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지휘자겸 성악가 강경원입니다

강경원 전문가
부산진구남성합창단
Q.  뱅크시는 왜 익명으로 벽에다가 그림을 그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얼굴 없는 아티스트 뱅크시는 고등학교를 채 마치지 못하고 퇴학을 당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그는 벽에 자신의 그림으로부터 세상에 화두를 던지는 화가로 유명하지요!그게 갖추어진 캠퍼스나 도화지가 아닌 세상의 일부분인 벽에 그리는게 더욱 시사하는바가 크다고 봅니다.명성이 자자한 예술가들은 자신의 재능으로 세상을 변화시킵니다.변화하고자 한다면 왜 변해야 하는지 지금의 문제를 파악해야 하구요,지금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판적이어야 하며 세상을 유심히 관찰하고 이해해야 합니다.그런 의미에서 뱅크시는 말보다 그림으로 세상에 말하는 사람인듯 합니다
Q.  매월 가정의 평화를위해 꼬박꼬박 교회에 십일조를 하고있습니다 개신교에서 십일조는 꼭해야하는 규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규정으로 하시기보단 마음으로 하시면 더 기쁘고 감사하지요~~"네 보물 있는 그 곳에는 네 마음도 있느니라"이 성경 구절은 우리의 십일조나 헌금이 우리 마음의 상태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줍니다. 우리가 즐거운 마음과 기쁜 마음으로 십일조를 드리고 헌금할 때, 우리의 마음이 하나님과 그분의 나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십일조는 예배의 행위이며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그러므로 십일조를 하나님께 드릴 때, 우리의 진실한 마음도 반드시 따라야 함을 기억해야 하겠습니다
Q.  흰색이 항복을 의미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언제 시작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BC25년 이후 중국 한나라와 2세기 로마에서 항복이나 휴전협정을 나타내기위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Q.  이앙법은 언제 전파됐고 언제 정착 확산됐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앙법이란 벼농사에서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재배하는 방법으로 중국의 한(漢)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후기에 도입되어 남부 지방 일부에서부터 점차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앙법은 무엇보다 관개와 물이 필수적이다. 원래 작물을 생육지에서 다른 장소로 자리를 바꾸어 심어 가꾸는 일을 이식 재배라고 하는데, 못자리의 모를 논에 옮겨 심는 일을 모내기 또는 이앙이라고 한다.벼는 이앙으로 입지와 생육 환경에 변경이 있게 되며, 이식 작업에 따르는 뿌리의 절단으로 일시나마 생육 작용이 정지되기 때문에, 벼의 성장이 직접 씨를 뿌리는 직파법에 비하여 다소 지연된다. 그러나 이앙법은 벼를 쉽게 이식할 수 있으며, 적당한 시기에 새 입지를 마련하여 주면 경작 기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경작 기회가 늘어나 윤작이 가능하고 경지의 이용도를 올리는데 유리하므로 집약 재배에 알맞다.
Q.  이기주의와 개인주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개인주의는 새로운 표현으로서 새로운 표상으로부터 생겨났다. 우리 조상들은 단지 이기심만을 알고 있었다. 이기심은 자기 자신에 대한 격정적이고 지나친 사랑으로서 모든 것을 자기 자신과 연관시키고 특히 자신에게만 이익을 주려는 경향이다. 개인주의는 사려 있고 평화적인 감정으로서 모든 시민들이 대중들과 거리를 두며, 자신의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자신을 고립시키게 한다. 개인주의는 자신의 필요를 위해 작은 사회를 만들고 나면, 기꺼이 큰 사회는 내버려 둔다.
2512522532542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