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업군이나 허위험도에 따라서 상해보험의 차이가 있나요 ?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상해보험은 상해급수에 따라 가입금액의 제한 및 보험료의 차등이 주어집니다.상해급수가 높은 직업군은 아무래도 상해급수가 낮은 직업군보다는 사고의 위험성 및 빈도가 높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질문자님이 직업군인이시라면, 직업군인중에서도 하시는 일에 따라 사무직인지, 아니면 항공조정사로서 운항을 하시는 분이라든지, 이런 식으로 하시는 일에 따라 상해급수가 정해지니 고지하실 때 정확히 하셔서 불이익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Q. 보험 부담보 설정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부담보 기간이란 것은 특정신체부위 또는 특정질병에 따라 1개월부터 5년, 또는 보험계약의 보험기간 동안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간을 말합니다.전기간 부담보 설정이 되었다면, 약관상 상품에 따라 최초 계약 청약일부터 5년 이내에 질병으로 재진단 또는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최초 계약 청약일로부터 5년이 지난 이후에는 부담보 기간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있습니다.따라서, 설계사분께서는 그 부분에 대해서 말한 것으로 판단되며, 위에서 명시한 대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동적용되는 것이기에 혹, 그 기간이 지나서 보험금을 청구할 일이 생기신다면 위 조항을 주장하시면 됩니다. 따로 손해사정사를 통해서 청구하시지 않아도 됩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Q. 갱신형 암보험에 대해서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진영 손해사정사입니다.갱신형이 조건이 좋다는 것은 비갱신형보다 보험료가 당장 보기에 저렴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입니다.보험상품은 장기납입 상품이기 때문에 보장을 받으려면 계속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그런데, 갱신형 같은 경우는 보장 받는 동안 계속해서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퇴직하고서도 보험료를 계속 납부할 수 있을지 여부, 갱신시 보험료가 상승하기 때문에, 퇴직후에도 계속 그 오른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을지 여부등을 살펴보아야 합니다.비갱신형은 갱신형보다 당장에는 보험료가 비싸 보이지만, 일정 기간만 납입하면, 납입시 보장기간 설정한 기간동안은 계속 보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런 사항들을 잘 정검해 보시고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갱신형 상품과 비갱신형 상품을 보험사에서 시뮬레이션 해보니, 갱신형 상품을 가입한 보험소비자가 3배 정도 더 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는 결과가 있었다는 말을 보험관계자로부터 들은 말이 있습니다.도움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