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입에서 쓴맛이 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아침에 입이 쓴고 신물도 올라오는 것은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유사합니다. 현대인들은 음주, 커피(특히 공복), 매운 음식, 자극적인 음식, 스트레스 등으로 역류성 식도염을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대한 이와 같은 부적절한 습관을 줄이시는 것이 좋고, 한의 치료를 통해 식도염 염증 회복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침치료, 한약치료, 부항치료, 온열치료, 한의물리치료 등으로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눈이 쉽게 충혈되는데 한방치료가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눈이 충혈되는 원인은 염증, 감염, 알레르기성, 결막하출혈, 산소 공급 부족이 있으며, 보통 과로로 눈이 충혈 되는 경우는 산소 공급 부족인 경우입니다.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결막 혈관이 확장되고 증식하여 빨갛게 보이는 것입니다. 전신 및 안구 주위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침치료, 한약치료, 뜸치료, 온열치료 등이 효과적입니다. 혈액 순환 개선을 통해 피를 맑게 해주어(산소포화도 증가, 염증 수치 감소) 충혈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생활에서 관리는 휴식 중간에 따뜻한 눈찜질 팩을 올려주는 것도 좋은 습관입니다.
Q. 요새 잠을 깊이 숙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잠을 얕게 드는 천면 증상으로 많은 현대인들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불규칙한 식생활, 스트레스 등이 그 원인입니다. 우선 생활속에서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시고, 사무직이시면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을 착용하시고, 식생활도 규칙적으로 하며 수면전 4시간 전에 식사를 마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불면에 효과적인 침치료, 한약치료, 뜸치료, 부항치료 등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게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불면 치료를 받지 않았음에도 잠을 드는것이 편해졌다, 잠에 잘든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즉, 침치료 자체로 불면에 도움이 되고, 불면 치료를 집중적으로 한다면 환자의 상태에 따라 혈자리 선택, 약재 선택 등이 달라지므로, 한의사의 진찰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Q. 한방 요법이나 한약으로 눈(잦은 충혈과 건조증, 결막염등)의 질병도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급성 감염인 상황에서는 빠른 항생제 처치가 효과적이지만, 지속되는 염증과 건조증, 충혈 등은 한의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한의 치료를 통해 안구쪽을 담당하는 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원인을 교정해주며 면역 활성 조절 작용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Q. 비수리초가 정말 자양강장에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야관문은 한의학적 효능으로 보간신(補肝腎), 익폐음(益肺陰), 산어소종(散瘀消腫)의 효능이 있고 신허(腎虛), 유정(遺精), 유뇨(遺尿), 빈뇨(頻尿), 백탁(白濁), 설사(泄瀉), 이질(姨姪), 수종(水腫), 해수기천(咳嗽氣喘), 질타손상(跌打損傷), 목적종통(目赤腫痛), 대하(帶下), 소아감적(小兒疳積), 옹창종독(癰瘡腫毒)의 증상에 쓰여왔습니다. 또한 현대 연구로, 야관문의 면역 활성 조절을 밝힌 연구가 보고되었습니다.
Q. 한의사가 되려면 몆년이 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강신우 한의사입니다.한의대는 예과 2년, 본과 4년으로 구성됩니다. 예과 2년에서는 본과에 진급하기 전 기본 소양(교양, 해부학, 의사학, 약리학, 본초학 등)을 배우고, 본과 4년 과정에서 임상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진단학, 병리학, 방제학, 임상 각과(한방재활의학, 한방내과, 침구과, 한방외과, 한방안이비인후과, 체질과 등)를 배웁니다. 본과 4학년까지의 학습 과정을 마쳤으면, 본과 4학년 이듬해 1~2월에 국가고시를 치르게 됩니다. 국가고시에서 합격하면 한의사 면허증이 나오고 한의사로서 근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