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신선 식품 물가 하락했다는데 왜 제가 가는 마트에는 비싸게 파는걸까요?
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 내 일부 항목으로, 신선한 채소·과일·생선류 등의 가격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지수가 이전보다 떨어졌다는 의미로 실제로 우리가 마트나 시장에서 느끼는 가격은 방문하는 장소의 유통 구조, 브랜드 마진, 할인 여부, 그리고 물류비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체 품목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하므로, 일부 품목의 가격이 크게 하락했을 경우 지수 전체가 낮아질 수 있기때문에 체감 물가는 오히려 ‘비싸졌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관세가 현대차 이익에 왜 그렇게 영향이 큰가요?
현대차는 전체 매출의 약 3분의 1을 미국 시장에서 올리고 있고, 미국 시장 내 판매분의 절반 이상은 수입차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미국 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는 현대차에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현대차의 대응은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기 위한 대규모 투자, 관세 부담이 발생한 모델의 경우 가격을 인상해 소비자에게 일부 전가 그리고 부품 수급을 미국 내로 전환하거나 멕시코·캐나다 등 USMCA 국가로 이전하는 방식으로 관세 부담을 줄이고자 노력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국내 증권사 및 애널리스트들은 미국 관세로 인해 전 세계 기준으로 수천억 원~조 단위의 이익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일부 언론에서는 연간 영업이익의 두 자릿수 비율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고 합니다.
Q. 트럼프는 이란-이스라엘이 종전에 합의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6월 23일(현지 시각)에 이란과 이스라엘이 12일간의 충돌을 끝내는 “완전하고 총체적인 휴전(complete and total ceasefire)”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는 이란이 먼저 공격을 중단하고, 이어 12시간 후 이스라엘도 전투를 멈추는 단계적 휴전 계획을 제시했으며, 이를 “12 Day War”의 종전 선언으로 표현했지만 실제로 양측 모두 즉각적인 합의를 공식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양측은 최종적으로 휴전에 동의했고, 6월 25일 현재 대체로 휴전 상태가 유지되는 중입니다만 . 실질적인 충돌만 중지된 상태인지 실제 휴전이 된것인지는 더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