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Q.  순천에 있는 낙안읍성은 언제 조성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낙안읍성 조성 경위를 살펴보면 성곽은 조선 태조6년(1397) 낙안출신, 전라도 수군도절제사 양해공 김민길 장군이 왜구의 침입에 맞서기 위해 흙으로 쌓았고, 세종 6년(1424)되던 해부터 석성으로 쌓기 시작했으며, 석성으로 중수된 것은 그로부터 약200년 후인 인조 4년(1626) 충민공 임경업 장군이 낙안군수로 부임한 이후라고 합니다. 읍성 전체 모양은 장방형으로, 성곽의 길이는 1,410m이고, 전체면적은 223,108㎥이고, 동·서·남쪽에는 성안의 큰 도로와 서로 연결된 문이 있고, 4군데의 치성이 있어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선조들의 우수한 지혜를 엿볼 수 있습니다. 낙안읍성은 1983년 6월 14일 사적 제 302호로 지정되었고, 현재는 총 13점의 문화재 (국가지정 10, 도지정 3)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Q.  중국의 공행은 어떤 역할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1차 아편전쟁(1839~42) 이전 광저우[廣州]에서 서구상인과 무역할 수 있는 특권을 중앙정부로부터 부여받았던 중국상인조합.이러한 상회를 '양행'이라고 불렀고, 이러한 상인을 가리켜 '행상'이라고 했다.17세기 중엽까지 이러한 상인들이 이론적으로는 13개가 있다고 했지만, 실제적으로는 늘 4개를 넘지 못했다. 이 제도는 1740년대에 성립되었다. 이 제도에 의해 광저우에 도착한 모든 외국선박은 행상의 감독을 받아야 했고, 행상은 외국상인들의 관세지불과 예의바른 행실을 보장해야 했다. 광저우가 유일한 대외무역항으로 개방되었을 때(1760), 광저우 행상은 외국인에게 차와 비단을 팔 수 있도록 허가받은 유일한 상인이었다. 비록 행상은 관리들에게 많은 돈을 강제로 바쳐야 했지만, 무평전과 같은 몇몇 상회의 행상들은 많은 재산을 축적하기도 했다.1720~22년 행상은 피로 맹세하면서 집단가격결정제도를 수립했는데, 이는 중국상인조합 사이에서 널리 행해졌다. 월해관감독(粤海關監督)의 지휘를 받으면서 행상들은 공행을 결성했다(1760). 공행이라는 말은 가격결정을 위한 연합을 의미하지만, 장사할 때 사용되었던 피진 영어(포르투갈어 등이 혼합된 중국의 상업영어)에 의해 코홍(Cohong)이라고 변형되어 상인 일반을 지칭하게 되었다. 행상은 광저우에서 집단적으로 대외무역을 독점했지만, 실제로 개개인의 거래행위에서는 상당히 자유로웠다.
Q.  양무운동이 일어나게 된 이유와 전개과정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화사상을 유지하면서 서양의 과학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양무론을 배경으로 한 운동. 증국번·이홍장·좌종당 등에 의해 추진되었다. 초기에는 변경방비 등 군사력 증강에 역점을 두었으나, 점차 교육·실업 등 각 방면에 걸친 개혁운동이 되었다. 1861년 정부가 총리아문을 설치한 후 1865년 총탄·화약·총포를 제조하는 시설을 갖추었고, 1868년 번역관을 설치하여 자연과학·기술·역사·국제법에 관한 외국서적이 번역하고 방적, 교통·운송 등의 기관을 설치하였다. 인재양성을 위한 학교설립은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냈다. 청·프전쟁의 패배로 군사개혁에 의한 부국의 달성이 좌절되자, 양무비판론과 함께 정치개혁이 주장됨으로써 점차 쇠퇴했다
Q.  춘향이는 양반이 아닌 기생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춘향은 양반인 아버지 성 참판과 기생인 어머니 관기(官妓) 월매 사이에 태어난 양반의 서녀(庶女)이자 천민이라 할 수 있다. 춘향은 양반의 노리개가 되어 결국 버림받고 마는 자신의 어머니와 같은 삶을 살기를 거부했다. 그래서 그녀는 남원 고을의 수많은 양반 자제들의 유혹을 거절했다. 양반가의 정실부인이 되어 양반으로의 신분상승을 꿈꾸었던 그런 춘향 앞에 나타난 이몽룡은 춘향에게 그 꿈을 실현시켜줄 구세주처럼 생각되었을 것이고 그래서 변 사또의 수청 요구를 거절하면서부터 겪게 되는 모든 고난을 헤쳐 나가게 된다.
Q.  활빈당은 어떤 단체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00년 2월경 충청남도 내포(內浦) 지방의 신창·예산·대흥·청양·정산·홍주·덕산·해미·법성·보령·남포 등지에서 봉기한 뒤, 충청북도·경기도·강원도·영남·호남 등 남한 각지로 그 세력이 파급되어 1904년까지 치열한 투쟁을 전개하였다.활빈당이라는 당호(黨號)를 확실하게 고증하기는 어렵다. 다만 1886년(고종 23)에 충청북도 음성에서 활빈당 당호로 소집단의 당적(黨賊)이 일시 활동한 바 있고, 17세기 초반에 저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허균(許筠)의 「홍길동전」에도 나온다.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