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예술 음악 전문가 입니다.

김수희 전문가
엘림실내악단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화폐를 쓰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고대화폐는 기원전957년 기자조선에서 자모전(子母錢)이라는 철전이 사용되었다는 것과 신라에서는 금은 무문전을 사용하였다는 등의 기록은 있으나 그 실물은 전해오지 않습니다.고려 성종(996년)에 처음으로 화폐를 제조하기 시작하여 고려 왕조에는 동국(東國), 해동(海東), 삼한(三韓)전, 조선시대에는 조선통보(朝鮮通寶), 상평통보(常平通寶)외에 몇 종류의 이른바 엽전들이 주조, 유통되었습니다. 그 후 고종19년(1882년)에 비로소 서양식 화폐제도를 도입하여 오늘날 우리들이 사용하는 주화와 같은 압인식 화폐를 주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부터의 경화(硬貨)를 근대주화라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화300은 실제 있었던 전쟁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테르모필레 전투 입니다. 전쟁을 지휘한것은 스파르타의 왕 레오디나스가 군사를 이끌고 나간것은 사실입니다.그렇다면 한가지 생기는 의문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왜 병력을 3백명 밖에 못이끌고 갔느냐인데이에 대한 이유는 여러가지를 추측해 볼수 있지만 한가지 추측해 볼 수 있는 사실로는 바로 스파르타 내부의여론 분열 가능성을 들 수 있습니다. 스파르타의 경우 아테네와는 달리 극소수가 지배하는 과두정의성격을 띠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한사람의 독재를 막기위해 두명의 왕을 두었습니다.레오디나스는 이 두명의 왕중 한사람이고, 페르시아에 강경파성향을 띠고 3백명의 군사를 모아이끌고 나가는 가운데, 스파르타에는 그 전쟁기간동안 스파르타 자체를 수호하는 왕이 한명 더 있어서나머지 군대를 그대로 거느리고 있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토사구팽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범려와 문종은 월나라의 왕 구천이 오나라를 멸할 수 있게 도운 충신들이에요. 범려는 구천을 돕기는 했지만, 그의 인물 됨됨이를 믿지 못했어요. 그래서 월나라를 떠나면서 문종에게 충고했지요.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 법이다.” 문종은 범려의 말을 듣고도 망설이다가 반역자로 몰려 죽었어요.‘토사구팽’은 토끼를 잡던 사냥개는 토끼를 잡고 나면 쓸모가 없게 되어 삶아 먹힌다는 이야기예요. 즉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써먹고 쓸모가 없어지면 가혹하게 버린다는 뜻의 고사성어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이 독도가 한국땅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자기들 역사적 근거라고 떠벌리는건 시마네현고시로 일제 강점기때 무단으로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시킨 것이죠.일본이 우기는 이유1. 독도는 주인이 없는 무점령지였다.2. 그러므로 국제법상의 침략에 해당하지 않는다.3. 고로 일본 땅이다.말도 안되는 소리죠..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국은 왜 홍콩을 1997년까지 지배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홍콩은 한꺼번에 모든 부분이 영국땅이 된것이 아니래요...여러번에 나뉘어서.... 점점 영국이 차지하는 영역이 넓어 졌다는 군요..처음엔 지금의 홍콩섬.. 이란 곳을 영구임대 했습니다..그 후에 다른 꼬투리를 잡아서 대륙에 붙은 지금의 헝컹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땅을 100년으로 기한으로 임대를 했는데요..아시다 시피.. 말이 임대지 힘으로 뻈은거죠..근데... 홍콩섬만으로는 홍콩 전체를 운영할수 없기에..그냥 다 줘 버렸다고 하는군요....대륙하고 연결된 부분에 홍콩을 유지하는 여러가지 기간망 시설들이 많이 있어서..뭐... 발전소 같은 시설이...홍콩섬만 차지하기에는 영국도 명분도 안서고... 유지하기에는너무많은 돈이 들어서 그렇다는 군요..만약에 영국이 보든 부분을 영구임대를 했더라면..홍콩은 아마 아직도 영국 땅이었을듯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새 학기의 시작은 왜 3월2일로 정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꽃이피고 생물이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시기가 봄이 시작되는 3월에 시작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새학기를 3월에 시작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의사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 나라 최초의 여의사는, 1900년에 미국 볼티모어 여자의과대학을 졸업한 박에스더(본명은 김점동(金點童))이다. 1876년 서울에서 태어난 박에스더가 의사가 되었을 때 나이는 24세. 