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Q.  조선시대 세금법 균역법은 어떤 원인으로 만들어진 법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역이란 국가가 필요로 하는 역역(力役)을 법제적인 구별인 양인·천인의 두 신분층 가운데서 양인에게 부담시킨 일종의 신역(身役)인데, 처음에는 직접 역역을 징발하였으나 점차 베옷[布] 또는 곡식으로 대신하게 되어 조선 후기에는 국가 재정수입의 큰 몫을 차지하는 부세(賦稅)의 형태가 되었다.이 양역이 제도 자체의 모순과 운영상의 결함 등으로 민폐를 야기함은 물론 사회의 동요까지 초래하게 되자 그 대책이 오랫동안 여러 면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를 '양역변통론(良役變通論)이라 하는데, 마침내 1750년(영조 26) 양역의 부담을 대폭 줄여서 포 1필로 균일화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재정 결손의 보완책 마련에 착수하였다. 1년여의 논의 끝에 1752년(영조 28) 어염세(魚鹽稅)·선무군관포(選武軍官布)·은여결세(隱餘結稅)·결전(結錢) 등의 새로운 세금을 통해 보충하도록 하는 내용의 균역법으로 시행을 보게 된다.그 제정 경위와 내용, 성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양역의 폐단에 대한 대책 논의는 효종·현종대 이래 계속되어서 숙종 때에는 군사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군사 수의 감축, 군문(軍門)의 축소와 같은 소변통론(小變通論)과 양역제의 철폐를 전제로 한 호포(戶布)·구전(口錢)·결포(結布)·유포(遊布) 등의 대변통론이 여러 사람에 의해 각기 내용을 달리하여 주장되는 등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래서 한때는 금위영(禁衛營)이 폐지되고, 한시적이기는 하나 관서 지방에 호포가 실시되기도 했다. 그러나 군사력 약화를 우려하는 국왕과 신분적 특권을 앞세우는 양반층의 이해 관계가 얽혀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바로 원상태로 돌아가고 말았다.이런 과정에서 양역폐 시정을 위한 어떠한 개혁책도 당시의 실정에서는 선뜻 시행하기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 결과 양역제는 그대로 유지하되 다만 양역의 부담을 반감(半減)함으로써 양역 폐해에 시달리는 양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고 그 고통을 완화하자는 감필론(減疋論)이 숙종 말년부터 유력해졌다.균역법의 내용을 구성하는 한 축인 감1필(減1疋)은 바로 이 감필론에서 유래하였다. 그런데 감필에는 막대한 재정결손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했다. 영조 이후의 양역 논의는 주로 감필과 그 재정 보완책의 모색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탕평책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노론·소론 사이의 정치적 갈등이 거듭되던 정국이 1740년(영조 16)의 경신처분(庚申處分)과 뒤이은 신유대훈(辛酉大訓)으로 노론 명분 속에 소론이 참여하는 형세로 어느 정도 안정을 갖게 되었다. 여기에 양역 문제의 해결을 통해 탕평의 가시적 성과를 드러내고자 하는 국왕과 탕평파의 정치적 의도가 맞물리면서 그 동안 지지부진하던 양역 논의는 마침내 균역법의 제정으로 결실을 맺게 된다.그 계기는 1750년(영조 26) 5월 호조판서 박문수의 호전론 주장에서 주어졌다. 이때의 호전론은 예상을 초과한 호당 징수량(戶當徵數量)의 산출과 호적법의 미비로 결국 무산되지만 그것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감필과 결부시켜 시행하려는 논의가 일어났다. 