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함께 고민하며, 답을 찾아가는 김민수입니다.

안녕하세요, 함께 고민하며, 답을 찾아가는 김민수입니다.

김민수 전문가
(주)에스디엠
Q.  To부정사는 왜 to부정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to부정사에서 부정은 '아니다'라는 뜻의 부정(不正)이 아니라, '정해지지 않다'의 부정(不定)입니다. 사(詞)는 품사를 말합니다. 풀어서 이야기하면,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은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to부정사는 'to+동사원형'의 형태로 문장내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을 하는데,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해져 있지 않고 문장마다 다르므로 부정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는 영어의 to-infinitive를 번역한 말입니다.to부정사는 하나의 동사 형태로 앞에 to만 붙여, 문장에서 여러 품사의 기능을 하므로 언어적으로 아주 경제적인 도구입니다. 감사합니다.
Q.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이 맹세할 때 스틱스강을언급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제우스등의 올림포스 신들이 티탄족 신들과 전쟁을 벌일 때, 스틱스 여신은 다른 신들과 더불어 올림포스 신들편에 서서 싸웠고, 큰 공적을 세웁니다. 이를 기리기 위해 주신인 제우스는 신들이 맹세를 할때 모든 신들이 스틱스강을 걸고 맹세를 하도록 지시합니다. 이는 지상과 명계를 구분 짓는 스틱스강의 신성함과 절대성을 빌려 약속과 맹세의 엄중함을 나타내고자 한 의도입니다. 스틱스강을 걸고 한 맹세를 어기게 되면 비록 신일지라도 벌(1년의 혼수상태와 9년 동안 올림포스에서 추방)을 받게 됩니다.결론적으로, 전쟁에서 스틱스 여신의 공헌에 대한 제우스의 보답으로, 스틱스강은 신성함을 가진 맹세의 강으로 인정받게 된 것입니다.감사합니다.
Q.  만약 사람이 죽지 않는다면 생명은 여전히 고귀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어떤 것이 고귀한 이유는 그것이 희소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모든 사람이 영생을 누리게 된다면, '살아있음'이라는 가치의 희소성은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생명의 고귀함이라는 가치 역시 사라지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생명이외의 다른 가치가 주목 받게 될 것입니다. 가령, 영생을 누리게 되니 나태함이 가장 큰 삶의 적이 될 것이고 그 나태함을 없게주는 여러 오락거리, 퇴폐적 활동들이 주목 받게 될 것이고, 이는 심지어 범죄로 이질 가능성도 커지게 될 것입니다. 또한 사람이 죽지 않으니 자원이 너무도 빨리 고갈 될 것이고, 있는 자와 없는 자의 자원 분배에 대한 문제와 갈등, 계급의 고착화로 인한 문제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결론적으로, '살아있음'의 보편성으로 인해, 너무나도 많은 갈등이 초래될 것이고, 그 갈등을 봉합할 리더십과 윤리가 희소한 가치로 정립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Q.  언어는 인간의 사고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인간의 언어가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를 '언어결정론'이라고 부릅니다. 이 언어결정론에서는 언어가 우리의 사고를 결정 짓기 때문에, 만약 언어가 없다면 사고 자체가 불가능 하다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에는 강한 버전과 약한 버전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위에서 언급한 언어가 없으면 사고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강한 버전이고, 약한 버전은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세상에 대한 인식과 집중에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입니다.강한 버전은 반례(언어가 다르지만 대상에 대한 인식이 동일한 경우 등)가 많이 존재하고, 극단적인 주장이어서 많은 지지를 얻고 있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약한 버전(언어는 인식과 개념화에 영향을 준다)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고, 유효한 이론으로 수용되어 왔습니다.가령, 실체가 없는 감정이나 느낌의 경우, 해당하는 감정이나 느낌의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다면 그 감정이나 느낌을 가지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합니다. 얘를 들어, 한국인의 한(恨)이나, 정(情)이라는 감정은 한자 문화권 이외에는 대체될 수 있는 단어도 없고, 심지어 한자 문화권 내에서도 온전히 그 느낌을 번역하기 옮기기도 어렵습니다. 다른 외국어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 이겠습니다(예를 들어 덴마크의 휘게(Hygge).그러나, 항상 수직적으로 언어가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사고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 되고 있고, 현대 언어학에서는 이 둘의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다는 견해가 널리 인정 받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자국어보다 외국어를 더 잘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자국어보다 외국어를 더 잘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부끄러운 일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겠습니다.우선, 대한민국에서 나고 자란 표준적인 대한민국 국민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만약 그 사람이 모국어인 한국어를 엉망으로 구사하면서 외국어만을 잘 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면 이는 부끄러운 일이 될 것입니다.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은 차치하더라도, 한국어를 엉망으로 구사하는 것을 본다면 그사람의 외국어 실력도 의심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상, 국어가 잘 정돈되지 못하면 영어 실려도 그렇게 크게 성장하지 못합니다.두 번째로, 이주한 한국인 부모 밑에서 자란 이주민 2, 3 세대 한국인입니다. 그들의 비록 국적은 한국인 이라도 나고 자란 곳은 외국이기 때문에 그들에게 실질적인 모국어인 외국어를 잘하고, 한국어를 못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 하겠습니다. 전혀 부끄러운 일이 아니겠습니다.따라서, 첫 경우에서 처럼, 한국에서 자고 나란 사람이 한국어는 엉망인데, 외국어만을 능숙하게 구사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면 그것은 문제가 되겠습니다. 만약, 그러한 사람이 직장에서 업무를 처리할 때, 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에 문제가 있고, 문서를 잘 작성 하지 못하여, 타 부서 및 타 기관과의 업무가 매끄럽지 못하다면, 그의 외국어 능력은 빛을 잃게 될 것입니다. 만약 그 사람의 외국어 능력이 번역이나 통역에 이용된다면, 그 문제는 한층 더 커지게 될 것입니다.결론적으로, 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은 큰 장점이 되겠으나, 그 사람의 모국어 능력이 형편 없다면, 그 사람의 인간 관계적, 사회적, 업무적 신뢰성은 인정받지 못하게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