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Q.  사람에게 음악 치료를 함으로써 환자들에게는 어떻게 좋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음악 치료는 환자의 정서적, 심리적, 신체적 건강을 돕기 위해 음악을 활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병원뿐만 아니라 재활 센터, 정신 건강 기관, 노인 요양 시설 등에서도 활용됩니다. 음악 치료를 받으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1. 정서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2. 통증 완화(뇌에서 엔도르핀이 분비)3. 우울증 및 불안 감소(도파민과 세로토닌 같은 행복 호르몬 분비)4. 인지 기능 향상(알츠하이머나 치매 환자들에게 음악 치료가 기억력과 인지 기능을 향상)5. 운동 기능 및 재활 촉진(리듬감 있는 음악은 신체 움직임을 유도)6. 사회적 교류 및 의사소통 능력 향상(함께연주하며 상호소통, 사회성 향상)이외에도 다양한 장점들이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아이에게 악기 연주 교육, 피아노 교육은 언제부터 가르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3~4살부터 가르치면 좋습니다. 놀이처럼 피아노를 치게하면 자연스럽게 나중에ㅜ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셈이 됩니다ㅡ물론 본인이 좋아하고 즐겨야겠지요!^^
Q.  음악을 제작하는 직업에서 음향엔지니어와 프로듀서와 다른점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엔지니어는 사운드의 기술적인 퀄리티를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로 움직이고프로듀서는 음악적인 창의성과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목표로 움직이는것 같아요~엔지니어는 주로 EQ, 컴프레서, 리버브, 딜레이 등의 음향 조정 기술에 집중하고프로듀서는 코드 진행, 멜로디, 리듬, 악기 배치 등의 음악적 요소에 집중합니다.
Q.  피아노를 칠때 악보를 안보고 치는게 기본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외워서치면 훨씬 음악에 집중할 수 있지요!~~ 감정도 더 실을수 있고 자유로워집니다.악보를 보면 시선도 빼앗기고 넘겨야되고 음악이 흐르는것을 방해하지요!~~ 그래서 솔로연주는 기본적으로 암보를 하지만 트리오나 앙상블은 보고도 합니다ㅡ
Q.  덩치가 큰사람이 노래통도 크다는게 맞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맞는말이지요! 악기가 크다는 얘기니까요!^^그러나 본인이 그 악기를 잘 사용 못하면 말짱 꽝입니다. ㅋㅋ작아도 본인의 장점과 울림을 잘 사용하면 커서 못사용하는 사람보다 훨씬 낫습니다. ㅋㅋ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