즉 감필을 하고 부족분을 호전으로 충당한다는 감필호전론(減疋戶錢論)인데, 이것마저 여의치 않게 되자 영조는 같은 해 7월 전격적으로 양역의 부담을 반으로 줄여 1필로 균일하게 하는 내용의 감필을 단행하였다.균역법의 첫 단계가 시작된 것이다. 감필이 단행된 이상 그에 따른 재정결손을 보완할 대책 마련이 시급해졌다. 이에 영의정 조현명(趙顯命)을 책임자로 하고, 신만(申晩)·김상로(金尙魯)·김상성(金尙星)·조영국(趙榮國)·홍계희(洪啓禧)를 실무자(句管堂上)로 하는 균역절목청(均役節目廳)이 설치되어 감필에 따라 줄어든 만큼의 비용을 해당 관청에 보충하는 급대책을 강구하였다.급대에 필요한 재원은 총계 100만 냥 정도로 추산되었으나 당시의 빈약한 세정 상황에서 이를 조달하기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우선 각 군영의 규모 축소와 군사 수의 감축·군사시설의 병합·각 관청의 재정 지출 절약 등에 의해 급대할 상당량을 상쇄한 후, 나머지는 왕족이나 궁방(宮房)에 주어져서 세원(稅源)에서 제외되었던 어염세를 다시 국고(國庫)로 환수하였다. 또한 양반이 아니면서 양역의 부과 대상에서 빠져 있는 피역자 내지 한유자(閑遊者)에게 일정한 비용을 징수하고[선무군관포(選武軍官布)], 그동안 관행적으로 지방 수령의 사용(私用)으로 묵인되어 오던 은결(隱結)·여결(餘結)에서의 수입을 국가로 돌리는 등의 새로운 세원(稅源) 포착에 의해 급대 재원을 확보하기로 하였다. 이렇게 하고도 부족한 액수는 각 고을에 일정량을 할당하여 징수하는 분정(分定)의 방식을 취하기로 하는 방안이 일차적으로 마련되었다.그러나 궁방이나 한유자·수령 등 실리(失利)하게 된 쪽의 반발이 심하게 일어나고 불합리한 분정 방식에 대한 비판이 크게 일어나자 마침내 홍계희의 주장에 따라 분정을 폐지하는 대신, 기존의 토지 세금에 1결당 쌀 두 말씩을 부가하는 결미(結米) 조항을 신설하였다. 또한 처음에 마련된 어염세·선무군관포·은여결세 등의 급대 재원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감필이 단행된 지 1년여 지난 1751년(영조 27) 9월에 균역사무를 담당할 관청으로서 균역청을 옛 수어청 자리에 설치하면서 비로소 균역법은 정식으로 시행을 보게 되었다.균역법의 내용에는 감필 균역(減疋均役)과 그에 따른 재정결손을 보완하기 위한 대책의 두 가지가 포함된다. 우선 감필 균역은 단순한 감필에만 그치지 않고 종전의 약간씩 차이가 있던 양역 부담량을 1필로 통일하여 균일하게 한다는 것인데 감필의 시행과 함께 모든 양역 명목의 부담이 1필(돈으로 낼 때는 2냥)로 재조정되었다.다음 재정결손 보완책과 관련해서는 1752년(영조 28) 균역청에서 편찬한 『균역청사목』에 자세히 규정되어 있는데, 크게 감혁(減革)과 급대 재원(給代財源), 급대처(給代處)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감혁이란 급대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군문과 관청의 체제를 변경하고 영(營)·진(鎭)을 통폐합하여 군사의 수를 감축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감축된 군사의 수는 2만 919명인데, 이 숫자만큼 급대 비용이 생략되며 동시에 이들을 군포 납부자로 전환시킴으로써 군포 수입이 늘게 되는 셈이다.감혁에는 그 밖에도 약 10만 명에 이르는 병조 기보병(兵曹騎步兵, 보통 二色軍이라 하며 納布軍임)에서와 같이 2필에서 1필로 반감하는 것이 아니라 납부 기간을 조정함에 따라 실제로는 1/3만 감해 주는 방식(즉 良丁 1인이 16개월에 2疋 내던 것을 12개월에 1疋 내게 함)이나, 금위영의 정군자보(正軍資保)나 각 도의 영·진에 대해 감필의 재정 결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예 급대를 하지 않는 방법도 있었다. 감혁에 의해 줄어든 액수는 홍계희가 지은 『균역사실(均役事實)』에 의하면, 대략 50만 냥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도 40∼50여만 냥이 남아 있었고, 이것은 급대가 불가피한 최소한의 양이었다.