에스더는 세례명이며, 성은 결혼한 뒤부터 미국식으로 남편의 성을 따랐다. 박에스더의 아버지 김홍택은 미국 선교사 아펜젤러의 집에서 잡일을 돌보고 있었고, 유달리 총명했던 박에스더가 선교사들의 눈에 띄었던 것. 결국 그녀는 10세 때 이화학당에서 들어가 공부했고, 특히 어학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이후 우리 나라 유일의 여성 전문 병원으로 서울 정동에 자리잡고 있었던 보구여관(保救女館: 이화여자대학 부속 병원의 전신.)에서 통역 겸 간호사로 일하게 되었는데, 이곳의 여의사 로제타 홀이 그녀에게 미국 유학을 권했고, 남편 홀 박사 밑에서 일하던 박유산을 소개시켜주어 결혼하게 되었다. 당시 박에스더의 나이는 17세였다. 그로부터 2년 뒤 박에스더는 남편 박유산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학업을 마친 뒤 귀국, 보구여관에서 활동했다. 특히 신식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시골 지역으로 가마나 나귀를 타고 가서 환자들을 돌보기도 했는데, 그녀가 돌본 환자들은 3,000명이 넘었다고 한다. 그러나 박에스더는 34세 때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고, 남편 박유산은 그녀가 의대를 졸업하기 반년 전에 역시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의 삼황오제는 실제로 존재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환웅의 이야기는 전해지는데그것이 역사적인 사실을 신화에 빗댄것인지실존인물에 신화적인 설정을 빗댄것인지조차알길이 없습니다. 삼황오제도 이와 같아서정말 실존 인물인데 신화를 덮어 씌운것인지(북한의 김일성 처럼) 역사적인 일을 신화로 표현한것인지(고조선에 나오는 웅녀는 곰을 숭배하던 부족일것이다라고 하죠) 아무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확실한것은 우리나라가[우리는 단군의 자손] 이라고 여기듯이 중국인들은 [우리는 황제 (黃帝)의 후예]라고 여긴다는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왕 단종은 짧게 살아서 단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단종은 1441년에 문종이 세자시절일때 태어난문종의유일한 적자입니다단종의어머니 현덕왕후권씨는단종을낳은지 3~4일만에산후병으로 사망하였습니다1448년에 세손으로 책봉되고1450년에는 세자로책봉되었습니다세자로책봉되었을때나이는 10살이었습니다그런데 아버지 문종이 재위 2년만에 승하하자12살 어린나이에 왕위에오르게됩니다보통 단종같은경우는왕대비나 대왕대비같은 왕실의 큰어른이 수렴청정을 해야하는데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권씨단종의할머니 소헌왕후심씨는모두 사망하고결혼전이니 외척도없었죠그래서 단종은 홀홀단신으로 왕위에올랐습니다단종이 왕위에오르자황보 인 김종서 등이 정권을잡았죠그런데 단종의숙부인 수양대군이 일으킨 계유정난때문에죽임을당하죠그리고 단종의부인은정순왕후 송씨며 자식은없었습니다단종은 자기곁에 사람들이모두죽어나가는걸보고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자신은 상왕이되죠수양대군이 세조가됩니다단종이 상왕이된후성삼문,박팽년,이개,유성원,유응부,하위지가단종복위운동을꾀하다 발각되서죽자단종은 노산군으로강등되고 영월로 유배가되죠그이후 또다른 단종의숙부인 금성대군이복위운동을꾀하다 죽죠그리고 세조는 의금부도사 왕방연이사약을들고가게합니다단종은 17살의어린나이로 승하하게됩니다단종이란 묘호는19대왕 숙종때 복위되고단종의무덤이 장릉이란이름이붙게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영화 헤어질 결심이 평론가들이 극찬을 하던데 왜 그런가요?
이 영화가 좋았던 점은 "아 이건 박찬욱 감독님만 할 수 있을 것 같은 장르네." 라는 기분 때문이었습니다.마치 을 보았을 때 "이건 진짜 봉준호 감독님만 할 수 있겠다."고 느낀 것과 같은 기분이었습니다.강력계 형사와 중국인 피의자의 로맨스를 누가 이렇게 흥미롭게 얘기할 수 있을까요?게다가 예상하지 못한 대사가 툭툭 던져지는 느낌이 역시나 박찬욱 감독 느낌이었습니다.그리고 기존에 박 감독님이 다루던 주제들과는 다른 결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이 작품을 기점으로 박찬욱 감독 작품을 좋아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들었구요.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한 영화기도 하니 아직 안 보셨다면 꼭 한 번 보시길 바래요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