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편식이 심해서 식사 시간이 힘들어요ㅜ
특정 음식만 먹고 새로운 음식은 거의 거부해요 억지로 먹이려고 하면 거부 반응이 더 심해집니다
지속 가능하고 부드러운 편식 개선 방법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임혜지 보육교사(언어재활사)입니다.
아이의 편식은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감각 자극에 대한 불안이나 낯선 음식에 대한 거부 학습이 누적돼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억지로 먹이려 하면 불안 반응이 강화되므로, 먼저 아이가 안전하게 느끼는 환경에서 음식을 탐색하도록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음식을 바로 먹이기보다 냄새 맡기-만져보기-작게 한 입 맛보기처럼 감각 노출 단계를 세분화해 성공 경험을 만들어 주세요. 또한 기존에 좋아하는 음식과 섞거나 비슷한 질감부터 확장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꾸준한 노출과 긍정적 경험이 쌓이면 편식은 충분히 완화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특정 음식만 먹고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는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만 먹는 성향이 짙어서와 새로운 음식은 처음 보는 것이라 낯설음이 커서 이겠습니다.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편식을 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아이가 편식을 한다 라면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서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좋아할 만한 튀김, 전, 피자, 볶음밥, 김밥 등으로 만들어서 먹이는 방법을 활용해 보도록 하세요,
그리고 아이와 함께 요리활동을 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음식의 소중함을 알려주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편식이 심해 식사 시간에 힘이 들어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편식을 심하게 할 때는 억지로 먹이기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이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식사 분위기를 즐겁고 편안하게 만들어 주고, 강요보다는 선택권을 주어 아이가 스스로 시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새로운 음식은 작은 양으로, 익숙한 음식과 함께 제공해 부담을 줄이고 반복적으로 노출시켜 친숙함을 높입니다. 또한 요리에 참여하게 하거나 모양을 재미있게 꾸며 흥미를 유도하면 효과적입니다. 부모가 다양한 음식을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모델링이 됩니다. 무엇보다 인내심을 가지고 서서히 접근하며, 한 번의 거부에 좌절하지 않고 꾸준히 시도하는 태도가 지속 가능한 편식 개선에서 중요한 요인입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편식이 심한 아이는 억지로 먹이기보다 선택과 노출을 통한 자연스러운 습관 형성이 효과적입니다. 먼저 새로운 음식은 작은 양, 한입만 맛보게하고, 기존에 좋아하는 음식과 함께 접시에 올려 부담없이 경험하게 하세요. 식사시간을 즐거운 분위기로 만들고, 아이가 시도할 떄마다 칭찬과 격려를 해주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편식 때문에 매 끼니가 버거우실 텐데, 잘 버텨오셨습니다.
새로운 음식은 아주 작은 한입의 경험만 허용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되, 먹지 않아도 괜찮다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시면 거부감이 줄어듭니다. 식사 전에 먹는 간식의 양과 빈도는 줄이도록 하고, 아이가 조리 과정에 참여하면 내가 만든 음식이라는 이유로 시도 확률이 높아집니다. 조금씩 익숙해지는 데에 시간이 걸리지만, 지금처럼 부드럽게 이끌어 주시면 아이도 폭이 넓어질 겁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강압보다는 다양한 식재료에 자연스럽게 노출시키는 방법이 거부감을 줄이는 가장 안전한 방식입니다
비식사 상황에서 만지기 냄새 맡기 등 감각 탐색을 하면 음식에 대한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한 입이라도 성공하면 충분히 칭찬해 주어 긍정 경험을 형성하는 것이 중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