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나이가 들면 몸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나이가 들면서 냄새가 심해지는 이유는 신체 기관이 노화하면서 노폐물 배출을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해서 입니다. 특히 40세 이상부터 생성량이 많아지는 '노넨알데하이드(Nonenaldehyde)' 성분은 퀴퀴한 냄새를 유발하는데, 노넨알데하이드는 피지 속 지방산이 산화되며 만들어지는 물질로, 털이 자라는 부위인 모공에 쌓이면서 안 좋은 냄새를 내게 됩니다. 노년기가 될수록 생성량은 더 많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냄새를 없애려면 몸의 신진대사를 높이는 활동을 해 노폐물 배출을 도와야 합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운동이 있고, 물을 많이 마시는 것도 노폐물 배출을 돕습니다.
Q. 금속의 광택과 자유전자는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금속은 특별한 방법으로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광택을 냅니다.금속의 광택은 금속이 가진 독특한 성질 중 하나입니다. 금속의 광택을 이해하려면 먼저 빛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빛은 전기를 띤 입자를 진동시키는 파동인 전자기파입니다. 가시광선(인간이 볼 수 있는 빛)도 전자기파이고, 보이지 않는 빛인 전파, 적외선, X선, 감마선 등도 전자기파입니다. 빛은 파동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어떤 물체에 빛이 도달하면 그 물체는 에너지를 전달받습니다. 이 에너지를 받는 주인공은 전기를 띤 입자인 전자인 것입니다.가시광선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표면의 음전기를 띤 자유 전자는 가시광선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같은 진동수로 진동하면서 가시광선은 금속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사라집니다. 동시에 자유 전자는 자기 자신의 진동으로 같은 진동수의 가시광선을 만들어 내놓게 되는데 그러면 금속 표면이 가시광선을 방출하므로 마치 빛이 반사된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왜 구름들의 모양은 제각각인가요?
구름의 모양이 제각각인 것은 구름이 발생하는 장소의 기압, 온도, 수분량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구름의 형성과 소멸은 기본적으로 공기의 수직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저기압, 높은 산, 강한 햇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대기 중의 공기가 상승하게 되는데 높이 상승할수록 주변 기압이 낮아져 열교환 작용 없이 부피가 팽창하는 단열팽창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단열팽창에 의해 공기의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는 점점 낮아지게 되고 일정 고도에 이르면 이슬점에 도달, 수증기가 응결하고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구름이 되는 것입니다.또한 수증기를 다량 함유한 고온의 공기가 차가운 공기의 위로 올라가거나 차가운 공기가 더운 공기 아래로 들어가도 구름이 생긴다. 즉 어떤 조건하에서 형성된 구름인가에 따라 모양도 달라진다고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