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곽대영 전문가
리치공인중개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전세집을 구할때 부동산을 끼지 않아도 되나요?
꼭 아는 사람이 아니라도 가능하고 아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직거래도 가능합니다.요즘에는 전체 거래의 20~30% 정도는 직거래로 이루어지는것 같습니다.
부동산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부동산을 하시는분들은 복비를 몇프로 받나요?
부동산 거래에 대한 중개보수 요율은 정해져 있습니다.매매의 경우는 최대 0.7%로 예를들어 10억 집을 매매 할 경우에는 0.5%요율을 적용해서 매도인과 매수인에게 각각 최대 500만원 이내에서 협의를 통해 정합니다.작은 원룸 월세 같은 경우는 보증금 1000, 월세 50 이라고 하면 0.4% 요율을 적용해서 24만원 이내에서 협의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코인은 거래금액으로봐야하나요 시총으로 봐야하나요?
투자에 정답은 없겠지만 기본적으로 장투는 시총, 단타는 당일 거래대금 정도를 보는게 조금 더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다만 단타는 그만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는 필요하고 손절에 대한 원칙을 잘 지키는게 수익을 내는것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코인은 이득을봣을때 수익만큼만 빼는게좋나요??
투자에서 '익절은 언제나 옳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내가 팔고 나서 더 올라갈수도 있고 내가 꼭지에 매도 하지 않는 이상 그것은 너무도 당연하기 때문에 적절히 분할해서 수익실현 하는것은 좋은 습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주식과 코인은 청소년도 거래가 가능한가요?
주식이나 코인이나 미성년자도 다 거래할 수 있습니다.다만, 아이들은 돈이 오르고 내리는데 멘탈적으로 취약할 수 있어서 부모님의 관리하에서 적정 수준으로 거래 해보는게 좋을 듯 합니다.
경제동향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경제적 불평등의 원인과 해결 방안은?
우리나라의 소득 불균형은 OECD 기준으로도 평균보다는 높은편입니다.자유시장경제 체제를 택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소득불균형은 어쩔 수 없이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공산국처럼 다같이 못살거나(권력자 제외) 자유경제 상태에서 능력껏 잘 살거나 하는 체제에서 대부분의 나라들이 자유시장경제를 택하는 것입니다.다만 소득의 불균형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많은데 보통 자산가들에게 세금을 많이 걷어서 저소득층에게 분배하는 제도들이 대표적인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입니다.그럼에도 사실 날이 갈수록 불평등이 커지는 것은 현 체제내에서는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다가구주택 1층이 상가 2개가 있던데 이게 가능한가요?
전체 건축물 용도는 단독주택이더라도 아마 층별 용도를 보면 1층은 근린생활시설로 되어 있을것입니다.건축물 용도는 조건만 맞으면 변동 가능합니다.
예금·적금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인터넷은행도 시중은행처럼 안전한가요?
해당 은행들은 1금융권 은행이고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을 받고 있기 때문에 크게 위험해보이지는 않습니다.만약 정 불안하시면 인터넷은행들도 5천만원까지(1억으로 상향예정) 예금자보호가 되기 때문에 그정도 금액안에서 이용해도 좋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아직 알트코인 불장 안 온것인가요??
이미 많은 알트코인들이 전고점을 회복하고 있는 모습입니다.전체적인 불장까지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불장 초입쯤은 된다고 보여집니다.대부분의 알트에 시세가 나오고 나면 다시금 횡보 및 하락장으로 돌아가고 변동성이 극심해지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2월 2일 작성 됨
Q.
코인이 큰폭으로 변동하는 이유가 뭔가요?
코인은 대체로 투기성이 강해서 그렇습니다.투기성이 강하다보니 주식처럼 장투 하는 사람은 적고 단타 위주의 거래가 많기 때문에 순간순간 흐름에 따라 매수 매도를 반복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변동성이 더 커지게 마련입니다.
371
372
373
374
3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