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아동 언어·발달 전문가 임혜지입니다.
안녕하세요. 언어재활사이자 보육교사로서 아동의 발달·언어·양육 전반에 대해 전문적인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부모님의 고민을 면밀히 듣고, 전문성과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아이의 개별 발달 특성을 존중하며, 가정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함께하겠습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22개
답변 평점
0
(0)
받은 응원박스
6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0개
최근 답변
아이가 편식이 심해서 식사 시간이 힘들어요ㅜ
안녕하세요. 임혜지 보육교사(언어재활사)입니다.아이의 편식은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감각 자극에 대한 불안이나 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 학습이 누적돼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억지로 먹이려 하면 불안 반응이 강화되므로, 먼저 아이가 안전하게 느끼는 환경에서 음식을 탐색하도록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음식을 바로 먹이기보다 냄새 맡기-만져보기-작게 한 입 맛보기처럼 감각 노출 단계를 세분화해 성공 경험을 만들어 주세요. 또한 기존에 좋아하는 음식과 섞거나 비슷한 질감부터 확장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꾸준한 노출과 긍정적 경험이 쌓이면 편식은 충분히 완화될 수 있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1일 전
0
0
요즘 학생들이 공부 집중력을 잃은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임혜지 보육교사(언어재활사)입니다.최근 학생들의 집중력 저하는 단일 원인보다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스마트폰과 짧은 형식의 콘텐츠 사용 증가가 즉각적 자극에 익숙해지게 하면서 지속적 주의 유지 능력을 약화시키는 것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이후 비대면 중심 학습 경험이 늘며 학습 구조가 분절화되고, 학교 적응 경험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여기에 학업 스트레스, 수면 부족, 과도한 일정 등 환경적 요인까지 더해지며 전반적인 집중 지속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즉, 기기의 영향도 크지만 학습 환경·정서·생활습관이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육아 /
유아교육
1일 전
0
0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서툴 때 어떻게 도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임혜지 보육교사(언어재활사)입니다.사회적 신호를 해석하고 적절한 행동으로 연결하는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이 아직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가 과하게 부담 느끼지 않는 작은 상황부터 성공 경험을 쌓게 하는 것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부모가 역할놀이로 인사·차례 기다리기·간단한 요청하기 등을 연습시키고, 실제 놀이 상황에서는 아이가 말할 기회를 대신 빼앗지 않고 뒤에서 조용히 언어적 힌트만 제공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또래 한 명과의 짧은 놀이부터 시작해 점차 상호작용 범위를 넓히면 사회적 자신감이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1일 전
0
0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임혜지 보육교사
미오백아동발달상담센터
전문가 랭킹
-
육아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