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독특한병아리168
독특한병아리168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서툴 때 어떻게 도와야 하나요?

아이가 또래와 어울릴 때 주도적으로 행동하지 못해요 놀이나 대화에서 자주 뒤로 물러나는 모습이 보입니다

사회적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실천 방법이 있을까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혜지 보육교사(언어재활사)입니다.

    사회적 신호를 해석하고 적절한 행동으로 연결하는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이 아직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아이가 과하게 부담 느끼지 않는 작은 상황부터 성공 경험을 쌓게 하는 것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부모가 역할놀이로 인사·차례 기다리기·간단한 요청하기 등을 연습시키고, 실제 놀이 상황에서는 아이가 말할 기회를 대신 빼앗지 않고 뒤에서 조용히 언어적 힌트만 제공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또래 한 명과의 짧은 놀이부터 시작해 점차 상호작용 범위를 넓히면 사회적 자신감이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또래와 상호작용이 서투른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의 문제가 커서 입니다.

    아이의 기질이 소극적이고, 소심하고, 부끄러움이 많고, 낯가림이 심하고, 내성적이고, 내향적인 성향이 짙다 라면

    친구에게 쉽게 다가가는 것을 어려워 하고 놀이에 참여를 해도 그 놀이를 이어가는 부분이 미흡함이 크겠습니다.

    아이의 사회적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는 방법은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하면서 각 상황에 적절한 행동.언어.제스처 및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아이가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서툴 때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또래와 어울릴 때 주도적으로 나서지 못한다면 작은 성공 경험을 통해 사회적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집에서 역할놀이를 통해 대화와 놀이 상황을 연습하게 하고, 부모가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어 성취감을 느끼게 합니다. 또래와의 만남은 소규모로 시작해 점차 확장하며 아이가 부담을 덜 느끼도록 돕습니다.

    놀이에서 아이가 잘할 수 있는 역할을 맡게 하여 자신감을 높이고, 부모가 옆에서 지지하며 관찰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시도한 작은 행동을 인정하고 칭찬해 주는 태도가 사회적 자신감을 키울 수 있으며, 꾸준히 반복되는 긍정적 경험이 또래 관계에서 주도성을 발휘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서툰 아이는 작은 성공 경험을 토앻 자신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놀이를 시작할 떄 역할을 나눠주거나 ㅉ랍은 미션을 주어 참여를 유도하고, 아이가 행동할때마다 칭찬과 격려로 긍정적 피드백을 주세요. 가정에서도 가족과의 역할놀이, 대화연습을 통해 사회적 기술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의 이러한 모습을 보이면 마음이 많이 쓰이실 것 같아요, 그래도 이렇게 세심하게 살펴주고 계신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될 거예요. 집에서는 짧은 역할놀이로 상황을 미리 연습하면 실제 아이가 또래 친구와 관계를 가지는 데에 훨씬 수월해집니다.

    또래 친구 한 명이나 두 명 정도와 소규모 만남을 자주 만들어 성공 경험을 쌓으면 아이의 사회적 자신감이 자연스럽게 올라옵니다. 작은 시도라도 바로 즉각적으로 아이를 칭찬해 주면 아이는 내가 해도 된다는 감각을 얻고 앞으로 나아갈 겁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소규모 짝꿍 놀이처럼 부담이 적은 상호작용을 먼저 경험시키면 자신감이 서서히 증가합니다.

    성공한 사회적 행동을 즉시 칭찬해 주시면 긍정 경험이 누적되어 상호작용이 크게 향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