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곽대영 전문가
리치공인중개사사무소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이사할때, 집 주인분이 전세금액에서 이사비용 빼주기도 하나요?
이사와 집주인은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전세비용에서 이사비용을 빼준다는 개념이 어떤것인지 잘 모르겠는데 주인이 이사비용을 대주는 경우는 없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요새 주식 해도 되나요 올라같다가 내력같다해요?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을때 하는게 좋지만 그럼에도 지금은 워낙에 국장이 망가지고 있어서 하고 하시면 미국 주식이 아무래도 낫지 않을까 합니다.미국 주식도 이미 꽤 고점이라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계속해서 우상향을 하고 있습니다.투자는 언제든 손실 볼 수 있다는 마음으로 처음 하시는것이면 굉장히 소액으로 한참을 연습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비트가오르면 알트도 무조건오르는 구조인가요 ?
예전에는 거의 같이 움직이는 분위기가 많았는데 이번 불장에는 예전과는 조금 다른 흐름을 보이는 것 같습니다.개별 알트 위주로 움직이는것은 비슷하나 비트의 영향이 예전만큼은 아닌듯한 모습입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부동산은 내려야 정상인거같은데 왜 집값은 여전히 비싼가요?
아직까지 인구가 크게 줄어들고 있지는 않고 신생아수가 많이 줄고 있습니다.이 아이들이 집을 살 시기가 되는 20~30년 정도 뒤면 영향이 크게 있을 수도 있어 보입니다.지금 집값이 유지되는 이유는 지금 집을 사는 주력 세대의 인구수는 여전히 많습니다.그정도 가격을 주고 사도 소득으로 어느정도 대출 이자의 커버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월세 계약시 다음 계약하는 집에 계약금을 내면 이전 집 주인이 계약금을 미리 주나요?
관례이긴 한데 관례이지 의무는 아닙니다.우리나라는 전세가 보편화 되어 있는데 전세의 경우는 금액이 크고 계약금만해도 상당하기 때문에 그런 관례가 생겼습니다.또한 내가 다음집을 계약하는게 아니라 지금 내가 사는집에 다음 임차인이 계약을 하면 그 계약금을 선반환해 주는게 관례입니다.전세의 경우는 돌려주는 주인 안돌려주는 주인 대략 7:3 정도 되는것 같고 월세는 사실 보증금이 크지 않아서 선반환 해주는 주인을 거의 못봤습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전세사기 안당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점은 전세가가 시세대비 몇 % 정도나 되는지.가급적이면 70% 보다 낮은 수준의 집이 좋습니다.그리고 내가 1순위 채권자인지.권리의 순위는 그정도만 확인하면 무엇보다 보증보험을 가입해 두는게 제일 맘 편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비트코인 100k가 넘었는데 이렇게 신고가 찍고나면 매물대는 어떻게 보는 건가요?
주식도 그렇고 코인도 그렇고 역사적 신고가를 갱신하게 되면 그 위로의 가격은 보유자가 없어서 사실상 얼마까지 올라갈지 알 수 없는 영역대입니다.상단이 열려 있다고 표현하는데 금방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질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일단 저항선이라는 것 자체가 없어서 변동성 또한 더 커지게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너무나 우울합니다 코인과 주식때문에
금방 좋아질 여지가 없어 보입니다.당분간은 이런 불안정한 시국을 견뎌야 할 것 같습니다.월봉 기준으로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하락이고 이번달 하락 마감하면 6개월 연속인데 이정도는 거의 금융위기때 정도나 있던 일입니다.우리나라 증시가 왜 이렇게까지 됐는지 참 암담하네요.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인 거래소간 시세차익으로 돈버는 방법
이 방법이 코인 초창기에는 코인간 갭이 크고 그래서 가능했는데 최근에는 거래소간 코인의 가격차가 크렇게 크지 않아서 쉽지 않습니다.코인이 현금 이체처럼 바로 가는것도 아니라서 이동하는 시간에 가격이 어떻게 변동될지도 알기 어렵습니다.그래서 최근에는 일부러 그렇게 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1층과 고층은 왜 아파트값이 조금 더 싼가요??
가격이 더 저렴한 이유는 사람들이 선호하지 않아서 입니다.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1층의 경우는 채광이 좋지 않고 사생활 보호가 잘 안되면서 벌레도 많고 오래된 아파트라면 역류의 문제도 있을 수 있습니다.반면 탑층은 1층 정도는 아닌데 구축의 경우는 단열의 문제가 가장 클 수 있습니다.최근 신축 아파트의 경우는 탑층이 가장 비쌉니다.
3663673683693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