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Q.  팔공산이 국립공원 승격 이후, 천제단 복원 중점을 두는데 천제단의 역사적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사기 등에 따르면 신라시대 팔공산은 '중악'으로 불리며 동악 토함산, 서악 계룡산, 남악 지리산, 북악 태백산 등 '오악(五岳)' 중 중심이었다. 신라 오악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제사를 지낸 곳이다. 국왕이 직접 국태민안을 기원하기 위해 하늘에 제를 올렸다. 중요민속자료 제228호인 태백산 천제단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태백산 천제단은 일제강점기까지도 천제를 지냈고, 지금도 개천절에 맞춰 제를 지내고 있다. 팔공산 비로봉 정상에도 천제단을 추정할 수 있는 장소가 있고, 흔적도 남아 있다. 이상과 같이 팔공산 비로봉 정상에 천제단을 복원해야 할 이유가 넘쳐난다.
Q.  우리나라의 천문관측대는 언제 처음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선덕여왕때 세워진 첨성대는 천문관측대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 되고 유일한 석조 구조물이다.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규모는 높이 9.17m, 윗지름 3.1m,아랫지름이 5.17m, 지대석 한 변의 길이가 5.35m이다.첨성대는 태양광선에 의해 생기는 해그림자를 측정해 태양고도를 알아내고, 춘추분점과 동하지점 특히 동지점과 시각을 결정하는데 쓰인 측경대(測景臺)였다는 말이다.
Q.  우리나라 불교는 언제부터 전파되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맨처음 불교가 전래된 것은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의 17대왕인 소수림왕(小獸林王) 2년 즉, 서기 372년의 일입니다. 이해 2월에 중국의 북부에 자리잡고 있던 나라인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이 순도(順道)라는 스님으로 하여금 불상과 경전을 보내옴으로써 공식적인 불교의 전래가 이루어진 것입니다.​2년 후에는 아도(阿道)라는 스님이 왔으며, 그 이듬해에는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라는 최초의 사찰이 세워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국가간의 공식적인 전래로서, 그 이전에 민간 차원에서는 이미 불교가 이미 들어와 있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Q.  몽골음악중에 '흐미'라는 음악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흐미는 몽골의 전통 배음 창법이다. 가장 큰 특징은 한 사람이 두 사람의 목소리를 내는 듯한 기법이다. 들어보면 알겠지만 울리는 듯한 소리 같기도 하고 소리 두개가 겹친 듯한 느낌이기도 하다. 즉, 요들은 난이도는 높지만 후렴구에서 흉성과 두성을 빠르게 교체해야 하는 반면에 흐미는 한 번 부를 때 동시에 두 개의 소리를 내야한다는 뜻. 따라서 난이도가 높기로 유명한 요들보다 훨씬 더 어려운 창법이다. 그렇게 한 사람이 두 사람 목소리를 내는 듯한 창법은 초원의 바람 소리를 묘사한 것이라 한다.매우 어려운 창법이므로 몽골인들 중에서도 흐미를 잘 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그러나 비교적 몽골의 전통이 잘 남아 있는 서부 몽골 지역에서는 아직 흐미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꽤 남아 있고, 이들을 중심으로 후학들을 양성해 전통을 보전하려 하고 있다.
Q.  미라클 모닝을 처음을 이야기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라클 모닝이란 오전 6시 혹은 더 이른 시간에 일어나 독서, 운동 등 자기 계발을 하는 활동을 말한다. 2016년 미국의 작가 "할 엘로드"가 쓴 동명의 자기계발서에서 등장한 개념이다. 이 같은 아침 습관은 해외에서는 이미 널리 알려졌고, 국내에서는 2020년부터 유튜브를 통해 본격적으로 알려진 후 2030세대 사이에서 열풍이 불고 있다. M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는 미라클 모닝 활동을 SNS에 인증하는 경우가 많다.2000년대 국내에 불었던 ‘아침형 인간’ 신드롬과 비슷한 현상이지만 ‘아침형 인간’의 목적이 성공하기 위한 것이라면 미라클 모닝은 ‘자기 계발’이라는 데 차이가 있다. 미라클 모닝 열풍을 코로나19 이후 2030세대에서 나타나는 불안감이 원인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코로나19로 일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해 지면서 무기력감을 반복적으로 느끼게 되고 이를 벗어나 성취감을 얻으려는 행동이라는 분석이다.
1761771781791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