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권명희 전문가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8월 12일 작성 됨
Q.
아이육아고민상담좀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친구가 때려서 맞았다고 이야기를 하면 상황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나서 아이에게 ~해서 속상했겠구나 하며 아이의 속상한 마음을 달래주고 위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똑같은 행동이 반복이 될때는 때리지말라는 의사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을듯 하며 어린이집 선생님께 상당을 해서 아이의 상황을 말씀드리고 대처해나가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8월 12일 작성 됨
Q.
21개월이 넘어가는 아이라면 놀이방법이나 교육방법은?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의 언어발달은 아이마다 다를수 있습니다. 21개월 정도의 아기들은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며 점차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들기 시작하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5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할수 있게 됩니다. 아이의 언어발달을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환경을 많이 노출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상황에 맞는 다양한 이야기를 많이 해주고 ~하자, ~해볼까? 하는 지시어로 질문하고 답을 유도해보는 것도 좋으며 동요나 동화를 들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또한 그림책이나 간단한 이야기책을 읽어주면서 지속적으로 언어를 들려주는 것도 좋으며 블럭놀이나 역할놀이를 통해 언어를 자극시켜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들 훈육하는거에대해서 고민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훈육이라는 자체가 정도가 없다보니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어느정도까지 해야 하는지 늘 고민이 되는 부분이기는 합니다. 그러나 훈육의 개념이 올바른 방향으로 교육한다는 것이기 때문에 때리거나 벌을 세우는 것으로 훈육을 하다보면 아이들은 반성하기보다는 상처를 받거나 오히려 반항적으로 자랄수 있습니다. 따라서 훈육을 할때는 벌과 매보다는 아이들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 아이들이 이해할수 있도록 단호하고 명확하게 이야기해줄 필요는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8월 12일 작성 됨
Q.
실수가 잦은아이 육아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일상생활에서 아이들은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실수를 한다고 화를 내거나 혼을 내게 되면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아지고 위축될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천천히 하는 행동보다는 빨리 하려는 행동으로 인해 물을 흘기거나 밥을 흘리는등 실수를 합니다. 이러한 실수를 하는 상황에서는 너무 급하게 하지 말고 천천히 하면 어떨까? 다음에 좀더 주의해 보자!라는 말로 아이를 긍정적인 언어로 격려해주고 방법을 가르쳐 주면 좋을듯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12일 작성 됨
Q.
아이가 놀러와서 음식이 맛이 없다고 했을때 예절?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정성껏 만든 음식에 맛있다고 해주면 기분이 좋지만 맛없다고 하면 솔직히 아이라 해도 기분은 좋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사람마다 입맛이 다르고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아이가 한말은 아이의 생각일뿐 아무생각없이 한말일수도 있으니 다음에는 더 맛있게 해줄게 하고 신경쓰지 않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그러나 아이라 할지라도 맛없다고 표현하는 것은 음식을 정성스럽게 준비해주신 분에 대한 예의가 아니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나중에라도 아이에게 지켜야할 예의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교육을 하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256
257
258
259
2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