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다우존스30 산업 평균지수, S&P500 지수, 나스닥 종합지수는 어떻게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3대 주가지수인 다우존스 산업평균, S&P 500, 나스닥 종합지수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1. 편입 종목 수- 다우존스 30: 30개 블루칩 우량주 - S&P 500: 500개 주식- 나스닥 종합: 3,000개 이상의 나스닥 상장 기술주 및 벤처기업2. 산업 분야 - 다우존스 30: 주로 전통적 제조업, 금융 등 시가총액 큰 기업- S&P 500: 미국 주식시장 전체를 포괄하는 다양한 산업- 나스닥 종합: 주로 IT, 바이오기술 등 新산업 기술주 많음3. 가중치 방식- 다우존스 30: 주가 가중방식- S&P 500, 나스닥 종합: 시가총액 가중방식4. 대표성- 다우존스 30: 미국 경제의 상징적 지수- S&P 500: 미국 경제 전체를 가장 잘 대변- 나스닥 종합: 미국 新기술 산업의 대표 지수따라서 다우존스 30은 전통산업 대표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S&P 500은 미국 주식시장 전체를 아우르며, 나스닥 종합지수는 새로운 산업의 기술주 중심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지수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Q. 최근 금값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값의 급등세는 경제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 인플레이션 압력 가중금은 안전자산으로 통화가치 하락 시 투자수요가 증가합니다. 금값 상승은 일반 물가상승으로 이어져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2. 수입물가 상승 국내에서 금을 수입하는 산업(예: 귀금속, 장신구 등)의 원가 부담이 가중되어 제품 가격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3. 환율에 영향일반적으로 금값 상승시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하락합니다. 이는 수입가격을 높여 또다른 인플레이션 요인이 됩니다.4. 실물투자 위축금융자산 대신 실물자산인 금에 투자가 집중되면서 생산적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5. 금융비용 상승금융권의 금거래 수수료 수입이 증가하는 반면, 예대금리 기준금리로 활용되는 금리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6. 소비심리 위축 금값 상승으로 자산가치 하락이 우려되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그러나 반대로 금 생산 기업과 보유자산 측면에서는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는 금값 급등이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를 야기할 수 있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