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최근 많이 듣는 단어? 신조어?중에 '포렌식'이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안녕하세요.포렌식(forensic)은 신조어는 아닙니다.포렌식은 영어의 형용사로 ‘법의학적인, 범죄 과학 수사의’ 또는 ‘법정의, 재판에 관한’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포렌식은 범죄를 밝혀내기 위한 수사에 쓰이는 과학적 수단이나 방법·기술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범죄과학’이란 용어로 쓰이기도 합니다.원래 뜻은 라틴어 ‘forensis’ 즉 공청회라는 말에서 유래한 만큼 공개적인 자리에서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5
0
0
나비그림에 대롱을 잘 안그리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비의 날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생략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혹은 그리기가 어려워서^^ 일수도...나비는 사실 날개 부분이 그 무엇보다 아름답고 무늬도 제각각 인것 같습니다.이런 아름다운 나비의 모습을 표현하다보니 대롱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그림을 그리는 화가에 따라 그 부분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는 것 같습니다.미흡하지만 제 답변이 질문자님의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1.25
0
0
처먹다의 처는 수식어인가요 비속어 인가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처먹다’는 동사로 욕심 사납게 마구 먹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먹다’의 앞에 붙은 '처'는 '마구, 많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입니다.뜻이 ‘마구 또는 많이’라 좀 강한 표현이 되고 비속어처럼 느껴지지만 표준어라고 합니다.‘처먹다’는 ‘욕심 사납게 마구 먹다.’는 뜻과 '먹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라고 사전에 나와있습니다.우리가 보통 ‘술 등을 처먹는다’라고 표현하는 경우는 좋은 의미보다는 꼴보기 싫은 경우 쓰는 경우가 많아서 아무래도 비속어처럼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1.25
0
0
어제 축구에서 무승부인데 그냥끝?
안녕하세요.어제 한국과 우루과이의 경기는 조별 경기입니다.우리는 h조로 조별 경기에서는 승부차기를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조별 경기는 무승부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조별 경기는 3무승부 팀이 나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조별 경기는 승점으로 결과를 처리하는대요. 이기면 3점 지면 0점이고 무승부는 1점 이라고 합니다.조별 경기의 결과 그 조의 1, 2위만 16강에 올라간다고 합니다.각 조의 경기가 끝나고 16강이 되면 이때부터는 토너먼트이기 때문에 연장과 승부차기를 합니다.16강부터는 무승부가 없는거죠.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5
0
0
바이킹의 발생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바이킹(Viking)킹은 ‘협강에서 온 자’라는 뜻으도 피오르 해안에 많은 협강(vik)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이들은 중세에 스칸디나비아와 덴마크 등지에 살면서 유럽 각지로 진출해 습격과 약탈, 살해를 자행한 노르만족으로 주로 해안을 배로 이동하며 살아 항해술이 뛰어났다고 합니다.985년 그린란드에 정착지를 개척하고 이곳에서 최고 수천명까지 인구가 늘어났지만 15세기 초 바이킹들은 갑자기 사라졌습니다.많은 인류학자와 과학자들은 바이킹의 그린란드 정착지 몰락이 북대서양에서 이례적으로 추운 시기였던 소빙하기 출현 때문이라고 추정해왔습니다.하지만 바이킹을 무너뜨린 것은 추위가 아닌 가뭄이었다는 새로운 가설이 등장했습니다.장기간의 가뭄이 남부 정착촌을 지속 불가능하게 만들기에 충분할 정도로 삶의 균형을 깨뜨렸다고 하는대요.가뭄으로 인해 그들의 식량인 목축 불가능해져 바이킹이 몰락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4
0
0
쿠빌라이 칸은 징기스칸의 후손인가요
안녕하세요.쿠빌라이 칸은 몽골제국 제5대 칸이자 중국 원나라의 시조라고 합니다.1215년에 출생해서 1294년 사망했는대요.쿠빌라이 칸은 칭기즈칸의 손자라고 합니다.형 몽케가 제4대 칸의 자리에 오르자 중국 방면의 대총독에 임명되어 고비사막 남쪽의 금연천을 근거지로 삼고 지금의 중국 윈난성에 있던 대리국을 멸망시켰으며, 티베트와 베트남까지 공격했다고 합니다.그는 중국 통치에 타고난 재질을 보였으며 한(漢)나라 문화에도 관심을 보였다고 합니다.성리학자였던 왕순에게 자신의 맏아들의 교육을 맡겼을 정도로 문화와 학문에도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4
0
0
미중 무역전쟁이 일어난 원인은?
안녕하세요.미중 무역전쟁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을 말합니다.미중 무역전쟁의 원인은 2018년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서명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관세 문제로 시작된 두 나라의 무역전쟁은 그 이후에 미국의 화웨이 제재 조치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등의 문제로 확대되었습니다.이는 2019년 미국 국방부가 대만을 국가로 명시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깨뜨리면서 체제 문제로까지 확산되었다고 합니다.이후 환율로 인한 갈등이 심화 되었으나 2019년 10월 미 중 두 나라의 무역협상에서 부분적 합의를 이끌어 내면서 휴전 상태가 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4
0
0
7은 어쩌다가 행운의 숫자로 상징이 됐을까요?
안녕하세요.럭키 세븐 (lucky seven)은 행운의 숫자가 7이라는 뜻입니다. 7이 행운의 숫자가 된 이유는 고대 이스라엘에서 하늘의 숫자인 3과 땅의 숫자인 4 를 더해 세상의 모든 것을 의미하는 성스러운 숫자라고 여겼기 때문입니다.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한 날도 7일이고, 안식의 해도 7년이라고 합니다.메이저리그에서 7회에 홈런이 많이 나와 7회를 럭키세븐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이렇게 숫자 7과 관련되어 좋은 일이 많아 7이 행운의 숫자가 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4
0
0
북한과 우리는 민족이 같다고 말하는데 100%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남한과 북한은 같은 민족이고 한민족(韓民族)입니다.한민족은 한국어를 공통으로 사용하며 한반도를 중심으로 공동의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는 아시아계 민족입니다.‘한인(韓人)’이라고도 하며, 북한과 일본에서는 ‘조선민족(朝鮮民族)’이라는 합니다.중국이나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지에서는 그곳에 거주하는 한인을 조선족(朝鮮族)・고려인(高麗人)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같은 민족이지만 사상이 달라 남과 북으로 나눠었고 6.25 전쟁으로 인해 이제는 갈 수 없는 나라가 되어버렸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2.11.24
0
0
국어가 더 어렵다는 것을 새삼스레 느껴지네요..ㅎㅎ
안녕하세요. '감축'은 경사스러운 일을 함께 감사하고 축하함. 또는 받은 은혜에 대하여 축복하고 싶을 만큼 매우 고맙게 여긴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경하'는 경사스러운 일을 치하(致賀)한다는 뜻과 공경하여 축하한다는 뜻이 있습니다.'축하'는 남의 좋은 일을 기뻐하고 즐거워한다는 뜻으로 인사함을 말하고'경축'은 경사스러운 일을 축하한다는 뜻입니다.모두 상대방의 좋은 일을 함께 기뻐한다는 뜻으로 어떤 것을 써도 무방할 듯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4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