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전문가입니다.
곽대영 전문가
리치공인중개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주식시장에서 모든 사람이 동시에 판매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매수 하는 사람이 아예 없다면 가격은 움직이지 않습니다.1주라도 거래가 되어야 가격은 움직입니다.어떤 주식이라도 아무리 떨어진다고 해도 시장에서 누군가는 매수를 합니다.많은 사람이 팔기만 하고 소수가 매수한다면 가격은 계속해서 떨어지고 자칫하면 상폐도 될 수 있습니다.
자산관리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부자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하나요?
리스크 없이 부자 되는 법은 단언컨데 없습니다.투자를 하더라도 투자금 손실에 대한 리스크는 있습니다.사업을 하게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적당한 월급쟁이로는 연봉이 억이 넘어도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부자가 되기는 쉽지 않습니다.재테크 아니면 사업을 해야 하는데 사업을 싫다고 하시니 투자 말고는 답이 없어 보입니다.투자에 리스크 없이 고수익이 나는 투자란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국내 주식어플에서 해외주식을 구매할수 있나요?
요즘에는 대부분 증권사 앱에서 다 해외주식 거래가 가능합니다.해외주식 거래 신청만 하면 됩니다.처음 해외주식 거래를 하면 현금이나 주식등을 선물로 주는 증권사도 많으니 그런쪽으로 계좌를 만드시면 되겠습니다.
부동산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지금 청약 해지하시나요?? 아니면 한도를 늘리시나요?? 아니면 그대로 하시나요??
청약저축은 혹시 모를 나중을 대비해 그래도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넣고 가지고 있습니다.공공분양을 노리신다면 월 25만원이 좋고, 민간분양만 노리신다면 월 2만원씩 하다가 청약 넣을때 한번에 예치금 채워 놓으면 됩니다.
자산관리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보통 장사가 자리잡는데 몇개월은 걸리나요?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는 돈 못벌 생각으로 시작하라고들 하죠.그래도 그정도 기간이면 본인이 열심히 하면 어느정도는 잡는것 같습니다.그 기간이 지나도 자리를 못잡으면 이후에는 사실 자리 잡는게 쉽지 않다고 봅니다.
대출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원금 균등상환방식과, 원리금 균등상환방식 중 이자를 적게 내는 방식은 어떤것인가요?
총이자의 경우 원금균등방식이 적게 냅니다.하지만 대출 초반에는 원리금균등 방식 대비 내는 금액이 좀 많다가 대출 기간의 절반 정도 지나면 원리금균등방식과 비슷해지고 이후에는 원리금균등방식보다 적게 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주식투자할때 언제가 저점일까요??
저점을 확인하는 여러 기법 들이 있지만 100% 맞출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그나마 20일선, 60일선 같은 이동평균선과 전고점, 전저점, 볼린져밴드 같은 선들로 하단을 유추할 수만 있을뿐이고 맞추는 확률을 절반 이상 되겠금 할 뿐이지 완전히 알수는 없습니다.저점을 알면 누구나 다 부자가 되겠지요. 결국은 확률 싸움이고 내 기준에서 보다 높은 확률에 투자를 할 뿐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코린인데 리또속이 왜 나온말이에요?
리또속은 리플에 또 속았다는 말입니다.그 말이 나온것도 2018년쯤 정도인데 올라갈것 같이 액션만 취하다가 결국 올라가지 않는데서 비롯된 말입니다.그때 당시에는 그런 기조가 있어서 리또속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과연 어떻게 될지 더 두고 봐야겠네요.
주식·가상화폐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젊은 사람들이 한국 주식을 외면하는 이유가 뭘까요?
주식을 하는 이유를 보면 간단합니다.주식은 자본을 통한 추가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 합니다.하지만 리스크는 큰데 수익이 별로 안되니 안하는것입니다.자금은 한정적이고 선택과 집중에서 미국 주식에 수익이 크게 밀리니 안하게 되는 것입니다.국장도 꾸준히 우상향하고 수익이 난다면 안할 이유가 없습니다.
경제동향
2024년 11월 27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세금을 잘 걷고 잘 쓰고 있는 걸까요 선진국들을 보면 세금을 많이 걷어서 복지 비용으로 쓰는 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세금이 낮은 편이라
걷는것에 비해서 이정도면 그래도 양호하게 사용하는것 같습니다.복지적인 측면이 유럽등에 비해서 조금 부족할지 몰라도 소득수준 하위 40% 정도는 소득세를 내지 않는 나라인것을 감안하면 이정도로 나라를 유지하고 있는것도 대단하다고 보입니다.
381
382
383
384
3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