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리퍼비시 제품의 전용 통관 절차가 필요할까요?
리퍼 제품들은 신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환경 측면에서도 자원 순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동시에 품질 불량, 안전성 미확보, 위생 문제, 원산지 허위표시등의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들 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별도의 통관 절차나 기준 마련이 필요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고 제품은 폐기물 수입과의 경계가 불분명해질 수 있는 특성이 있어, 환경부 및 관세청 간 협업을 통한 통합 심사 시스템 마련도 중요할 것 입니다.
Q. 원산지 우회를 방지하기 위해 다국 간 공조조사가 이루어지나요?
미국, EU, 일본 등 주요국은 자국 산업 보호와 공정무역 실현을 위해 FTA나 무역협정상 혜택을 부당하게 누리는 사례,제3국을 경유하여 원산지를 조작하는 방식의 우회를 단속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단독 조사가 아닌 국가 간 정보 공유 및 합동 조사 방식을 통해 원산지 조사의 정확성과 실효성을 높이는데 대표적으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등은 원산지 증명서나, 수출입 경로, 생산설비 확인 정보 등을 상호 요청, 필요시 실사 검증 서류조사를 실시하기도 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