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조의 정책 중 탕평책에서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사림이고 유림입니다.조선의 경우 초기 훈구파로 불리는 공신과 사림파로 불리는 지방유림의 대립으로 시작되었다면, 세조 이후 숙종까지 사림만이 남고 훈구세력은 사라집니다.하지만 훈구라는 세력은 사림과 다른 것이 아니라 사림 중에 정권을 잡은 이들이 변질된 부분입니다.숙종부터 시작된 붕당정치로 조정에서는 대립되는 2~3개의 세력이 정권을 차지하기 위한 다툼이 줄을 이었죠.숙종 때에는 서인과 남인으로 나뉘었던 조정의 세력이, 그 다음인 경종에 이르러서는 서인에서 분리된 노론과 소론, 남인의 다툼으로 바뀝니다. 그런데 경종이 즉위하는데 소론과 남인이 공을 세웠죠.영조는 경조의 다음대 왕인데 후궁의 아들이다보니 즉위하는데 반대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그런데 영조가 즉위하는데 노론의 지지를 받게되죠... 영조가 즉위하자 소론과 남인이 노론에게 밀리다가 반란을 일으키는데 그것이 '이인좌의 난'입니다.그리고 붕당정치가 심화되는 와중에 자신의 아들이었던 사도세자가 죽기에 이르죠...영조 이후에 즉위한 정조는 이러한 조정의 세력을 꺾기 위해 그들에게 따돌림을 받던 이들을 조정에 채운 것인데 이들을 청류세력(청류는 깨끗하게 살겠다는 개념으로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학문을 닦던 이들을 칭합니다.)이라 합니다.그들의 혈연과 지연 등을 따지자면 소론과 남인계열도 있었고 노론과 노론 안에서 따돌림을 받던 노론 벽파도 있었습니다. 정조는 개혁이 필요함을 느끼고 기존의 조정세력보다는 자신의 세력을 꾸민 것이죠...야사(정설이 아니라 전해지는 말)에는 정조가 독살되었고 이는 자신들이 밀려나는 것에 불안감을 느낀 조정 중신들의 소행이다 라는 말이 돌기도 했죠.아무튼 정조의 죽음 이후 순조와 철종, 헌종을 거쳐 고종으로 이어지는 세도정치가 이후 벌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