조론이 나왔습니다. 판구조론이란 지각이 움직이면서 오랜시간에 걸쳐 스트레스가 축적이 되고 그것으로 인해 지각이 균형을 잃으면서 지각이 튕겨나거나 서로 어긋나면서 균열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균열로 인해 지진이 발생한다고 보는 이론입니다. 지구 전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90% 이상은 불의 고리라고도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기 때문에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특별히 강한 지진의 발생 빈도가 높은 까닭은 네 개의 지각판(유라시아, 태평양, 필리핀, 북아메리카 판)이 만나는 접점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비닐봉지는 왜 썩지를 않나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비닐은 플라스틱과 같이 고분자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입니다. 문제는 고분자화합물이 분자량이 많기 때문에 미생물ㅇ 분해하여 썩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2.10
0
0
AI가 인간처럼 감정을 가지는 날이 올까요?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AI가 인간이 만든 결과물이기 때문에 향후에 인간의 감정 또한 데이터처럼 다루게 될 거라고 봅니다. AI가 다루는 감정은 철저히 기계적 연산과 알고리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더 정교하고 치밀해져서 마치 사람이 볼 때 감정이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될 것 같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10
0
0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