Q.  아프리카 신화에도 그리스신화, 바이킹같은 제우스나 토르영웅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프리카는 모든 대륙 중 가장 오래된 대륙이며 인류의 조상인 호모사피엔스의 흔적이 발견된 곳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대륙 자체가 신화의 원천이기에 아프리카 신화는 신비한 자연과 동화되어 사는 삶만큼 원초적이고, 수많은 동물만큼 다양하다. 크게 동아프리카, 서아프리카, 남아프리카로 분류되며, 각 나라의 신화보다는 부족 집단의 신화 위주로 알려져 있다.추정되는 부족 집단의 수는 1000개가 넘고 신화도 1000개가 넘으니 각 부족의 창조 신 이름만 나열해도 1000개가 넘는다. 부족마다 다양한 신화를 가지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사막, 정글, 산맥, 사바나 등과 같은 넓고 높은 지형으로 인해 어떤 부족은 유목을 하고 어떤 부족은 밀림 속 강기슭의 개척지에 거주하고 어떤 부족은 사막 근처에 살면서 부족 나름의 풍습, 문화, 언어를 다양하게 유지하였기 때문이다.또 다른 이유는 문자 문화가 없었기 때문에 이야기로 전해져왔다. 하루 일과를 끝낸 부족들은 모닥불 주위에 모여 앉아 그 집단의 최고령자나 가족의 최고 연장자에 의해 신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이야기들은 아프리카인들의 예술언어인 조각이나 암벽화로 남겨졌고 감정이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아프리카의 조각들은 신화의 이야기를 뒷받침해 주기도 한다. 그렇게 이어져 온 신화는 19세기 말부터 여행자, 선교사, 지리탐험가, 인류학자들에 의해 문자로 기록되어지기 시작했다.
Q.  요즘 성악뮤지컬등관심이만은데 카운트테너는 어떤쟝르의 음역대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성이 가성대를 이용해 여성의 음역을 노래하는 가수를 카운트테너라고 하는데요, 중세에는 여성이 노래할수가 없었답니다ㅡ 그래서 남성이 고음을 노래하기위해서 거세까지하면서 높은음역을 노래했는데요, 실제로 오늘날의 아이돌같은 인기와 수입을 누렸다고 하네요!^^
Q.  그리스어 프로네시스(Phronesis)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이상주의를 극복하고 현실주의를 강조했다. 그래서 현실 세계가 영원한 본질인 이데아의 단순하고 불완전한 복사라는 생각은 의문시된다. 세계의 질료, 즉 현실 세계는 단지 데미우르고스가 마음대로 가공하는 수동적 대상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 또는 이상과 실천의 관계가 불안정하다는 점에 대해 고민했다. 실천은 항상 이론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론은 언제나 완벽하지만 이론대로 100% 실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론과 실천을 매개할 수 있는 것을 구상했다. 그것이 바로 신중함, 사려 깊음(prudence) 등의 뜻을 가진 ‘프로네시스’(phronesis)다. 프로네시스는 모델화와 그 실현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이들을 분리하는 구렁을 메워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서양에서 프로네시스는 엄밀한 이론을 추구하는 철학자보다는 좋은 눈썰미와 직감, 판단력을 필요로 하는 정치인의 덕목이다.
Q.  제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전격 침공하고, 3일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에 선전포고함에 따라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됐다. 독일군은 곧바로 폴란드군의 주력을 분쇄했고, 17일에는 소련군도 폴란드의 동부를 침략해 28일에는 두 나라가 폴란드 전역을 완전히 분할 점령했다.그러나 초기에 영국과 프랑스는 직접적인 군사 행동에 나서기를 꺼린다. 영국은 독일을 압박하기 위해 해상 봉쇄와 경제 제재를 취하고, 프랑스는 국경 지대의 마지노선에 의존해 독일의 침략을 예방하는데 급급했을 뿐이다. 머지않아 이 사태는 세계의 주요 강대국이 모두 가담해 1945년 8월 15일 종전까지 무려 4,000만~5,000만 명의 인명을 앗아간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전쟁으로 확대된다.
201202203204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