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현대카드 현금써비스 리볼빙(분할납부)가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리볼링 제도는 현금서비스를 받고 기타 대금과 함께 결제일에 카드대금 청구가 되면 해당 현금서비스는 리볼빙 서비스에 제외되고 나머지 청구금액을 기준으로 10%를 상환하고 분할납부가 가능합니다. 리볼링 적용대상은 국내외 일시불 이용금액이며,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이용금액의 경우 2014년 12월 31일 이전 가입자에 한해서는 리볼링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현금서비스 상환을 분할로 하려면 카드론을 신청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물론 분할상환시 금리 비교를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
대출
22.12.14
0
0
어제 CPI 지수가 꺽였다고 하는데 앞으로 금리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PI 가 꺽였다고 인플레이션이 하락한다고 보기에는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물가가 전년대비, 전월대비하여 이번달에서 상승했는데 그 상승률이 꺽긴 것입니다. 그래도 CPI 지수는 미 연준의 금리 정책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기는 합니다. CPI지수의 하락 시그널은 미연준의 금리 정책을 완화 또는 인하로 갈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당장 이번 12월 FOMC에서는 기준 금리를 0.5%p 을 올릴 것(이번 CPI 지수가 전월 대비 상승률이 높았을 경우 0.75% p 인상도 예상 됐음)으로 예상되지만 향후 내년 회의 때는 0.25%만 올 수 있는 또는 지수의 하락 폭이 크게 나오면 기준금리 인상의 중지, 또는 기준금리 인하까지도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아직 인플레이션이 높아 단기적으로 기준금리 인하는 어려워 보입니다. 어쨌든, CPI 상승 폭 둔화는 급격하게 상승하던 기준금리가 안정을 찾고 소폭 상승 또는 횡보 할 것이라고 판단해 볼 수 있겠습니다. 동일하게 우리나라 기준 금리도 현재 3.25%에 내년 1월 0.25%p 상승, 2월 0.25%p 상승 정도를 예상해 봅니다.
경제 /
대출
22.12.14
0
0
기업의 전환사채 발행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환사채는 기업이 일반 사채를 발행할 수 없을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거나, 발행하더라도 높은 수준의 이자율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에 낮은 금리로 자금조달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상당한 리스크를 앉고 투자를 하게 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회사의 경영실적이 개선 돼 주가가 오르면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한 뒤 주식시장에서 매각하거나 만기까지 기다리다 불안한 때 만기 전 상환청구권을 행사해 원금을 돌려 받을 수 있고, 만기까지 이자를 받다가 만기에 원금을 돌려 받는 수도 있어 다양한 투자옵션을 갖게 됩니다. 발행사 입장에서는 일반사채보다 이자율을 낮춰 채권을 발생하여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조달 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즉 발생사 입장에서 일반사채보다 쉽게 자금을 조달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참고)벤처업계의 경우 VC들은 주식보다는 전환사채 투자를 통해 주식보다 안정적 투자를 지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환사채는 발생사가 망했을 때 주식보다 우선적으로 회사의 청산시 잔여배당을 받게 됩니다. 전환사채가 갖고 있는 다른점은 전환가격의 결정(주식가격이 얼마 오르면 전환한다), 전환가격 리픽싱(refixing)(주식가격이 떨어질 경우 전환가격도 낮추는 것), 전환시기(계약서 일정 기간에만 전환 가능하도록 하는 계약)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4
0
0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7.1 나와서 나스닥 급등하는데 한국증시에는 어떤영향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11월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동월 보다 7.1% 상승(10월에는 7.7% 상승)하여 예상치(7.3%) 보다 낮게 나왔고 이로 인해 시장은 오늘 내일 중의 FOMC 회의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CPI 예상치가 낮아진다는 의미는 향후 미국내 인플레이션의 하락을 의미하고 이는 곧 미 연준의 금리정책의 변화(현재의 금리인상 기조에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즉 급격한 기준 금리인상 정책에서 완만한 인상 또는 인상폭 조정등의 시장 안정화 정책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연준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에 영향을 줄 수 밖에 없고 수입물가의 상승, 달러의 유출을 방어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인상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시장(증시)에는 좋지 않습니다. 그런데 미연준의 금리인상이 완화된다면 우리나라의 금리정책에서 좀 더 시장 친화적인 정책을 펼 수 있고, 금리 인상이 단기적으로 곧 멈출 수 있다는 시그널을 주기 때문에 우리나라 증시에는 긍정적입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3
0
0
