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성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성현 전문가입니다.
김성현 전문가
한화솔루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6월 23일 작성 됨
Q.
비례연차가 회사 선택사항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계산의 편의를 위해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나, 결과적으로 근로자에게 불리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고용노동부 입장입니다. 회사가 임의로 비례 연차를 부여하지 않을 경우,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 위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6월 23일 작성 됨
Q.
이렇게 연차사용을 제약하는경우 방법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 제5항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연차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연차휴가 사용을 제한하는 경우(또는 강제로 사용하게끔 하는 경우), 사업장 관할 지방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여 구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5월 5일 작성 됨
Q.
주휴수당 지급 , 삭감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1. 최저임금으로 계산된 주휴수당 포함 월급액으로 보입니다.2. 유급주휴는 1주일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 한하여 부여됩니다.3. 통상시급×16시간의 산식으로 계산한 금액을 차감하면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2022년 5월 5일 작성 됨
Q.
휴업기간 중 공휴일이 있을 때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휴업은 소정근로일에 대해 성립된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즉 애초부터 근로제공의무가 없는 휴일에 대해서는 휴업이 성립될 여지가 없습니다.감사합니다.
2022년 5월 5일 작성 됨
Q.
취업규칙에주40시간이상 근로시연장근로수당지급안해도되는지
안녕하세요. 김성현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규정보다 불리한 내용을 정한 취업규칙은 그 부분에 한하여 효력을 인정 받을 수 없습니다. 취업규칙에 그와 같은 내용이 있더라도 가산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