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철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칼 마르크스의 공산주의와 레닌주의가 어떻게 다르고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공산주의의 사상적 모태는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쓴 자본론이란 책입니다. 여기에서 철학적 측면 경제적 측면 정치적 측면으로 고찰한 것인데 우선 철학적 측면에서는 유물론과 유물사관(경제결정론으로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물질적 소유와 생산관계로 보는 것입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자본주의 붕괴론 정치적 측면에서는 계급투쟁론-프롤레타리아 혁명론-프롤레타리아 독재론-국가소멸론-사회주의-공산주의 건설로 이어진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이론을 토대로 러시아혁명을 일으킨 사람이 레닌입니다. 그래서 공산주의를 마르크스의 M자와 레닌의 L자를 따서 ML주의라고도 부릅니다. 이론에서는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한 국가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 일어난다고 하였으나 전국민의 4/5가 농민이었던 러시아에서 혁명을 일으켰기 때문에 이론과 실제는 달랐다고 봅니다.
철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철학이라는 학문은 기본적으로 인간중심적으로만 존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철학은 논리학과 윤리학 그리고 미학(예술철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논리학이 수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철학의 어원상 의미는 Philos(사랑)+Sophia((지혜)=Philosophia(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Philosophy(철학)가 되었습니다. 철학은 인문학으로 인간을 위한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학문의 밑바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회철학 예술철학 등으로 부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의 근본은 인간이고 인간이 진선미를 통해 인격완성을 이루는 것이 철학의 목적입니다.
철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행복이라는 건 어디에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행복은 과거 그리스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부터 현대의 철학자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추구해왔으며 그 질문에 답을 하고자 노력해 온 테마입니다. 행복을 이성에 바탕을 둔 도덕적 실천으로 본 인문주의(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학파 합리론과 관념론 등이 있으며 경험을 통한 쾌락과 유용성에서 찾았던 소피스트와 에피쿠로스 경험론 공리주의 실용주의 사상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이 끊임없이 제기했던 행복에 대한 정의를 종합해보면 현재의 삶의 만족을 통해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봅니다.
철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사후세계가 존재할까요? 그세계에서는 인간이 인간의 모습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인간이 영생을 누린다면 종교는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됩니다. 인간이 유한한 존재이고 현실적 삶이 고통스럽기 때문에 절대자인 신에 의지하여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사후세계에서 절대자유와 평화를 얻고자 하는 것입니다.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는 사후세계가 있어서 신을 통해 구원을 받아 절대자유와 평화의 경지 즉 기독교의 천국이나 불교의 극락과 같은 곳에서 편안한 삶을 살고자 하지만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은 현세구복적이며 사후세계를 믿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사후세계의 유무는 종교를 믿느냐 믿지 않느냐와 관계가 깊습니다.
철학
2024년 7월 27일 작성 됨
Q.
나이 먹고 이념 이나 신념이 바뀌게 되는 결정적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이데올로기는 점차 보수화됩니다. 프랑스혁명으로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강조한 자유주의 이데올로기가 등장하자 기존의 왕과 귀족을 중심으로 한 기득권을 보수주의라 일컫게 되었는데 자유주의가 개인의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방종에 흐르자 사회주의라는 개혁사상이 나오게 되었고 자유주의는 보수화되었습니다. 이처럼 기득권 세력으로 자리매김하면 안정을 추구하려는 보수주의적 모습을 보이게 되듯이 개인들도 젊었을 때는 개혁을 추구하지만 나이들수록 안정을 추구하게 되면서 보수화가 되어가는 것입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