무통장 입금 잘못 송금하면 돌려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방법은 예금보험공사의 착오송금 반환지원정보 시스템(https://kmrs.kdic.or.kr/ko/index.do)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신청 대상은 2021년 7월 6일 부터 발생한 착오송금건으로 금융회사를 통해 사전반환 신청이 진행된 건, 착오송금액이 5만원이상 1천만원 이하인 건, 차공송금과 관련하여 법적절차가 진행중이지 않은 건에 대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3
0
0
빅스텝 자이언트스텝 울트라스텝이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때 사용되어지는 용어로0.25% 인상이 발생할 때를 베이비스텝, 0.5% 인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빅스텝, 0.75% 인상이 발생하는 경우를 자이언트스텝, 1%의 금리 인상이 발생할 때는 울트라스텝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해당 용어는 의미는 금리인상의 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수준의 금리인상 0.25%을 기준으로 한 단계 높은 경우를 빅스텝(0.5%), 2단계 높은 경우를 자이언트스텝(0.75%), 3단계 높은 경우를 울트라스텝(1%)이라고 합니다.미국의 금리 인상은 우리나라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가 많이 올라갈수록 수입물가의 상승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미국의 금리가 작게 올라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렇다고 높은 금리인상이 우리 시장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금리인상을 한다는 말은 곧 시장의 물가가 상승한다는 의미이고 물가상승을 잡는 일반적인 방법인 금리 인상이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0.09
0
0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 금리인상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 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 드립니다. 금리를 올리면 소비자의 가계에 영향이 갑니다. 즉 소비자가 받은 대출의 이자 부담이 증가하는 것이지요. 소비자는 늘어난 가계 비용(대출금 이자 비용)만큼 소비를 하지 않습니다. 그럼 수요가 감소하면서 물건 값 상승을 억제(물가 상승 억제) 하게 됩니다. 또 판매자(기업)은 소비자의 소비 지출 감소에 따라 만드는 물건의 생산을 줄입니다. 더욱이 금리까지 올랐으니 생산할 수 있는 투자를 축소 또는 하지 않게 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판매자(기업)의 고용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런 일련의 현상이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통화량이 증가하여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이로 인해 물가가 올라가는 현상입니다. 여기서 화폐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의미는 시장에 돈이 넘쳐 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올라가는 물가를 잡는 방법은 넘쳐 나는 시장의 돈을 회수하여 다시 화폐의 가치를 올리는 것입니다. 화폐의 가치를 올리는 방법으로 시장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소비자들은 대출받은 이자를 갚기 힘들기 때문에 가계의 소비 지출은 감소하고 자연히 대출에 대하여 상환이 이루어집니다. 이런 현상이 모든 시장의 돈을 회수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가계의 소비 지출이 감소하는 기업도 더 이상 공급을 위한 투자(돈을 빌리는 행위)를 하지 않기 때문에 이 또한 시장의 돈을 회수하는 방법이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9
0
0
예금에서 기본금리 적용금리는 무슨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본 금리 2%는 가입하고자 하는 적금 또는 예금에 대한 금리(세전)입니다. 그리고 적용금리 3% 는 고객의 은행 거래 실적 등 고려하여 금리를 우대해 줄 수 있는 실적이 충족하실 경우 지급하는 금리입니다. 즉 예금에 대한 금리가 원래는 2% 인데 고객께서 자동이체 실적, 카드실적등이 있으며 1%를 더하여 3%를 줄 때를 적용금리라 칭하고 있습니다. 사실 일반적으로 적용 금리보다는 우대 금리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5
0
0
사용하지 않는 통장 또는 계좌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과거 계좌등 몇 개의 계좌를 유지한다고 해서 은행거래 특히 신용평가에 크게 유리하지는 않습니다. 본인의 사용의 편이성을 생각하여 유지할지 말지 판단하시면 됩니다. 과거에는 통장을 만들고 오랫동안의 거래 기간이 있는 것이 은행의 신용 평가 크게 작용했지만 지금은 관련이 없습니다. 지금은 자동 이체 실적, 신용카드 결제 실적 및 기간, 대출금 성실 상환 내역 등이 은행을 거래함에 있어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5
0
0
보증계좌 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좀 더 상세한 정보가 있어야 알려드릴 수 있을 듯합니다. 단순히 보증 계좌 해지의 뜻만 갖고 판단해 보 건데,1) 채무 보증을 했던 건이 종료된 경우2) 주택 담보 또는 전세 대출 받을 경우 주택 신용 보증서를 받는데 이 보증이 종료 된 경우(대출 종료된 경우)3) 예금 담보를 제공했는데 대출 상환으로 종료된 경우...이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정보가 미약해서 정확한 답변이 어려운점 양해바랍니다. ^^
경제 /
예금·적금
22.08.05
0
0
748
749
750
751
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