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득이 오르면 신용점수도 올라가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신용점수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신용평가 기관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소득 수준을 신용점수 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합니다.1. 상환능력 측면소득이 높을수록 대출금을 원활히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집니다. 이는 신용위험을 낮추는 주요 요인입니다.2. 부채상환 여력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낮을수록 신용위험이 작아지므로, 높은 소득은 부채상환 여력을 증가시켜 신용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3. 안정성소득 수준이 높고 안정적일수록 미래 상환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아집니다.4. 다른 신용평가 요인과의 상관관계소득 수준이 높으면 주택소유, 금융자산 보유 등 다른 긍정적 신용평가 요인과도 상관관계가 있습니다.그러나 소득 이외에도 부채상황, 연체이력, 신용한도 활용도 등 다양한 요인이 종합적으로 평가되므로 소득만으로 신용점수가 결정되지는 않습니다. 소득 증가는 신용점수 상승에 일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입니다.
Q. 유한회사와 주식회사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한회사와 주식회사는 다음과 같은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습니다.유사점:1. 법인격을 가지고 있어 회사 자체로 권리와 의무를 가집니다.2. 구성원의 책임이 출자액으로 한정됩니다.3. 의사결정은 다수결의 원리로 이루어집니다.차이점:1. 설립요건- 유한회사: 7인 이하의 사원으로 구성- 주식회사: 발기인 7인 이상, 무액면주식 총액 최저자본금 요건 충족2. 지분 양도- 유한회사: 사원 전원 동의 필요- 주식회사: 주식 자유롭게 양도 가능3. 기관 구조 - 유한회사: 사원총회만 있음- 주식회사: 이사회, 대표이사 등 복잡한 기관 구조4. 정관 변경- 유한회사: 사원 전원 동의 필요 - 주식회사: 주주 3분의 2 이상 동의로 가능5. 외부 자금 조달- 유한회사: 어려움- 주식회사: 주식발행으로 가능요컨대 유한회사는 소수 구성원 중심의 소규모 영리법인이고, 주식회사는 대규모 자본 동원과 복잡한 기관구조를 갖춘 대형 영리법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