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물가를 잡기위해서 정부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부가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1. 금리 인상-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어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금리 인상은 경기 둔화, 가계부채 부담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2. 공급망 관리 - 생필품, 식료품 등 주요 품목의 수급을 철저히 관리하고 원가 상승분을 최소화합니다.- 필요시 비축물자를 방출하거나 수입을 늘리는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3. 관세 및 유류세 인하- 수입 원자재, 유류 등에 대한 관세와 세금을 인하하여 기업 비용부담을 줄입니다.4. 서민물가 모니터링 및 대책 - 생활필수품 가격을 중점 관리하고, 제로페이 확대, 바우처 지급 등 서민물가 부담 완화대책을 마련합니다.5. 근원물가 안정 노력- 임금 및 기대인플레이션 억제를 통해 물가 상승이 만성화되지 않도록 합니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총수요 억제와 공급 확대 정책을 병행하되, 경기와 서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균형 잡힌 정책 운용이 중요합니다.
Q. 이란과 이스라엘의 분쟁 원인은 무엇이며 세계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란과 이스라엘의 분쟁 원인은 주로 종교, 영토, 이념 갈등에서 비롯됩니다.1. 종교 갈등- 이란은 이슬람 시아파 국가, 이스라엘은 유대교 국가로 종교적 대립이 있습니다.- 이란은 팔레스타인 문제에서 이슬람 진영을 지지합니다.2. 영토 분쟁- 이스라엘이 1967년 6일 전쟁에서 점령한 골란고원 등 영토문제가 있습니다.3. 이념 대립- 이란의 이슬람 혁명 이념과 이스라엘의 유대주의 민족국가 이념 충돌이러한 갈등으로 양국은 오랫동안 적대적 관계를 유지해왔습니다. 만약 군사 충돌이 발생한다면 세계 경제에 다음과 같은 충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1. 국제 유가 급등2.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로 안전자산 선호3. 글로벌 공급망 교란 4.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특히 중동은 세계 원유 수출의 핵심 기지여서 분쟁 시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질 것입니다. 평화적 해결이 시급한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